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215421 |
---|---|
한자 | 釜山廣域市-運送事業組合 |
영어공식명칭 | Busan Bus Transportation Association |
분야 | 정치·경제·사회/경제·산업 |
유형 | 기관 단체/기관 단체(일반) |
지역 | 부산광역시 동구 조방로26번길 10[범일동 830-133]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황혜영 |
[정의]
부산광역시 동구 범일동에 있는 버스 운송 사업자 조합.
[설립 목적]
부산광역시 버스운송사업조합은 부산 지역 내 버스 운송 사업자 간 제휴를 통해 협조 체계를 확립하고 운송 사업의 발전과 공동 이익을 추구하여 명랑한 교통 환경을 조성하고 국민 복지 향상에 기여하기 위해서 설립되었다.
[변천]
1972년 3월 조합원 25개사가 조직되어 대형마이크로버스통합조합이 설립되었다. 1973년 부산시 버스여객자동차운송사업조합으로, 1978년 부산시 버스운송사업조합으로, 1995년 부산광역시 버스운송사업조합으로 개칭하였다. 1972년 5월 부산직할시 동구 초량 3동 1147-13번지[현 부산광역시 동구 초량동]로, 1977년 11월 범천동 856번지[현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범천동]로 이전하였다. 1982년 4월 전국버스공제조합 부산지부를 개설하였으며, 8월 현재의 위치인 부산광역시 동구 범일동 830-133번지에 버스 회관을 준공하고 사무실을 이전하였다.
1978년 9월 시내 직행 좌석 버스 신규 면허를 획득하였으며, 1986년 7월 승차표[토큰] 자동판매기를 설치하여 운영하였다. 1995년 12월 심야 좌석 버스를 운행하였다. 2000년 11월 디지털 부산 카드를 시행하였으며 버스 통합 정보 관리 시스템[TIMS]을 전국 최초로 운영하였다. 2001년 1월 시내버스 외부 색상과 디자인을 개선하였으며, 4월 압축 천연 가스[CNG] 버스를 도입하였다. 2004년 12월 초저상 버스를 도입하였다. 2010년 1월부터 기존의 경유 버스에서 CNG 버스로 교체하기 시작하여 시내버스 차량의 고급화를 추진하고 있으며, 2010년 3월 시내버스 차량 내 영상 기록 장치[CCTV]를 설치하였다.
2006년 5월 시내버스 간 환승 할인제를 시행하였다. 2007년 5월 시내버스 준공영제를 시행하였으며, 시내버스와 지하철 간 환승 할인제를 시행하였다. 2011년 5월 부산~김해~양산 대중교통 광역 환승 할인제를 시행하였으며, 9월 경전철을 포함하여 확대 시행하였다.
[주요 사업과 업무(활동 사항)]
부산광역시 버스운송사업조합은 버스 운송 사업의 발전과 운송 사업자의 이익을 도모하기 위한 다양한 사업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부산 시내버스 운송 사업과 관련된 통계를 작성 및 관리하고 조사 연구 사업을 시행하고 있으며, 종사원의 교육 훈련·취업 관리 및 운송 질서 확립을 위한 지도 단속 및 안전 관리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 그리고 자동차 운송 사업의 경영 지도 및 부산광역시와 정부로부터 위탁받은 업무도 처리하고 있다.
[현황]
2012년 현재 부산광역시 버스운송사업조합에 소속된 업체는 33개이다. 2011년 승객 통행량 조사 결과에 따르면 연간 시내버스 이용 승객은 143만 7000명으로 전년 대비 4.1% 증가하였다. 교통수단별 1일 승객 통행량을 살펴보았을 때, 전체 6,615명에서 버스가 1,730명으로 26.1%를 차지하고 있다.
[의의와 평가]
부산광역시 버스운송사업조합은 공익사업으로서의 건전한 발전을 도모하고 사업자 상호 간의 협조 체제를 확립하였다. 이를 통해 부산 지역의 복지 향상에 기여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