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215229 |
---|---|
한자 | 地下道商街 |
영어의미역 | Underground Shopping District |
이칭/별칭 | 지하 상가 |
분야 | 정치·경제·사회/경제·산업 |
유형 |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
지역 | 부산광역시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조준현 |
[정의]
부산광역시 도시 철도 역간 지하 보행로 및 연결 통로에 상가를 조성한 구역.
[개설]
지하도 상가는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제43조 제3항에 따라 부산광역시가 관리하며, ‘부산광역시 지하도 상가 관리 조례 제4429호’에 의거하여 ‘지하공공 보도 시설의 결정, 구조 및 설치 기준에 관한 규칙’ 제2조 제4호에 따르는 지하도 상가를 의미한다. 부산 지역의 지하도 상가 및 부대시설은 관리를 위탁받은 자나 기부 채납한 후 부산광역시로부터 무상 사용과 수익을 허가받은 자만이 관리할 수 있으며, 해당 관리자는 제3자에게 점포를 임차해 주기 위하여 임대차 계역을 체결하여야 한다.
[변천]
1980년 4월 29일부터 1981년 8월 14일까지 공사비 26억 5,200만 원을 들여 부산시설공단[당시 부산시설관리공단 으로, 2010년 1월 1일 부산시설공단으로 사명 변경]은 국제 지하도 상가를 건설하였다. 1981년 10월 21일 주식회사 대화개발 이 기부 채납(寄附採納)[재산의 소유권을 무상으로 국가에 이전하고 국가가 이를 취득]하고 부산시가 무상 사용을 허가하여 1981년 11월 1일부터 2001년 10월 31일까지 20년간 무상 사용이 허가되었다.
1980년 6월 23일부터 1982년 12월 20일까지 대현실업 은 공사비 130억 원을 들여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부전동 일대에 대현 지하도 상가를 건설하였다. 1981년 12월 22일 1공구를 준공하고 동시에 상가를 개장하였으며, 1982년 12월 22일 2공구를 준공하고 상가를 전면 개장하였다. 1983년 3월 대현실업 은 도로 점용 허가를 취득하였다. 대현실업 은 대현 지하도 상가를 기부 채납하였으며, 부산시는 1982년 12월 22일부터 2016년 4월 21일까지 33년간 무상 사용 기간으로 허가하였다. 1997년 12월 9일 대현실업 은 2016년 4월 21일까지 도로 점용 연장 허가를 취득하였다.
코오롱 지하도 상가는 1986년 3월 22일부터 1988년 6월 20일까지 공사비 236억 2,800만 원을 투입하여 상가 축조 공사가 이루어졌다. 1988년 7월 20일 남포 지하도 상가가 기부 채납되어 1988년 7월 21일부터 2008년 7월 20일까지 무상 사용 기간이 허가되었다. 1986년 3월 20일부터 1988년 7월 11일에는 공사비 190억 6,600만 원을 들여 롯데 지하도 상가 축조 공사가 진행되었다. 완공 이후 1988년 7월 20일, 광복 지하도 상가 역시 기부 채납되었으며 1988년 7월 21일부터 2008년 7월 20일까지 무상 사용이 허가되었다.
1984년 7월 23일부터 1985년 7월 20일에 서면 지하도 상가 축조 공사가 이루어졌다. 1985년 8월 6일 기부 채납되었으며 부산시는 1985년 8월 6일부터 2005년 8월 5일까지 20년간 무상 사용 기간을 허가하였다. 1992년 4월 1일부터 1994년 2월 7일에는 총 공사비 41억 원을 들여 부산역 지하도 상가 건설이 이루어졌다. 부산시는 1994년 2월 7일부터 2014년 2월 6일까지 20년간 무상 사용을 허가하였다.
롯데 쇼핑·호텔은 1994년 9월 10일부터 1997년 12월 6일에 280억 원을 들여 롯데 월드 지하도 상가를 착공하였고, 1997년 12월 17일부터 2017년 12월 16일까지 20년간 무상 사용이 허가되었다. 덕천 지하도 상가는 부산교통공사의 첫 번째 민자 유치 사업으로 건설되었다. 총 공사비 150억 원을 들여 2007년 12월에 착공하여 2008년 8월 개장하였다. 한국도시개발·태아건설 컨소시엄이 덕천역과 숙등역 사이 545m의 연결 통로를 상가로 조성하여 부산교통공사가 기부 채납하고 20년간 무상 사용 기간을 획득하게 되었다.
2001년 9월 13일 부산광역시의 사무 위임탁에 관한 조례가 개정 및 공포되고 2001년 9월 25일 국제 지하도 상가 위탁 관리 계약이 체결되었다. 무상 사용 기간 종료 이후 지하도 상가의 관리 및 운영권을 부산광역시가 환수하였으며 임대차 계약을 체결하였다. 2001년 11월 1일 부산시의 지하도 상가 인계·인수가 이루어지고 부산시설공단이 국제 지하도 상가를 운영하게 되었다.
남포 지하도 상가의 무상 사용 기간 종료 이후인 2007년 12월 31일 지하도 상가 관리 방안이 확정되었고, 2008년 6월 4일에는 지하도 상가 관리 위수탁 계약이 체결되었다. 2008년 6월 「부산광역시 지하도 상가 관리 조례」가 제정되었고, 2008년 7월 9일 남포 지하도 상가는 부산시설공단이 인수하였다. 2008년 7월 21일 민간 업체로부터 부산시설공단으로 지하도 상가 관리권이 이관되어 광복 지하도 상가 또한 부산시설공단이 인수하여 관리하고 있다. 2012년 3월 19일에는 부산시설공단의 서면 지하도 상가 위탁 관리 계약이 체결됨에 따라, 부산시설공단이 서면 지하도 상가를 인수하여 관리하고 있다.
[현황]
덕천 지하도 상가는 업종별 특색에 따라 5개의 테마 존으로 구분되어 있으며, 지하도 상가 내 220여 개의 점포가 입점해 있다. 덕천역 일대는 부산 지역 내 주중과 주말 유동 인구가 가장 많고, 주말 상위 10개 상권 중 뉴코아 아울렛, 덕천 파리바게뜨, 맥도날드 등 3개소가 덕천역 상권 내 위치하고 있다.
2002년 3월 1일부터 7월 12일까지 17억 9,500만 원을 들여 노후화된 국제 지하도 상가의 전면 개·보수 공사가 이루어졌으며 9월 6일 재개장되었다. 국제 지하도 상가의 리모델링 이후, 이전에는 점포 한 칸당 전세금 800만 원 정도를 지불하였으나 리모델링 이후에는 한 칸당 보증금 270만 원에 월세 22만 원을 일률적으로 내는 것으로 바뀌어 상인들의 월세 부담이 가중되었고, 리모델링 작업이 미비하게 이루어진 면이 있어 상가 상인들이 부산광역시에 진정서를 제출하기도 하였다.
2008년 4월 2일 대현 지하도 상가를 대현 프리 몰 부산점으로 명칭을 변경하였으나, 대현 지하상가라는 말이 일반적으로 통용되고 있다. 대현 지하도 상가는 4,622㎡ 면적 내 568개소 점포가 입점해 있어 부산 지역 내 지하도 상가 중 가장 많은 상가가 입점해 있다. 2008년 6월 1일 부산광역시는 국제 지하도 상가 특성화를 위하여 점포를 재배치하여 1라인은 미술의 거리, 2~3라인은 홈패션의 거리로 조성하였다. 국제 지하도 상가는 1,069㎡ 면적 내 120개소 점포가 입점해 있다.
2009년 3월 남포 지하도 상가는 시민들에게 편의를 제공하고 상인들의 어려운 여건을 개선하기 위하여 전국 최초로 고객 불편 신고 센터와 수유실을 개소하여 운영하고 있다. 또한 부산시설공단은 2012년 8월 남포 지하도 상가의 공공 보도 LED 교체 사업 등의 5단계 현대화 사업을 완료하였다. 남포 지하도 상가는 6,132㎡ 면적 내 285개소 점포가 입점해 있다.
2008년부터 2011년까지 54억 원을 들여 남포·광복 지하도 상가 시설 현대화 사업을 진행하였다. 시설 현대화 사업에 따라 종합 방재 시스템을 구축하고 고압 선로의 정비, 109대의 CCTV와 조명 및 기계 자동 제어 설비의 구축, 공공 보도 교체 등이 이루어졌으며, 2012년 8월 5단계 현대화 사업이 완료되었다. 광복 지하도 상가는 2012년 12월 중순부터 매주 금요일 ‘아트 마켓’을 개최하여 상가 내 복합 문화 공간을 조성하여 침체된 상권을 살리고 상가의 이미지를 쇄신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광복 지하도 상가는 5,475㎡ 면적 내 216개소 점포가 입점해 있다.
서면 지하도 상가는 2013년 2월 현재 총 339개 점포 중 계약 완료가 된 점포는 282개 점포이고, 미계약 점포는 57개점이다. 계약 완료된 점포 중 196개 점포는 실영업자가 계약을 승계하였다. 서면 지하도 상가는 4,763㎡ 면적 내 339개소 점포가 입점해 있다. 부산역 지하도 상가는 989㎡ 면적 내 80개 점포가 입점하여 운영되고 있다. 롯데 월드 지하도 상가는 4,695㎡ 면적 내 29개소의 점포가 입점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