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215883 |
---|---|
영어의미역 | Daejanggol Village |
분야 | 지리/인문 지리 |
유형 | 지명/행정 지명과 마을 |
지역 | 부산광역시 북구 화명동 대장골 마을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표용수 |
성격 | 자연 마을 |
---|---|
개설 시기/일시 | 1906년 - 경상남도 동래군 좌이면에 편입 |
개설 시기/일시 | 1910년 - 경상남도 부산부에 편입 |
개설 시기/일시 | 1914년 - 경상남도 동래군 구포면 화명리 |
개설 시기/일시 | 1943년 - 경상남도 동래군 구포면 화명리에서 경상남도 동래군 구포읍 화명리로 개편 |
개설 시기/일시 | 1963년 - 경상남도 동래군 구포읍 화명리에서 부산직할시 부산진구 구포출장소 화명동으로 개편 |
변천 시기/일시 | 1971년 - 부산직할시 부산진구 구포출장소 화명동에서 부산직할시 북부출장소 화명동으로 개편 |
변천 시기/일시 | 1978년 - 부산직할시 북부출장소 화명동에서 부산직할시 북구 화명동으로 개편 |
변천 시기/일시 | 1995년 - 부산직할시 북구 화명동에서 부산광역시 북구 화명동으로 개편 |
개설 시기/일시 | 2003년 7월 - 화명동이 화명 1동, 화명 2동으로 분동 |
개설 시기/일시 | 2003년 12월 - 화명 1동이, 화명 1동, 화명 3동으로 분동 |
자연 마을 | 대장골 마을 - 부산광역시 북구 화명동 대장골 마을 |
[정의]
부산광역시 북구 화명동에 있었던 자연 마을.
[명칭 유래]
금정산 상계봉 서남쪽에 있는 대장골 일대의 마을이라 하여 대장골[大莊谷] 마을이라 불렀다. 대장골은 큰 샘이 있다고 하여 대정골[大井谷]이라고도 불렸고, 옛날 큰 도적들이 살던 곳이라고 대적골[大賊谷]이라고도 하였다. 전설에 따르면, 뒤로는 상계봉이 올려다 보이고 앞으로는 낙동강의 흐름이 한눈에 내려다보이는 배산임수의 명당자리로서, 옛날 이곳에 큰 별장이 있어 대장골이라 불렀다고도 전한다.
[형성 및 변천]
대장골 마을이 속한 지역에서 가야 시대 고분군[수정천 인근 50m 구릉지]과 삼국 시대 고분군[남쪽 끝 구릉 지대]이 발굴되고, 또한 1980년대 조성된 화명 주공 아파트 단지 재개발 과정에서 북구 화명 1동 주민자치센터 뒤쪽 나팔산에서 고려 시대 돌덧널무덤 1기와 조선 시대 널무덤 51기, 회곽묘(灰槨墓) 1기가 발굴되었다. 이로 미루어 대장골 마을은 가야와 삼국 시대부터 마을이 이루어졌음을 알게 한다. 그러나 마을에 대한 기록은 확인할 수 없다.
마을이 속한 지역은 1906년 경상남도 양산군 좌이면에서 동래군 좌이면으로 개편되었다. 1910년 부산부에 편입되었다가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때 동래군 구포면 화명리가 되었다. 1943년 구포면이 구포읍으로 승격되었다. 1963년 부산직할시에 편입되며 부산진구 구포출장소 화명동이 되었다. 1975년 부산직할시 직할 북부출장소에 편입되었고, 1978년 북부출장소가 북구로 승격되었다. 1995년 부산직할시가 부산광역시로 승격하면서 부산광역시 북구 화명동 대장골 마을이 되었다. 2003년 7월 화명동이 화명 1동, 화명 2동으로 분동되었고, 2003년 12월 화명 1동이 화명 1동, 화명 3동으로 분동되어 오늘에 이른다.
[자연 환경]
대장골 마을 동쪽에는 금정산 상계봉이 솟아 있다. 서쪽으로 낙동강이 남쪽으로 흐른다.
[현황]
대장골 마을은 현재 대단위 아파트 단지[화명 롯데 캐슬카이저]가 조성되어 옛 흔적을 찾을 수 없다. 1980년대 초 주공 아파트 대단지가 조성된 이후 2008년부터 재건축한 화명 롯데 캐슬카이저 단지가 조성되어 신흥 주거 공간으로 각광받고 있다. 마을 앞으로 금곡로와 의성로가 교차하고, 금곡로 아래로 부산 도시 철도 2호선 수정역이 있어 교통이 편리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