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215264 |
---|---|
한자 | 地域技術革新據點事業 |
영어의미역 | Project for Establishing the Basis for Regional Technological Renovation |
분야 | 정치·경제·사회/정치·행정 |
유형 | 제도/법령과 제도 |
지역 | 부산광역시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김호범 |
[정의]
부산광역시의 지역 산업 진흥 사업 중 기술 혁신 거점 구축 사업.
[제정 경위 및 목적]
부산 지역의 대학, 연구 기관, 기업 간의 유기적인 협조 체계를 구축하여 지역 특화 산업의 기술 고도화를 촉진하고 첨단 분야에서의 신기술 창업을 지원 육성하여 지역 경제 활성화와 기업의 경쟁력 향상에 기여할 목적으로 구축된 거점을 육성하고자 한다.
[관련 기록]
관련 기록으로는 「지역 산업 지원 사업 기반 조성 사업 평가 관리 지침」[시행 2013. 3. 6, 지식경제부 예규 제48호, 2013. 3. 6, 일부 개정]과 「지역 산업 지원 사업 공통 운영 요령」[개정 2013. 3. 6, 지식경제부 고시 제2013-50호]이 있다.
[내용]
지역 기술 혁신 거점 사업은 부산광역시와 정부, 그리고 지역의 유관 단체 및 기업이 협력하여 지역의 전략 산업과 연관된 기술을 개발 보급하는 것은 물론이고, 인력을 양성하는 종합적인 지역 혁신 체계의 거점을 육성하는 정책이다. 초창기에는 과학기술부 주관의 지역 협력 연구 센터와 산업자원부 주관의 기술 혁신 센터 조성 사업의 일환인 부산경남자동차테크노센터에 대한 지원, 정보통신부 산하의 한국소프트웨어진흥원과 부산광역시가 공동 추진하는 부산멀티미디어지원센터의 설립, 산업통상자원부와 부산광역시가 공동으로 추진하고 부산테크노파크가 사업 주체가 되어 시작한 바이오 기업 지원 센터 및 부산기술거래소의 설립 및 운용을 들 수 있다. 최근에는 부산테크노파크를 중심으로 사업이 재편되고 있다. 그 외에 부산 R&D 전략 센터 설치·운영, 과학 기술 진흥 센터 건립, 산학 공동 기술 개발 지원 사업 추진, 지역 혁신 센터[RIC] 운영 지원 등도 광의의 지역 기술 혁신 거점 사업의 일환이라 할 수 있다.
1. 부산테크노파크
테크노파크[TP] 1단계 인프라 구축 사업이 완료됨에 따라, 이를 바탕으로 테크노파크의 지역 혁신 육성 거점 기능 강화 및 기업 지원 종합 서비스 제공을 위한 S/W 중심의 2단계 사업 지원이 이루어지고 있다. 추진 근거는 「국가 균형 발전 특별법」 제11조, 「산업 기술 단지 지원에 관한 특례법」 제17조 및 동법 시행령 제12조이다. 부산테크노파크의 주관 하에 진행되고 있으며 지원 대상은 지역 기업 및 부산테크노파크 입주 기업 등이다. 지원 내용은 지역 산업 육성 기관 간 연계·조정 기능을 강화함으로써 지역 사업의 효율성을 제고하는 ‘거점 기능 강화 사업’과, 연구 개발 지원, 창업 보육, 기업 지원 서비스, 기술 이전 등을 통하여 지역 내 기술 기업을 육성하는 ‘기술 기업 육성 사업’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 공통적으로 수행하는 ‘필수 사업’과 지역 특성을 고려한 ‘선택 사업’으로 구분되어 있다.
부산테크노파크는 지역 혁신 거점 기관으로서 지역 내 산·학·연·관의 유기적인 협력 체제를 구축하여 전략 산업의 육성 및 신기술 창업 지원 등 기업 경쟁력 향상과 지역 경제 활성화를 위한 허브로서 기능하고 있다. 기업에 대한 기술 지원 및 정보 제공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으며, 기계부품소재기술지원센터, 차세대열교환기센터, 스마트전자부품기술지원센터 등 산하 7개 특화 센터 및 2개 부속 센터와 함께 지역 기업과 긴밀한 산·학·연·관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활발한 정보 교류를 통해 지역 산업의 허브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또한, 2011년 부산 지역 연구 및 기업 지원 기관으로는 처음으로 지식경제부 산하 기술표준원으로부터 정부 공인 서비스 품질 인증 제도인 한국 서비스 품질 우수 기관 인증을 획득하였다.
2. 부산R&D전략센터 설치·운영
열악한 재정 여건 아래서 정부 부처의 연구 개발 사업을 적극적으로 유치할 경우 지방의 적은 재정 부담으로도 기술 개발 등 지역 기업 지원에 나설 수 있다는 점에 착안하여 전국 최초로 R&D 전략 센터를 설치하였다. R&D 전략 센터는 수도권에 비해 상대적으로 열악한 지방의 R&D 수행 역량의 한계를 극복하고, 지역 산업에 기반을 둔 연구 개발 사업을 기획·발굴하여 R&D 사업의 투자 효과를 극대화 시키는 한편, 정부 부처의 연구 개발 과제를 더 많이 유치하기 위해 시도된 전국 최초의 시스템이다.
2011년 11월 부산 10대 전략 산업에 기반을 둔 R&D 여건 조성과 중앙 부처의 프로젝트 발굴을 위해 산·학·연의 전문가와 함께 기술 수요 조사를 실시하고, R&D 전략 실무 위원회와 외부 전문가의 평가를 거쳐, 2011년 12월 제1차 R&D 전략 위원회를 개최하였다. 부산광역시에서는 R&D 전략 센터를 통해 지속적으로 신규 과제를 발굴하고 중앙 부처 및 정부 출연 연구 기관 관계자 초빙 세미나 개최 등을 통해 네트워크를 강화할 계획이다
3. 과학 기술 진흥 센터 건립
교육과학기술부의 지방 과학 연구 단지 육성 사업으로 건축 공사가 시작된 과학 기술 진흥 센터는 부산광역시 강서구 지사동 일원 부산 과학 일반 산업 단지 내 1만 6529㎡의 부지에 연면적 1만 2231㎡의 규모로 2011년 4월에 개관하여 운영되고 있다. 지하 1층 지상 9층의 건물에 각종 회의실, 편의 시설, 게스트 하우스 등의 시설을 갖추고 있으며 기업 부설 연구소, 연구 개발 서비스 센터 등 R&D 관련 기관이 입주하여 테크노파크 산하 지역 특화 센터, 연구소 등과 연계하며 R&D 기획·기술 개발 및 사업화 지원 등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2011년 1단계로 인프라 구축 사업이 마무리되고, 교육과학기술부의 2단계 사업 계획이 정해지면 기술 수요 조사를 통해 지역 전략 산업 분야의 유망 기술 분야를 과제로 선정·기획하여 중앙 부처에 제안하는 역매칭 방식으로 지역 주도형 R&D 사업을 추진해 나갈 계획이다.
4. 기술 개발 거점 우수 연구 센터
부산광역시의 우수 연구 센터로는 부경대학교와 부산대학교 등 2개 대학에 4개의 연구 센터가 지정되었고, 그 중에서 3개 사업은 종료되었다. 2008년 현재 조선 공학 분야의 부산대학교 첨단조선공학연구센터가 유일하게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웹사이트 플러그인 제거 작업으로 인하여 플래시 플러그인 기반의 도표, 도면 등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서비스를 잠정 중단합니다.
표준형식으로 변환 및 서비스가 가능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순차적으로 변환 및 제공 예정입니다.
5. 정보 통신 연구 센터[ITRC]
정보 통신 연구 센터[Information Technology Research Center] 사업은 대학에 결집되어 있는 인적 자원을 적극 활용하여 IT 핵심 기술을 개발하고 프로젝트 수행 능력이 있는 고급 연구 인력을 양성하기 위해 정보통신부에서 2000년부터 추진하고 있다. 부산광역시에서는 부산대학교 플라스틱정보소재연구센터에서 IT Soc/부품 분야를, 그리고 동명대학교 유비쿼터스항만IT연구센터에서 RFID/USN 기반 항만 IT 기술 분야 등을 진행하고 있다.
6. 산학 공동 기술 개발 지원 사업 추진
대학의 우수한 연구 인력과 장비를 활용하여 중소기업의 기술적 애로를 해결하기 위하여 중소기업청, 지방 자치 단체 및 지역 대학이 공동 참여하는 산·학·연 공동 기술 개발 지원 사업을 추진해 오고 있다. 2011년에는 14개 대학이 참여, 67개 과제에 44억 1200만 원의 사업비를 투입하여 각종 연구 개발 과제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로 특허 출원 47건, 시제품 개발 106건, 공정 개선 106건, 신기술 개발 19건 등 모두 모두 278건의 기술 개발 성과를 거두었다.
또한 영세한 기업 규모 때문에 연구소를 설치하지 못하는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공동으로 연구소를 설치, 지원하는 사업으로 산학 협력 기업 부설 연구소 설치 지원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2011년 14개 대학이 참여, 연구소 운영을 통해 35개 과제에 모두 49억 6900만 원의 사업비를 투입하여 중소기업의 기술 혁신 활동을 지원하였다. 그 결과 시제품 개발 24건, 특허 15건, 공정 개선 28건, 상품화 15건, 논문 발표 18건, 연구 인력 고용 창출 30명 등의 성과를 거두었다.
7. 지역 혁신 센터[RIC] 운영 지원
기술과 장비, 연구 인력을 갖춘 대학을 중심으로 지역 기업이 참여하여 기술 개발과 함께 기업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지역 혁신 센터를 운영하고 있다. 2011년 6개소의 지역 혁신 센터를 운영하며 지역 기업들이 현장에서 겪는 기술 애로 해결에 상당한 기여를 하였다.
8. 창업 보육 및 기술 사업화 센터
부산광역시의 창업 보육 센터는 대학 내 창업 보육 센터 16개소, 한국신발피혁연구소 내 지식집약형 신발창업보육센터, 그리고 기계 부문에 특화된 생산기술연구원 동남권본부의 창업 보육 센터 등 20개 센터에 340여 개의 기업이 입주해 창업 지원을 받고 있다.
9 기타
부산광역시는 부산 지역 연구 개발 특구 지정을 추진하고 있다. 국제 산업 물류 도시를 중심으로 서부산권 일대 51.9㎢를 연구 개발 특구로 지정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연구 개발 특구는 자동차 및 조선 부품, 기계 및 소재 산업이 발달해 있는 서부산권 일대를 연구 개발 특구로 지정하여, 연구와 생산 활동이 동시에 일어나는 명실상부한 동남권 산업 허브로 육성하기 위해 추진되고 있다. 연구 개발 특구가 지정되면 권역 내 정부 출연 연구 기관과 대학 등 인력 양성 기관을 집적하여 활발한 기술 개발 활동이 일어나고 입주 기업에 대한 각종 혜택이 주어져 서부산권 일대가 동남권 전체에 대한 중추적 기술 및 소재, 부품의 공급 기지로 성장할 수 있을 것이다.
[변천]
1999년 12월 18일 부산테크노파크 설립이 허가되었다. 2009년 2월 2일 「지역 산업 진흥 사업 공통 운영 요령」[지식경제부 고시 제2009-18호]이 제정되어 시행되었다. 2009년 8월 21일 일부 개정되었다. 2010년 5월 12일 일부 개정되면서 「지역 산업 지원 사업 공통 운영 요령」으로 개칭되었다. 2011년 4월 부산테크노파크 과학기술진흥센터가 개관하였다. 2011년 12월 8일 부산테크노파크 내 부산R&D전략센터가 설치되었다. 2011년 12월 22일 일부 개정[「지역 산업 지원 사업 공통 운영 요령」으로 개칭]되었다. 2013년 3월 6일 「지역 산업 지원 사업 공통 운영 요령」이 일부 개정되었다.
[의의와 평가]
부산광역시의 지역 산업의 경쟁력 제고와 지역 혁신 체계 강화에 기여하고 있다. 혁신 거점의 조성과 함께 장비 및 시설의 공동 구축과 공동 활용을 통하여 지역 기업들의 연구 개발 및 시제품 생산을 지원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