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부산탁약주제조협회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15348
한자 釜山濁藥酒製造協會
영어공식명칭 Busan Takyackju Manufacturers Association
이칭/별칭 부산합동양조
분야 정치·경제·사회/경제·산업
유형 기관 단체/기관 단체(일반)
지역 부산광역시 동구 중앙대로286번길 7[초량동 1162-9] 해인 빌딩 8층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이연정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경제 단체|협회 단체
전화 051-463-7103∼7104
홈페이지 부산탁약주제조협회(http://www.ricewinekorea.co.kr/)
설립 시기/일시 1970년 7월연표보기 - 설립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90년 4월 - 동동주 출하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92년 10월 - 국무총리 표창 수여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0년 6월 - 『한국 일보』 선정 ‘청맥’ 소비자 인기 상품상 획득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0년 7월 - 『스포츠 투데이』 선정 ‘청맥’ 소비자 인기 대상 획득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0년 12월 - 『경향 신문』 선정 ‘청맥’ 경향 히트 상품 선정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5년 5월 - 신제품 ‘생탁’ 출시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10년 3월 - 모범 납세자 표창[부산합동양조 연산제조장]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10년 7월 - 생탁, 일본 동경 수출 시작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11년 3월 - 모범 납세자 표창[부산합동양조 장림제조장]
최초 설립지 부산탁약주제조협회 - 부산광역시
현 소재지 부산탁약주제조협회 - 부산광역시 동구 중앙대로 286번길 7[초량동 1162-9]지도보기
현 소재지 부산합동양조 장림제조장 - 부산광역시 사하구 다대로 320번길 9[장림동 437-1]지도보기
현 소재지 부산합동양조 연산제조장 - 부산광역시 연제구 월드컵대로 172[연산 5동 1141-7]지도보기

[정의]

부산광역시 동구 초량동에 있는 막걸리 제조업체 관련 단체.

[설립 목적]

부산탁약주제조협회는 부산 지역에 흩어져 있던 43개의 제조장을 통합된 합동 양조장으로 개편하여 탁주·약주를 공동 제조하고 공동 판매하여 주류 시장에서 경쟁력을 높이고, 나아가 부산 지역 발전에 이바지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변천]

1970년 7월 부산 지역 탁주·약주 제조장이 합동 양조장으로 개편되면서 부산탁약주제조협회를 설립하였다. 1972년 12월 부산합동양조 연산제조장, 1980년 7월 부산합동양조 장림제조장, 1988년 6월 부산합동양조 삼락제조장 등을 각각 개장하였다. 1990년 4월 동동주를 만들어 출하하였고 1993년 5월 일본 수출을 개시하였다. 1993년 6월 ‘동백주(酒)’를 출하하였고, 8월 쌀 동동주 ‘청맥’을 생산하였다.

1993년부터 1996년까지는 동동주가 본격적으로 일본에 수출되었고, 신제품 개발도 계속되어 나갔다. 1996년 2월, 2ℓ 대용량의 탁주인 왕대포를 선보였고, 1997년 4월 도수 6%인 ‘금정’을 출하하였다. 2000년 3월 청맥과 인삼 동동주를 유리병에 주입하여 출하하였다. 쌀 동동주인 청맥은 2000년 6월 『한국 일보』 선정 소비자 인기 상품상, 2000년 7월 『스포츠 투데이』 선정 소비자 인기 대상, 2000년 12월 『경향 신문』 선정 경향 히트 상품으로 선정되었다.

2001년 7월 도수 6%의 ‘백수’를 출하하였다. 2002년 2월 생 인삼 동동주를 생산하기 시작하였다. 2002년 3월 아사히카세이사(Asahi KASEI)[욱하성(旭化成)]에 고급 살균 막걸리를 수출하였다. 2005년 5월 ‘생탁’을 선보였다. 2005년 7월부터 일본에 생탁을 수출하기 시작하였다. 2010년 11월 ‘우리 쌀 생탁’을 출시하였다. 2011년 3월 부산합동양조 장림제조장이 모범 납세자 표창을 수상하였다.

[주요 사업과 업무(활동 사항)]

부산탁약주제조협회는 신제품 개발 및 최신 컴퓨터 시스템 제조 공정을 바탕으로 탁주와 약주를 제조 및 판매하고 있다.

[현황]

제조장으로 부산광역시 사하구 장림동에 부산합동양조 장림제조장, 부산광역시 연제구 연산 5동에 부산합동양조 연산제조장이 있다. 2013년 현재, 생탁의 전국 대리점으로 16개의 지역 상사가 입점해 있으며, 경상남도 일대에 16개의 대리점이 영업 중이다. 경상남도 권 이외에 경상북도 구미, 경주, 예천, 대구 지역과 울산광역시에 각각 1개의 대리점이 입점하여 경상도 권에 총 37개의 대리점이 분포되어 있다.

[의의와 평가]

부산탁약주제조협회는 부산 지역을 대표하는 막걸리 제조업체들의 협회 단체로서, 다년간 축적된 기술로 고급 누룩을 장기간 발효시켜 청량감과 영양이 뛰어난 전통주를 제조하고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