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화잠 마을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8852
한자 華岑-
영어의미역 Hwajam Village
이칭/별칭 와석(臥石) 마을
분야 지리/인문 지리
유형 지명/행정 지명과 마을
지역 부산광역시 북구 화명동 화잠 마을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표용수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자연 마을
개설 시기/일시 1906년 - 경상남도 동래군 좌이면에 편입
개설 시기/일시 1910년 - 경상남도 부산부에 편입
개설 시기/일시 1914년 - 경상남도 동래군 구포면 화명리로 개편
개설 시기/일시 1943년 - 경상남도 동래군 구포면 화명리에서 경상남도 동래군 구포읍 화명리로 개편
개설 시기/일시 1963년 - 경상남도 동래군 구포읍 화명리에서 부산직할시 부산진구 구포출장소 화명동으로 개편
변천 시기/일시 1971년 - 부산직할시 부산진구 구포출장소 화명동에서 부산직할시 북부출장소 화명동으로 개편
변천 시기/일시 1978년 - 부산직할시 북부출장소 화명동에서 부산직할시 북구 화명동으로 개편
변천 시기/일시 1995년 - 부산직할시 북구 화명동에서 부산광역시 북구 화명동으로 개편
개설 시기/일시 2003년 7월 - 화명동이 화명 1동, 화명 2동으로 분동
개설 시기/일시 2003년 12월 - 화명 1동이, 화명 1동, 화명 3동으로 분동
자연 마을 화잠리 마을 - 부산광역시 북구 화명동 화잠리 마을

[정의]

부산광역시 북구 화명동에 있었던 자연 마을.

[명칭 유래]

화명동의 주산인 화산(華山)의 봉우리[岑]란 뜻으로 화잠(華岑)이라 하였다. 화잠 아래쪽에 있는 마을이라 하여 화잠(華岑) 마을이라 부르게 되었다. 화잠 마을은 와석(臥石) 마을이라고 불렀는데, 화산 신선덤 봉우리가 신선이 누워 있는 형상이라 하여 붙여진 지명이다.

[형성 및 변천]

화잠 마을의 형성 시기에 대해서는 명확히 알려진 바가 없으나, 평택 임씨(平澤林氏) 문중의 관해공파(觀海公派) 중시조인 임회(林檜)가 1613년(광해군 5) 이곳 마을로 유배된 후 두 아들을 두어 그 후손이 정착하였다고 전한다. 와석리로 불리다 근세에 들어 화잠리로 불리게 되었다.

마을이 속한 지역은 1906년 양산군 좌이면에서 동래군 좌이면으로 개편되었다가 1910년 부산부에 편입되었다. 1914년 행정 구역 개편으로 동래군 구포면 화명리가 되었다. 1943년 구포면구포읍으로 승격하였다. 1963년 1월 부산직할시에 편입되면서 부산진구 구포출장소 화명동이 되었다. 1975년 부산직할시 직할 북부출장소에 편입되었고, 1978년 북부출장소가 북구로 승격되었다. 1995년 부산직할시가 부산광역시로 승격하면서 부산광역시 북구 화명동 화잠리 마을이 되었다. 2003년 7월 화명동화명 1동, 화명 2동으로 분동되었고, 2003년 12월 화명 1동화명 1동, 화명 3동으로 분동되었다.

[자연 환경]

화잠 마을 동쪽에는 상계봉 능선인 화산이 있고, 서쪽에는 낙동강이 흐른다. 화산은 대밭골에서 상봉까지 가파르며, 신선덤과 장사 바위가 있다. 화산 아래에 대밭골[한국전력 북부산변전소 뒤쪽으로 옛날 호랑이가 살았다고 전하는 골짜기]이 있다.

[현황]

화잠 마을은 현재 도시화로 주택지와 아파트 단지로 변하며 옛 흔적이 많이 사라졌으나, 서쪽 도로변을 따라 일부 모습이 남겨져 있다. 이 지역에는 화잠초등학교, 와석초등학교, 와석 교차로, 도시 철도 화명역, 화명성당, 화명일신기독병원, 화명 대림 아파트 등이 있다. 마을 서쪽으로는 금곡로가 지나가고, 금곡로 아래에는 도시 철도 2호선이 지난다. 와석 교차로에서 화명로를 따라 김해 대동을 연결하는 대동 화명 대교가 가설되어 있다. 화잠초등학교, 와석초등학교 등의 지명을 통해 옛 마을의 위치를 알 수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