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214976 |
---|---|
한자 | 韓國産業銀行釜山支店 |
영어공식명칭 | The Busan branch of Korea Development Bank |
이칭/별칭 | 산업은행 부산지점,산은 부산지점 |
분야 | 정치·경제·사회/경제·산업 |
유형 | 기관 단체/기관 단체(일반) |
지역 | 부산광역시 중구 대청로 136[중앙동 2가 44-1]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조준현 |
[정의]
[설립 목적]
한국산업은행 부산지점은 「한국산업은행법」[1953년 12월 30일 법률 제302호]과 한국 산업 은행 직제 규정에 의거하여 국책에 순응하여 부산 지역의 산업 개발과 국민 경제의 발전을 촉진하기 위한 중요 산업 자금을 융자 관리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변천]
한국 정부는 전후 복구 사업을 지원할 산업 금융 기관의 설립을 위하여 1951년 10월 「한국산업은행법」 초안을 국회에 회부하였으나 6·25 전쟁 중이어서 심의가 보류되었다가 휴전 직후 1953년 11월 국회를 통과하여 법률 제302호로 공포되었다. 폐허화된 산업 시설을 재건하고 경제 개발을 위한 장기 산업 자금을 지원하기 위하여, 1918년 이래 존속해 온 조선식산은행을 모체로 하여 1954년 4월 한국산업은행을 설립하였다. 1954년 4월 한국산업은행 부산지점을 개점하였다.
1961년 12월 주식 인수, 사채 보증, 외자 도입 업무를 취급하고, 1973년 3월 갑류 외국환 은행 업무를 취급하였다. 1974년 10월 외화 산업 금융 채권 발행을 개시하였다. 1989년 신탁 업무, 1990년 유가 증권 인수, 매출, 모집 업무, 1997년 회사채 주간사 업무 및 MMDA상품을 취급하여 주요 사업 영역을 점차 확대하였다. 1999년 7월에는 국채 전문 딜러 자격을 취득하였다.
2009년 「산업은행법」 개정안이 국회를 통과하고, 10월 한국산업은행이 산은금융지주와 정책금융공사로 분할되었으며, 2009년 11월 한국산업은행은 산은금융지주 자회사로 편입되었다.
[주요 사업과 업무(활동 사항)]
국가 중요 산업에 관한 자금 지원을 전담하는 금융 기관으로서, 정부 지정 주요 산업 및 공공사업에 관한 융자, 산업 금융 채권의 발행, 사채의 응모 인수 및 동 부대 업무, 담보부 사채 신탁에 관한 업무, 기타 정부의 명령과 위탁에 의한 업무를 수행한다.
[현황]
부산광역시에는 한국산업은행 부산지점을 비롯하여 금정지점, 녹산지점, 동래지점, 범일지점, 사하개인금융, 해운대점 등 7개 지점이 있다.
웹사이트 플러그인 제거 작업으로 인하여 플래시 플러그인 기반의 도표, 도면 등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서비스를 잠정 중단합니다.
표준형식으로 변환 및 서비스가 가능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순차적으로 변환 및 제공 예정입니다.
[의의와 평가]
한국산업은행 부산지점은 경제 개발 과정에서 국책 은행으로서 한국 정부의 산업 및 산업 금융 정책에 부응하였다. 개발 금융의 확대와 발전을 위하여 노력하였다. 또한 외자 도입 체제를 강화하여 부산 지역 기업들의 해외 진출에도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여 산업 금융의 중추 기관으로 자리매김하였다. 이외에도 국내외 산업 경제에 대한 조사, 연구 및 통계 조사를 바탕으로 정책 건의와 기업 합리화 유도로 부산 지역 산업의 발전에도 기여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