콘텐츠목차

화명동 청주 양씨 세거지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17352
한자 華明洞淸州楊氏世居地
영어의미역 Residential place of Cheonju Yang clan in Hwamyeong-dong
분야 성씨·인물/성씨·세거지
유형 지명/행정 지명과 마을
지역 부산광역시 북구 화명동 화잠 마을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백이성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세거지
세거지 화명동 청주 양씨 세거지 - 부산광역시 북구 화명동 화잠 마을

[정의]

부산광역시 북구 화명동에 있는 청주 양씨 세거지.

[명칭 유래]

조선 시대 이 지역은 양산군 좌이면 와석리로 불렸다. 현재의 북구 화명동의 상징인 화산은 신선덤이라는 암봉으로 둘러싸여 있는데, 그 형상이 신선이 누워 있는 것같이 보여 와석(臥石)이라 칭하였다고 전한다. 조선 후기 화산의 묏부리라는 뜻으로 화잠(華岑)이라 개칭하였다. 화잠 아래쪽에 있는 마을이라 화잠 마을로 불렸다.

[형성 및 변천]

청주 양씨(淸州楊氏)는 선비의 고장으로 불리는 충청북도 청주를 본관으로 하는 우리나라 12개 토속 성씨 가운데 하나로, 고려 시대부터 조선 시대에 이르기까지 많은 인재를 길러 낸 문중이다. 17세기 초 대구 수성구의 청주 양씨 위포 문중 일파였던 입향조 양진성(揚震成)이 현 북구 화명동 화잠 마을로 옮겨 왔다. 화잠 마을이 배산임수(背山臨水), 즉 뒤로는 금정산 줄기인 화산과 앞으로는 낙동강이 흘러 사람이 거주하기 좋은 입지 조건을 가진 것을 보고 정착하였던 것이다.

대표 인물로 일제 강점기 서울 경성의전 출신으로 의사가 된 양봉근(楊奉根)이 있다. 그는 독립운동 단체인 신간회 지부장을 맡아 활동하다 요시찰 인물로 감시를 당하자 만주로 들어가 조선족 자치주 길림성 연길에서 의사로서 여생을 보냈다.

[자연 환경]

금정산 남쪽 상학산에서 마을 쪽으로 뻗어 내린 산이 화산인데, 이 화산 아래에 위치한 마을이다. 화산에서 동쪽으로는 파류봉 아래 금정산성으로 통하는 옛길이 있고, 북쪽으로 용동골을 끼고 대천 마을, 남쪽으로 함박봉을 경계로 수정 마을이 자리한다. 강변 쪽으로 들판이 한눈에 내려다보이는 화명동의 중심지였다.

[현황]

도시화가 진행되면서 2013년 현재 화잠 마을에는 청주 양씨가 몇 가구만 남아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