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사회 공헌 정보 센터 운영 사업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16805
한자 社會貢獻情報-運營事業
영어의미역 Project of Operating an Information Center for Promoting People’s Social Contribution
분야 정치·경제·사회/사회·복지
유형 제도/법령과 제도
지역 부산광역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배은석

[정의]

부산광역시에서 시행되는 사회 공헌 실적의 관리 및 사회 공헌 활동에 필요한 정보 수집·제공 지원 정책.

[제정 경위 및 목적]

글로벌 경제 위기 이후 부의 양극화 및 실업난 등으로 사회적 갈등이 심화됨으로써, 기업의 사회 공헌 활동에 대한 사회적 요구가 커지게 되었다. 특히 공공복지가 상대적으로 취약하여 일찍부터 민간 차원의 역할에 대한 기대가 컸던 한국 사회에서는 기업의 사회 공헌 활동에 대한 내외적 압박이 더욱 높았다. 이와 같은 환경에 의해 기업의 사회 공헌 활동이 국내외적으로 증가하게 되었다. 이에 기업의 사회 공헌을 위한 사회적 여건 조성과 지역 발전 및 시민 복지 증진에 이바지하고자 사회 공헌 정보 센터 운영 사업이 시작되었다.

[관련 기록]

관련 기록으로는 「부산광역시 사회 공헌 진흥 및 지원 조례」[조례 제4881호, 2013. 7. 10]가 있다.

[내용]

사회 공헌 정보 센터 운영 사업은 사회 공헌 기관들 간 네트워크 구축을 통해 사회공헌 실적을 체계적으로 관리하여 사회 공헌 활동에 필요한 정보 수집 및 제공을 돕고자 하는 사업이다. 사회 공헌 활동에 대한 상담 및 그 외의 사회 공헌 활성화 사업 추진을 통해 현금·현물·문화 기부 등이 필요한 대상자와 사회 공헌자를 연결하는 등 지원책을 구축해가며, 함께 나누고 섬기는 지역 사회 복지 공동체를 만들어가고자 한다. 사회 공헌 정보 센터를 통해 시행되고 있으며, 매년 기업과 각종 단체 및 일반 시민이 참여하는 세미나, 워크숍, 포럼 등을 개최하고, 화보나 영상집 발간 및 공모전 등을 통한 사회 공헌에 대한 홍보와 함께 사회 복지 자원을 발굴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변천]

사회 공헌 정보 센터 운영 사업은 2009년 2월 제정된 「사회 공헌 진흥 및 지원 조례」 제9조에 따라, 같은 해에 부산광역시 사회공헌정보센터가 개원되면서 시행되었다. 2012년에는 사회 공헌 정보 센터 시스템을 운영하고 부산 나눔 대축제를 개최하였고, 매년 활동 영역을 확대하면서 현재까지 시행되고 있다.

[의의와 평가]

사회 공헌 정보 센터 운영 사업은 사회 공헌 실적을 체계화하여, 기업이 지역 사회 복지 공동체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하는데 의의가 있다. 그러나 기업의 사회 공헌 실적이 아직까지 미흡하다는 점과 기업의 사회 공헌 활동이 장기적인 철학이나 비전이 없이 형식적인 참여 형태 또는 일회성 기부 차원에 머물면서 실제적인 파급 효과를 담보하지 못하고 있다는 점이 문제로 지적되고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