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16271
한자 信愛再活院
영어의미역 Sinae Rehabilitation Center
분야 정치·경제·사회/사회·복지
유형 지명/시설
지역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성지로62번길 40[초읍동 525-1]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백정원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사회 복지 시설
면적 4,668㎡[대지 면적]|3,427.94㎡[건물 면적]
전화 051-816-9128~9129
홈페이지 신애 재활원(http://sinae.or.kr)
개관|개장 시기/일시 1951년 3월연표보기 - 신애 불구원 개원
개칭 시기/일시 1971년 11월연표보기 - 신애 불구원에서 신애 재활원으로 개칭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57년 3월 - 후생 사업 실시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57년 10월 - 시설 인가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91년 11월 - 1인 1기 직업 훈련으로 장갑부 신설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99년 4월 - 양화부, 장갑부를 신애 재활원 보호 작업장으로 분리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7년 11월 - 보건복지부 장애인 생활 시설 최우수 시설로 선정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10년 10월 - 보건복지부 지원 지역 사회 체험 홈 설치
최초 설립지 신애 불구원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초읍동 산8
현 소재지 신애 재활원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성지로 62번길 40[초읍동 525-1]지도보기

[정의]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초읍동에 있는 지체·지적 장애인 재활 및 생활 시설.

[건립 경위]

초대 원장인 박상근은 육군으로 복무 중 부상을 당해 부산육군병원에서 치료를 받으면서 부상병을 돌보아 주던 수녀를 보며 큰 감명을 받아 전쟁고아와 장애인을 위해 1951년 3월 현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초읍동 산8번지에 신애 불구원을 설립하였다. 지체 부자유 어린이들에게 필요한 교육, 상담, 치료 및 훈련 등을 통하여 장애 아동들의 잠재 능력을 최대한으로 개발하고 기능을 원활히 활용할 수 있도록 도와줌으로써 사회의 한 일원으로 인간다운 생활을 영위할 수 있도록 하는 복지 이념 구현을 목적으로 하였다.

[변천]

1957년 3월 자체 초등학교를 신설하였고 후생 사업으로 양계, 양돈 사업을 시작하였다. 1957년 10월 시설 인가를 받았다. 1959년 자체 중학교를 개설하였다. 1964년 1월 시설 부지 1,011.67㎡를 매입하고 1971년 11월 시설 명칭을 신애 불구원에서 신애 재활원(信愛再活院)으로 변경하였다. 1991년 11월 1인 1기 직업 훈련으로 장갑부를 신설하였으며 1999년 4월 양화부, 장갑부를 신애 재활원 보호 작업장으로 분리 신고하였다. 2007년 11월 보건복지부 장애인 생활 시설 최우수 시설로 선정되었다. 2010년 10월 보건복지부 지원으로 지역 사회 체험 홈을 설치하여 현재에 이르고 있다.

[구성]

신애 재활원은 부지 면적 4,668㎡와 건물 면적 3,427.94㎡에 3층 건물이다. 1층에는 사무실, 원장실, 재활 사업실, 양호실, 작업 치료실, 자원봉사자실, 물리 치료실 및 체력 단련실, 세탁실, 식당·조리실, 직업 재활 시설 창고 등이 있다. 2층에는 예절실, 피복실, 목욕실, 교회 및 강당, 이·미용실, 공부방, 초등학교, 중학교가 있으며 3층에는 내부 체험 홈, 원계 치료실, 집단 활동실, 재활 상담실, 특화 사업실, 생활실, 직원 숙소, 창고, 화장실, 직업 재활 시설 등이 있다

[현황]

신애 재활원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초읍동 525-1번지에 있으며 동명(同名)의 사회 복지 법인에서 운영하고 있다. 2013년 현재 박병일 원장을 비롯하여 사무국장 1명, 기획행정실장 1명, 사무원 1명, 후원 관리 1명, 자원 관리 1명, 촉탁 의사 1명, 간호사 1명, 물리 치료사 1명, 작업 치료사 1명, 영양사 1명, 조리원 3명, 사회 재활 교사 1명, 사례 관리자 3명, 생활 재활 교사 23명, 위생원 1명, 내부 체험 홈 생활 재활 교사 1명, 외부 체험 홈 생활 재활 교사 1명 등 총 47명의 직원이 근무하고 있으며 입소 정원은 101명이다.

입소 대상자는 지적 장애인 또는 지체 장애인으로 장애 등록이 되어 있어야 하며 만 6세 이상이거나 국민 기초 생활 수급권자이어야 한다. 입소 절차는 전화로 상담 예약을 하고 입소 상담을 받고 적응 기간 1개월을 둔 뒤 입소·퇴소 판정 회의를 한 후 입소하기로 결정되면 구청에 의뢰하여 계약을 하고 입소하게 된다. 지금까지 126쌍이 결혼하였고, 1인 1기 기술 습득으로 600여 명의 원 출신 장애인들이 전국 각지에서 목회, 약국, 양화점, 인쇄소, 금은방 등을 운영하며 사회의 일원으로 생활하고 있다.

제공하는 프로그램으로는 생활 재활, 사회·심리 재활, 교육 재활, 의료 재활, 직업 재활, 특화 활동, 지역 사회 체험 홈, 신애생활인인권보장위원회 활동 등이 있다. 또한 시설 자체 내에서 다양한 동아리 활동[헬스 운동, 레크리에이션, 핸드 벨] 및 팀의 특성을 살린 팀별 프로그램[재활1팀-전신 운동 외 5개, 재활2팀-미술 활동 외 3개, 재활3팀-노래 교실 외 8개, 재활4팀-레크 댄스 외 3개], 외부 자원 이용 프로그램, 특화 사업[특별반 및 원예반]을 실시함으로써 생활인들이 여가 시간을 원활하게 활용하도록 하고 있다.

사례 관리 체제를 도입하여 생활인 각자의 다양한 욕구를 개별화하고 충분히 반영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서비스의 조정과 점검으로 서비스가 지속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또한 현재 직업 재활 프로그램을 통해서 신애 재활원의 생활인 21명과 재가 장애인 9명이 근로를 하고 있다.

특화 활동 서비스로 원예 및 비누 만들기, 양초 만들기 등의 활동을 하고 있으며 체험 홈은 자립 생활을 준비하는 단계로서 2009년 체험 홈 기능 보강 사업에 선정되어 지역 사회 아파트[연지 세동 한신 아파트 약 161㎡]를 구입하여 자립 능력 향상 지원, 일상생활 향상 지원, 사회 적응 능력 향상 지원, 직업 능력 향상 지원, 정서 안정 지원 등 사회 구성원으로서 적절한 역할을 할 수 있도록 돕고 있다. 현재 신애 재활원부산혜남학교의 초·중·고등학교 두 학급을 두고 생활인 8명을 교육하고 있으며 지역 사회 기관과의 연계를 도모하고자 신애 재활원으로 26명의 생활인이 등교와 하교를 하고 있다.

[참고문헌]
  • 부산광역시 장애인복지시설연합회(http://www.bawid.or.kr)
  • 부산복지개발원(http://www.bsdi.re.kr)
  • 신애 재활원(http://sinae.or.kr)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