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216281 |
---|---|
한자 | 平和- |
영어의미역 | House of Peace |
분야 | 정치·경제·사회/사회·복지 |
유형 | 지명/시설 |
지역 | 부산광역시 북구 양달로 65[화명동 254]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백정원 |
[정의]
부산광역시 북구 화명동에 있는 성인 지적 장애인 재활 생활 시설.
[건립 경위]
1960년 3월 3일에 설립된 아동 육아 시설 평화의 집이 2000년 4월 24일에 목적 사업을 육아 시설에서 지적 장애인 생활 시설로 변경함에 따라 11월 30일에 아동 시설을 폐지하고 지적 장애인 생활 시설인 평화의 집을 12월 12일 부산광역시 북구 화명동 254번지에 개원하였다. 평화의 집은 프로그램과 서비스를 제공하여 지적 장애인의 정상화를 도모하며 사회 통합의 이념에 의거, 지역 사회 내에서의 통합된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자 설립되었다.
[변천]
2010년 1월 11일 자립 생활 체험 홈인 누리 홈을, 2011년 2월 1일 자립 생활 체험 홈인 나래 홈을 운영하기 시작하였다.
[구성]
평화의 집은 대지 면적 3,334.7㎡, 건축 면적 1,857.4㎡의 지하 1층, 지상 3층 건물 한 동으로 구성되어 있다. 지하 1층에는 강당, 1층에는 식당, 자원봉사자실, 남자 거주인 생활관 1, 2, 3호, 2층에는 여자 생활관 1, 2호, 자립 지원 홈, 사무실, 3층에는 물리 치료실, 프로그램실 등이 있다. 운동장이 따로 마련되어 있고 평화의 집 내에 주차장 시설을 갖추고 있다.
[현황]
평화의 집은 동명(同名)인 사회 복지 법인에서 운영하고 있다. 2013년 현재 한우섭 시설장을 비롯하여 생활 재활 교사 26인 등 총 37인의 직원이 근무하고 있으며 입소 정원은 86명이다.입소자는 지적 장애 판정을 받은 장애인이어야 하며 만 18세 이상만 입소가 가능하다. 입소를 희망하는 사람은 우선 평화의 집의 장애인 거주 담당자와 전화로 거주 상담을 거친 후 입소 대기자로 등록하여야 한다.
주요 프로그램으로는 개인 생활 유지 및 자기 관리, 일상생활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생활 재활 서비스, 개인의 욕구를 발견하고 개발하여 사회성 함양과 대인 관계 증진을 목적으로 실시하는 심리·사회 재활 서비스, 학교 교육을 받지 못하였거나 중도에 포기한 성인 장애인에게 교육의 기회를 보장하는 교육 재활 서비스, 사회생활을 경험하고 지역 사회와의 관계를 형성하며 사회 통합의 기회를 제공하고 정상화를 도모하는 자립 역량 강화 서비스, 의료 재활 서비스 등을 운영하고 있다. 2003년 11월 13일에 평화 직업 재활원을 개설하여 지적 장애인 보호 작업장으로 운영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