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자동차, 부품 산업 육성 계획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15261
한자 自動車-部品産業育成計劃
영어의미역 Plan for Promoting Automobile Parts Industry
분야 정치·경제·사회/정치·행정,정치·경제·사회/경제·산업
유형 제도/법령과 제도
지역 부산광역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장지용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제정 시기/일시 1995년 5월 20일연표보기 - 「부산광역시 전략 산업 육성에 관한 조례」 제정
개정 시기/일시 1999년 12월 30일 - 「부산광역시 전략 산업 육성에 관한 조례」
개정 시기/일시 2004년 4월 22일 - 「부산광역시 전략 산업 육성에 관한 조례」
개정 시기/일시 2005년 2월 16일 - 「부산광역시 전략 산업 육성에 관한 조례」
개정 시기/일시 2008년 5월 7일 - 「부산광역시 전략 산업 육성에 관한 조례」
개정 시기/일시 2009년 7월 8일 - 「부산광역시 전략 산업 육성에 관한 조례」
특기 사항 시기/일시 1999년 4월 - 「자동차, 부품 산업 육성 5개년 계획[안]」 확정
특기 사항 시기/일시 1999년 - 부산광역시 1단계 10대 전략 산업
특기 사항 시기/일시 2004년 - 부산광역시 2단계 10대 전략 산업
특기 사항 시기/일시 2009년 - 부산광역시 3단계 10대 전략 산업
관할 지역 자동차, 부품 산업 육성 계획 - 부산광역시

[정의]

부산광역시에서 시행하는 자동차, 부품 산업 육성 계획.

[제정 경위 및 목적]

부산광역시의 자동차 부품 생산 업체는 규모가 영세하고 자금, 전문 인력, 기술 개발, 정보 획득 등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부품 업체는 단순 하청 생산에 머물고 있으며 상대적으로 기술 수준도 낮은 상황이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부산광역시에서 자동차, 부품 산업 육성 계획이 추진되었다.

[관련 기록]

관련 기록으로는 「자동차, 부품 산업 육성 5개년 계획[안]」[부산광역시, 1999], 「부산광역시 전략 산업 육성에 관한 조례」[부산광역시 조례 제4388호, 2009. 7. 8, 일부 개정]이 있다.

[내용]

자동차, 부품 산업 육성 5개년 계획에서는 자동차 부품 협동화 단지, 기계 산업 인력 양성 사업단 지원, 현장 기술·기능 인력 양성 지원, 전문 인력 재교육 사업 지원, 부산경남자동차테크노센터 지원 확대, 고부가 가치 품목 기술 개발 지원, 1사 1품질 인증 획득 지원, 해외 상설 협의체 구성, 부산 국제 모터쇼 개최 지원, 전자 상거래 기반 구축이 주요 사업이었다.

 

웹사이트 플러그인 제거 작업으로 인하여 플래시 플러그인 기반의 도표, 도면 등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서비스를 잠정 중단합니다.
표준형식으로 변환 및 서비스가 가능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순차적으로 변환 및 제공 예정입니다.

이후 「부산광역시 전략 산업 육성에 관한 조례」에 따라 부산광역시 3단계 10대 전략 산업 육성 수정 계획을 보면 다음과 같다.

1. 부산 기장 자동차 부품 단지 협동화 사업 지원

자동차 부품 단지의 업체 간 기술 협력, 생산성 향상 및 경쟁력 강화를 위한 협동화 [공동 이용] 시설 건립 사업비를 지원한다. 2009년 11월부터 2011년 8월까지 총사업비 41억 7700만 원[시비 10억 원, 민자 31억 7700만 원]으로 장안 일반 산업 단지 자동차 부품 협동화 단지 E20-6~10[5필지]에 부지 2,235㎡, 연면적 3,537㎡[지하 1, 지상 3층] 규모로 협동화 시설을 건립한다.

2. 자동차 부품 안정성 평가 기반 구축

자동차 부품의 안정성 확보 설계, 시제품 제작 및 시험 평가 기반을 구축한다. 부산 지역 자동차 부품 산업 안정성 관련 기술 개발 지원 체계 구축 및 기술 개발 활성화를 통해 국내외 자동차 부품 기술·정보·R&D 핵심 거점 기능을 확립하고자 한다. 2009년부터 2011년까지 총사업비 53억 7000만 원[국비 29억 70000만 원, 시비 24억 원]으로 부산테크노파크 자동차부품기술지원센터에서 추진한다.

3. 자동차부품기술지원센터 운영 지원

부산광역시 2단계 지역 전략 산업 진흥 사업으로 특화 센터의 인프라 구축이 완료됨에 따라 센터의 안정적인 운영과 원활한 기업 지원을 위하여 재정 자립에 필요한 운영비를 지원한다. 2009년부터 2012년까지 총사업비 17억 7600만 원[시비]으로 부산테크노파크 자동차부품기술지원센터에서 추진한다.

4. 고부가 가치 수송 기계 부품 기술 개발 사업

고부가 가치 수송 기계 부품 기반의 부품 기술 고도화에 따른 기술 개발의 필요에 따라 부산 지역 수송 기계 부품 소재 산업 첨단화 및 고부가 가치화를 위한 연구 개발을 지원한다. 2009년부터 2012년까지 총사업비 366억 100만 원[국비 244억 6500만 원, 시비 25억 900만 원, 민자 96억 2700만 원]으로 부산지역산업평가단과 한국산업기술진흥원에서 추진한다.

5. 수송 기계 안전 편의 부품 소재 허브 구축 사업

동남권 수송 기계 안전 편의 융합 부품 소재 산업 기술 고도화 및 글로벌화를 통한 지역 및 국가 경쟁력 제고와 함께 동남권 전통 기계 부품 소재 산업과 IT 산업과의 융합을 통한 새로운 성장 동력을 창출한다. 2009년부터 2011년까지 총사업비 340억 7700만 원[국비]으로 동남광역경제권 선도산업지원단에서 추진한다.

6. 부산 자동차 부품 소재 기업 지원 서비스 사업

부산 지역 자동차 부품 중소기업의 고부가 가치 기술 혁신을 주도하고, 자동차 부품 산업의 기술 혁신, 품질 및 신뢰성 향상, 생산 기술 혁신 역량 강화 등을 위한 종합적인 기술 지원 체계 확립을 추진한다. 2009년부터 2012년까지 총사업비 17억 8160만 원[국비 9억 8160만 원, 시비 8억 원]으로 부산테크노파크 자동차부품기술지원센터에서 추진한다.

7 부산 친환경 자동차 기술 기반 사업

한국기계연구원[KIMM]에서 추진하는 디젤-하이브리드 버스 개발 및 시범 운영과 연계하여 부산 지역 업체의 친환경 자동차 관련 기술 개발 및 인프라를 구축한다. 부산광역시의 자동차 부품 업체[249개사]에 대한 친환경 자동차 관련 기술 개발 및 인프라 구축 분야에 지역 업체 참여를 확대한다. 2011년 1년간 총사업비 9000만 원[시비]으로 부산테크노파크 자동차부품기술지원센터에서 추진하였다.

8. 부산 국제 모터쇼 개최

부산 국제 모터쇼는 완성차 및 부품·용품 전시 행사와 수출 구매 상담회, 학술 행사 및 대주 이벤트 등의 부대 행사로 이루어지는 행사로 동남권 자동차 및 자동차 부품 산업 발전 및 지역 경제 활성화를 위해 개최하였다. 총사업비 매회 40억 원[국비 1억 5000만 원, 시비 10억 원, 민자 28억 5000만 원]으로 부산광역시에서 추진하였다.

9. 기계·자동차 해외 마케팅 지원

부산 지역 기계·자동차 부품 산업 발전 및 지역 경제 활성화를 위해 해외 마케팅을 지원한다. 2010년 1년간 총사업비 1억 5000만 원[시비]으로 부산광역시중소기업진흥공단이 추진하였다.

10. 부산-후쿠오카 자동차 부품 산업 교류 협력을 위한 마케팅 사업[구상 사업]

부산-후쿠오카[福岡市](복강시)] 자동차 부품 산업의 선도 기업과의 부품 구매 상담회 및 전시회를 이용한 마케팅 사업을 추진하여 부산 지역 자동차 부품 산업의 해외 경쟁력을 강화한다. 부산 지역의 자동차 부품 분야의 우수한 생산품을 후쿠오카 자동차 산업 관련 기업 및 바이어에게 소개하여, 지역 기업의 생산 수출 확대 기회로 적극 활용할 수 있도록 체계적이고 차별적인 마케팅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2011년부터 2014년[4년간]까지 총사업비 8억 원[시비]으로 자동차 부품 산업 교류 추진단이 추진한다.

11. 자동차 부품 현장 기술 기능 인력 양성

현장 맞춤형 인력 양성 지원을 통한 부산 지역 자동차 부품 산업의 육성을 지원한다. 2009년부터 2012년까지 총사업비 20억 5000만 원[국비 14억 원, 시비 6억 5000만 원]으로 부산테크노파크 자동차부품기술지원센터에서 추진하였다. 맞춤형 인력 양성으로 설계 해석, 품질 시스템 관리, 시제 작품을 통한 현장 맞춤 교육을 하고 산업 현장 기반 기술 교육으로 특정 기술 기능 전문 교육을 실시하였다.

12. 수송 기계 안전 편의 융합 부품 소재 인재 양성 센터 지원

수송 기계 안전 편의 융합 부품 소재와 관련된 통합 LPG형[Local, Practical, Global] 인재를 양성한다. 고급 전문 인력을 수송 기계 안전 편의 융합 부품 소재 산업체에 공급하여 동남광역권내 관련 업체의 기술력을 향상하고, 국내외 수송 기계 산업의 경쟁력을 강화한다. 2011년 6월부터 2012년 5월까지 총사업비 243억 3840만 원[국비 228억 원, 시비 5억 4720만 원, 민자 9억 9120만 원]으로 부산광역시 남구 용당동 산100 부경대학교 용당캠퍼스 내에서 연면적 5,600㎡[연구 시험동], 장비 38여 종을 구축하여 추진한다.

[변천]

1999년 4월 「자동차, 부품 산업 육성 5개년 계획[안]」을 확정하고, 10개 사업에 2564억 원을 투자하는 계획을 추진하였다. 1999년 5월 20일 「부산광역시 전략 산업 육성에 관한 조례」[부산광역시 조례 제3535호]가 제정되었다. 부산광역시의 1단계 10대 전략 산업[1999~2003년]에 자동차 부품 산업이 포함되어 있었다. 2000년~2001년 동안에는 국비 101억 원, 시비 22억 원, 민자 38억 원 등 총 161억 원이 투자되었고, 2002년~2005년 동안에는 2403억 원을 투자할 계획이었다.

주요 사업으로는 자동차 부품 협동화 단지 조성[2001년~2005년, 사업비 2000억 원], 산업 기술 인력 양성 지원[지역 대학 및 테크노 센터 지원], 기술 개발 지원[1사 1품질 인증 획득 지원 등], 판매 지원[2001 부산 국제 모터쇼 개최, 전자 상거래 기반 구축, 부산-큐슈 자동차 산업 교류회 발족 등] 등의 사업이 추진되었다. 부산광역시의 2단계 10대 전략 산업[2004~2008년]에서는 자동차 부품 산업이 기계 부품 소재 산업으로 통합되었고, 구조 고도화 산업에서 핵심 전략 산업으로 지정되었다. 이에 따라 자동차, 부품 산업에 대한 계획도 기계 부품 소재 산업의 큰 틀에서 기획, 실천되고 있다.

[의의와 평가]

부산광역시 내 업체 간 기술 협력 및 생산성 향상으로 부품 산업 경쟁력이 강화되었으며 부산 지역이 자동차 부품 기술·정보·연구 개발 핵심 거점으로 기능하게 되었다. 자동차, 부품 산업 활성화 및 지역 경제 발전에 기여하였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