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17265
한자 朴琪淙大禮服一括
영어의미역 Bak Gijong Full-dress Uniforms
분야 생활·민속/생활,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의복/의복
지역 부산광역시 남구 유엔평화로 63[대연동 948-1]
시대 근대/개항기
집필자 박재혁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관련 인물 생년 시기/일시 1839년 - 박기종 출생
관련 인물 몰년 시기/일시 1907년 - 박기종 사망
문화재 지정 일시 2012년 5월 17일연표보기 - 박기종 대례복 일괄 부산광역시 민속문화재 제8호로 지정
문화재 지정 일시 2021년 11월 19일 - 박기종 대례복 일괄 부산광역시 민속문화재로 재지정
소장처 부산광역시립박물관 - 부산광역시 남구 유엔평화로 63[대연동 948-1]지도보기
성격 관복
재질 모직|벨벳|나무|금속
문화재 지정번호 부산광역시 민속문화재

[정의]

부산광역시 남구 대연동 부산광역시립박물관에서 소장하고 있는 개항기 관료 박기종의 복식 유물.

[개설]

조선 시대에는 오례(五禮)[가례(嘉禮)·길례(吉禮)·빈례(賓禮)·군례(軍禮)·흉례(凶禮)]에 따라 제복(祭服)·조복(朝服)·관복(官服)·상복(常服)을 착용하였는데, 1895년(고종 32) 8월 10일 대례복(大禮服)·소례복(小禮服)·상복을 제정 반포한 뒤에는 대례·소례에 따라 대례복·소례복을 입었다.

박기종 대례복 일괄(朴琪淙大禮服一括)은 대한제국이 서구 열강이 주도하는 당시 국제 관계에서 스스로 근대적인 주권 국가임을 대내외적으로 표방하기 위해 세계 통용의 복식 제도를 받아들인 것을 뒷받침해 주는 몇 남지 않은 대한제국 당시의 유물이다. 대한제국의 정체성을 보여 줄 수 있는 귀중한 유물일 뿐 아니라, 대례복, 예모(禮帽), 예도, 예도 띠, 대례복 함, 예모 함까지 일괄로 보존되고 있다는 점에서 문화재적 가치가 매우 높으며, 대한제국 시기의 복식 제도 연구에도 중요한 유물이다. 2012년 5월 17일 부산광역시 민속문화재 제8호로 지정되었고,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청 고시에 의해 문화재 지정번호가 폐지되어 부산광역시 민속문화재로 재지정되었다.

[연원]

대례복은 박기종(朴琪淙)[1839~1907]이 문관 칙임관[정일품~종이품 관료] 시절에 착용하였던 것으로, 1900년(고종 37) 제정된 「문관 복장 규칙」의 칙임관 2등에 해당하는 복장이다. 박기종이 1900년 중추원 의관(議官) 주임관 4등급 등 다양한 관직에 임명되었던 것으로 볼 때 박기종의 대례복은 1900~1905년 사이에 제작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1978년 박기종의 장남인 박상수가 부산광역시립박물관에 일괄 기증하여 현재 부산광역시립박물관에서 보존·전시하고 있다.

[형태]

박기종의 대례복 일괄 유물로, 대례복 상의 1점, 예모 1점, 예도[예도 띠 포함] 1점, 대례복 함 1점, 예모 함 1점의 총 5점이다. 대례복 상의는 검은색 모직과 연청색 모직으로 만든 앞이 짧고 뒤가 긴 연미복(燕尾服) 형태이다. 상의의 전면과 후면의 뒷목 아래, 뒤허리 중심, 칼라, 소매, 주머니 부분에 무궁화와 당초 문양을 금몰 기법으로 수를 놓았다.

대례복 함은 나무로 직사각형 상자를 만든 후 금속으로 외부 전체를 감싼 형태로 뚜껑에 해당하는 부분은 금속으로만 만들었으며, 예모 함은 예모와 같은 산자(山字) 모양으로 금속으로 만들어져 검은색 칠이 되어 있다. 대례복 함 및 예모 함이 모두 금속으로 만들어진 것은 대례복 등이 외국에서 제작되어 배편으로 운반될 때 옷과 모자의 손상을 막기 위한 것으로 생각된다.

대한제국이 대례복을 제정할 때 무궁화를 국가 상징 문양으로 삼은 것은 매우 획기적인 결정으로, 왕실을 상징하는 문장을 주로 이용하는 유럽이나 일본의 경우와는 달리 민족의 역사와 애정을 배경으로 한 꽃인 무궁화를 선택한 것으로 생각된다.

예모는 검은색 벨벳 소재에 모양은 산형(山形)으로 백색의 장식 털을 가지고 우측면에 연청색 소재 위에 무궁화 한 송이와 덩굴무늬가 수놓아지고 무궁화 문양이 붙어 있는 금속 단추가 달려 있으며, 금색 수술로 가장자리를 두른 당시 칙임관의 형식을 따르고 있다.

[용도]

관복으로 사용되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