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215262 |
---|---|
한자 | 情報化基本計劃 |
영어의미역 | Basic Plan for Promoting Information |
이칭/별칭 | DIGIPORT21,U-space Busan 21계획, Asian Smart Network Space Busan[Smart Busan 2015] |
분야 | 정치·경제·사회/정치·행정,정치·경제·사회/경제·산업 |
유형 | 제도/법령과 제도 |
지역 | 부산광역시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장지용 |
[정의]
부산광역시가 추진하는 도시 정보화 계획.
[제정 경위 및 목적]
2000년 부산광역시의 정보화 기본 계획이 최초로 수립되었다. 부산항의 입지를 강화하여 해양 수도를 구축함과 동시에 환태평양의 국제 교류 거점 도시로서의 위상을 제고할 목적으로 제정된 ‘DIGIPORT 21’이 그 시작이다.
[관련 기록]
관련 기록으로는 「부산광역시 정보화 기본 계획(2011-2015)」[부산광역시, 2010], 「부산광역시 정보화 기본 조례」[부산광역시, 전부 개정 2010. 3. 31 조례 제4493호]이 있다.
[내용]
1. DIGIPORT 21
2000년부터 2005년까지 총 74개 사업에 3286억 원을 투입하여 행정, 산업, 도시기반의 정보화를 촉진하고 정보화 인프라 조성과 생활 정보화를 추진하였다. 또 기업 환경 조성의 측면에서 산업 정보화 정책의 기조를 산업 구조 재편 및 고도화에 두고, 실행 과제를 중소기업 대상 ASP 사업, 산업 종합 정보 시스템 구축 사업, 정보 통신 산업의 육성 지원 사업, 전자 상거래 지원 사업 등의 4개 분야로 집약하였다.
ASP[Application Service Providing, 네트워크를 통한 응용 프로그램 공급] 사업은 기업 정보화의 기본인 사무 자동화 시스템의 구축 및 운영 업무를 대행하여 부산 지역 중소기업 및 중견 기업체가 저렴한 비용으로 시스템을 구축하고 이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산업 종합 정보 시스템 구축 사업은 지역 내 경제 활동에 필요한 종합적인 정보 제공과 중소기업 관련 각종 정책 수립 지원 및 무역 관련 업무의 정보화 지원으로 중소기업의 경쟁력 향상 및 지역의 산업 경제 활성화에 기여하고자 입안된 사업이다.
2. U-space Busan 21계획
2005년부터는 U-space Busan 21[2005-2010년] 계획으로 변경되었다. 쾌적한 삶을 추구하는 정보 혁신 도시가 목표였고, 구체적으로는 시민이 참여하는 열린 행정 도시, 신산업을 선도하는 기회 도시, 미래를 앞당기는 지능형 도시, 언제나 접근이 가능한 초고속 정보 도시, 시민 모두가 편리한 원스톱 생활 정보 도시가 목표였다.
2006년부터 2010년까지 정보화 사업은 전체 74개 사업이 계획되었으며, 이중 61개 사업은 완료되었다. 행정 정보화 분야는 73.3%가 완료되었고, 모바일 현장 행정 처리 시스템의 구축의 경우 2009년 공간 정보 현황 관리 체계가 구축 완료되었으며, 2011년에 모바일 인트라넷을 구축 완료할 예정이다.
생활 정보화는 81.3%의 완료율을 보이고 있고, 시 산하 홈페이지 통합 추진과 응급 환자 인식 서비스 등을 2006년에 완료하고 시민 정보화 교육 확대 등을 추진 중이다. 도시 기반 정보화는 91.7%가 완료되었는데 생활 지리 정보 포털 등은 2009년도에 구축 완료되었고, 버스 환승 정보 안내 시스템 및 재난 상황실 통합은 2010년에 구축 완료되었다.
산업 정보화는 76.9%가 완료되었는데 문화 관광 정보 서비스 포털은 2008년에 구축 완료되었으며, 디지털 콘텐츠 유통 시스템 구축 등이 현재 추진되고 있다. 정보 인프라는 93.3%의 완료율을 보이고 있고, 재해복구센터가 2010년 구축 완료되었으며, ‘부산 데이터 센터’ 구축이 추진되고 있다.
3. Asian Smart Network Space Busan[Smart Busan 2015]
2011년부터 추진 중인 도시 정보화 추진 기본 계획은 4가지 영역에서 정보화 추진방향을 설정하고 있다. 정보화 비전은 동북아시아의 해양 및 조선/IT 융합 산업의 거점 역할, 동북아 상품 시장의 역할, 해양 도시로서의 기능 활성화, 문화 관광 컨벤션 기능 활성화 등을 통한 동북아 미래 도시상 정립이다. 이러한 비전을 달성하기 위한 목표는 크게 Green & Blue 부문, Creative & Slow 부문, Movie & Culture 부문, Asian Gateway 부문으로 설정하고 있다.
Green & Blue 정보화 목표는 녹색 성장, 녹색 정보화와 관련된 사업을 추진하고 해양 관련 정보 서비스를 구현함으로써 국가 정책과 지역적 성격을 동시에 추구하고자 한다. Creative & Slow 정보화 목표는 주민의 삶을 편리하게 하는 이용자 중심의 정보화를 구현하는 것으로, 스마트한 행정 민원 서비스 지원 등을 추구하고 있다. Movie & Culture 정보화 목표는 부산의 5대 축제, 관광, 컨벤션 등의 기능을 한층 강화하고 전략적으로 지원하는 사업을 목표로 추구하고 있다. Asian Gateway 정보화 목표는 아시아 지역 해양 및 조선 관련 IT 산업을 육성하고, 장터 육성을 통해 동북아 교류 협력의 장을 마련하는 것 등이다. 여기에 더해 정보화 인프라를 구축함으로써 안정적인 서비스 구현 지원을 목표로 하고 있다.
Green & Blue 부문의 구제적인 과제는 클라우드 컴퓨팅 스마트 워크 센터, 해양 생태계 조기 경보 서비스, U-수자원 관리, 스마트 오피스, Green & Blue 청정에너지 관리 시스템, 그리드 컴퓨팅 기반의 행정 전산 시스템 구축 등의 6개 과제로 집약된다. Creative & Slow 부문의 구체적인 과제는 원스톱 스마트 사회 복지 서비스, 바로드림 도서 대여 서비스, U-Learning 공교육 서비스, 공간 정보를 활용한 시설물 관리, 부산 ITS 시스템, 시민 중심의 스마트 민원 서비스, 모바일 납부 서비스, 스마트 주민 안전 서비스, 대기 관리 서비스 등의 9개 과제이다. Movie & Culture 부문의 과제는 Festival & Event 서비스, Smart Busan Tour, Busan MICE 지원 서비스 등의 4개 과제이다. Asian Gateway 부문은 스마트 TV 동북아 지역 장터, 해운 금융 포털 사이트 구축 등의 2개 과제이다.
인프라 부문은 유무선망 구축, 정보 시스템 통합, 뉴 미디어 서비스, DRM 시스템 구축, 개인 정보 보호, 사이버 침해 대응 센터 구축 및 운용 방안, 데이터 센터 통합, 영상 정보 통합 시스템 구축, 통합 인증 체계 구축, 정보 보안 아키텍처 구축, 통합 홈페이지 고도화 방안, 정보화 사업 프로세스와 정보 보호 통합 방안의 구축 등 12개 과제이다. 그 외에 2006~2010년의 제3차 지역 정보화 기본 계획의 고도화를 위해 상수도 업무 정보화 서비스, 디지털 콘텐츠 유통 시스템 구축, 주차 공간 위치 안내 서비스, 모바일 포털 구축 등이 과제로 선정되었다.
우선순위 분석 결과를 기초로 부산광역시에서 단계적으로 이행해야 할 추진 과제를 4개의 단계로 나누고 있다. 1단계는 시급성이 높거나 정책적 적합성이 높은 20개 과제를 선별하여 2011년부터 2012년 까지 시행한다. 전체 1순위는 유무선망 구축사업이고, 2순위는 통합 홈페이지 고도화 방안이다. 2단계는 부산광역시의 핵심 전략을 지원할 수 있는 정보화 분야를 발굴하여 11개 과제로 구성하였고, 해운 금융 포털 사이트 구축, 데이터 센터 통합, 정보 시스템 통합 등이 포함되어 있다. 2013년에서 2014년 사이에 추진할 계획이다. 3단계는 공간 정보 등 GIS 기반이 구축이 완성된 후 추진할 사업 5개 과제로 구성되어 있다. U-Learning 공교육 서비스, 스마트 TV 동북아 지역 장터 등이 포함되어 있다.
[변천]
1997년 12월 31일 「부산광역시 정보화 촉진 조례」[부산광역시 조례 제3414호]가 제정 시행되었다. 1998년 9월 15일 일부 개정[부산광역시 조례 제3475호]하고 2000년 ‘DIGIPORT 21’[정보화 기본 계획, 2000~2005년]이 시행되었다. 2004년 3월 11일 일부 개정[부산광역시 조례 제3912호]했으며, 2004년 6월 10일 전부 개정[부산광역시 조례 제3930호]하였다. 2005년 2월 16일 일부 개정하여 「부산광역시 정보화 기본 조례」[부산광역시 조례 제3984호]로 제명이 변경되었다.
2005년 ‘U-space Busan 21 계획[정보화 기본 계획, 2005~2010년]’이 시행되었다. 2008년 5월 7일 일부 개정[부산광역시 조례 제4267호]했으며, 2010년 3월 31일 일부 개정[부산광역시 조례 제4493호]하였다. 2011년 ‘Asian Smart Network Space Busan[Smart Busan 2015][정보화 기본 계획 2011~2015년]’이 시행되었다.
[의의와 평가]
부산광역시의 다양한 형태의 개발과 도시 문제에 대한 대처하고, 도시 발전 구상 등을 관리 지원하기 위해 정보화 기본 계획이 실시되고 있다. 정보화 기본 계획은 법과 제도의 정비 방안, 정보화 추진 체계의 정비 방안, 구성원의 참여를 유도할 수 있는 방안, IT 인력 양성 방안 등을 제시하고 있다. 이를 통해 시민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