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217328 |
---|---|
한자 | 草邑洞南平文氏世居地 |
영어의미역 | Residential Place of Nampyeong Mun clan in Choeup-dong |
분야 | 성씨·인물/성씨·세거지 |
유형 | 지명/행정 지명과 마을 |
지역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초읍동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오인택 |
[정의]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초읍동에 있는 남평 문씨 세거지.
[개설]
남평 문씨(南平文氏) 충선군 문익점(文益漸)이 거주하였던 곳이 강성[단성 혹은 산청]이어서 사후에 강성군(江城君)으로 봉하여졌다. 이후 그 후손들이 강성을 본관으로 하는 강성 문씨 충선군파, 혹은 남평 문씨 충선군파로 불리기도 하였다. 원래 남평 문씨 일족이었기 때문이다.
남평 문씨[강성 문씨]의 충선공파 파조인 문익점의 후손은 이후 5개의 분파로 나뉘었는데, 그중 의안공파에 속하였던 문평(文苹)은 조선 전기 강성에서 동래로 이주하여 남평 문씨[강성 문씨] 동래 문중 파조가 되었다. 이후 동래 문중은 120~180여 년 이상 번창하면서 대대로 거주하던 동래부의 각 지역에 따라 7개의 문중[성안파, 사상파, 초읍파, 북면파, 금사파, 거벌파, 반여파]으로 분화하였다. 이 가운데 초읍파 동래 문중이 조선 후기 초읍동에서 대대로 살았기 때문에 초읍동 남평 문씨 세거지라 하였다.
[명칭 유래]
초읍(草邑)은 새터를 한자로 표기한 것이다. 초읍의 ‘초’는 ‘새’로 읽히고, 읍은 ‘량·탁·벌·성’ 등의 터로 읽힌다. 새터는 새로운 터전, 새로운 자리라는 뜻이다. 왜구의 침입으로 치소(治所)를 이동한 데서 유래하였다. 즉 동평현의 치소가 지금의 당감동 부근이었는데, 고려 후기 빈번한 왜구의 침입으로 치소가 피폐해지자 새로운 마을로 치소를 옮기고 그곳을 새터, 즉 초읍으로 부른 데서 유래하였다.
[형성 및 변천]
문익점의 손자인 의안공파 문평이 조선 태종(太宗) 대인 1410년경 동래로 입향하였다. 16세 문응필(文應弼)과 문응규(文應奎)가 1500년대 후반 초읍으로 이거하였다. 문응필의 아들 문진명(文進明)은 주례동으로 이거하고 초읍동에는 문응규의 자손들이 세거하였다.
[자연 환경]
초읍동은 금정산의 남북으로 통하는 요충지에 위치한다. 북쪽으로 금용산을 등지고, 남쪽으로는 연지를 지나 부산 평야로, 동쪽으로는 화지산이 서쪽으로 달려가는 형상의 작은 산맥이 둘러싸고 있다. 또한 서쪽으로 금용산[쇠미산]의 산맥이 뻗어 있어 마을이 마치 천연의 성벽을 이루는 분지와 같다.
[현황]
2013년 현재 초읍동에서는 남평 문씨[강성 문씨] 33세손까지 이어 오고 있다. 동래 문중에 속한 7개 파 가운데 초읍파로, 문중 제사는 금정구 남산동에 있는 동성재에서 지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