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14664
한자 -東一
영어공식명칭 DRB Holding Co., Ltd.
이칭/별칭 동일고무벨트,DRB동일
분야 정치·경제·사회/경제·산업
유형 기관 단체/기관 단체(일반)
지역 부산광역시 금정구 공단동로55번길 19[금사동 36-1]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최성일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제조업체
설립자 김도근(金稌根)
전화 051-520-9000
홈페이지 디알비동일(http://www.drbworld.com)
설립 시기/일시 1945년 9월 30일연표보기 - 동일화학공업소로 창업
이전 시기/일시 1980년 5월 - 부산광역시 동래구 금사동 7[금사 공장]로 이전
개칭 시기/일시 1966년 11월연표보기 - 동일화학공업소에서 동일고무벨트로 개칭
개칭 시기/일시 2012년 10월 1일연표보기 - 동일고무벨트에서 DRB동일로 개칭
개칭 시기/일시 2013년 3월 22일연표보기 - DRB동일에서 디알비동일로 개칭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47년 - 전동 벨트[V-벨트] 생산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51년 - 컨베이어 벨트 생산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64년 - 국내 최초로 평벨트 수출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65년 3월 4일 - KS 규격 획득[평벨트, 컨베이벨트]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76년 5월 21일 - 기업 공개[한국증권거래소 상장]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81년 12월 22일 - 제18회 수출의 날 1000만 불 수출의 탑 수상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84년 - 크롤러 생산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86년 4월 24일 - R&D 연구소 설립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87년 9월 17일 - 난연성 컨베이어 벨트 미국 MSHA 규격 획득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89년 6월 9일 - 난연성 컨베이어 벨트 캐나다 EMR 규격 획득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90년 - 공장 자동화 기기[FA] 사업 진출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90년 - 고암장학회 설립[1993년 고촌장학회로 변경]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92년 6월 30일 - 양산 공장 준공[자동차 부품 생산 공장]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95년 7월 - ISO 9002 인증 획득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96년 - 철도 궤도용 방진 패드 개발, 건설 기계용 크롤러 유럽 수출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99년 4월 6일 - 난연성 컨베이어 벨트 호주 MIDA 규격 획득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1년 - ERP[전사적 자원 관리 시스템] 도입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1년 9월 - 신노사 문화 우수 기업 선정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1년 9월 25일 - FA사업팀을 동일파텍-Dongil Fatec Co., Ltd.롤 법인 설립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1년 12월 18일 - 청도동일교대유한공사 설립[중국]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2년 - DCM[고객 지원 시스템] 구축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3년 - 언더캐리지 패키지 유럽 수출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3년 - ISO-9002에서 ISO-9001로 갱신 인증 획득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3년 - 중국 북경 사무소 설립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3년 1월 - 중국 청도동일상교유한공사 설립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4년 - 슬로바키아 Dongil Rubber Belt Slovakia, s.r.o. 설립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4년 - 지하철 안전 발판[PGF] 개발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4년 - ISO-14001[환경 경영 시스템] 신규 인증 획득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4년 - ISO/TS-16949[비히클실링] 인증 획득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4년 - 미국 Dongil Rubber Belt North America Inc. 설립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5년 - ISO/TS-16949[자동차용 타이밍 벨트] 신규 인증 획득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5년 - 중국 북경동일초성소수유한공사 설립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5년 - 중국 청도동일초성소수유한공사 설립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6년 - 베트남 Dongil Rubber Belt Vietnam Co., Ltd. 설립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6년 6월 - 부산광역시 품질 경영 대상 수상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6년 7월 - 부산광역시 향토 기업 선정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6년 12월 - 부산광역시 전략 산업 선도 기업 지정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7년 1월 - 중국 상해동일초성상교유한공사 설립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7년 - 일본 국토교통성 면진시스템[NRB] 부재 인증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7년 4월 26일 - 슬로바키아 공장 준공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8년 - 일본 Dongil Rubber Belt Japan Co., Ltd. 설립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8년 12월 - 제45회 무역의 날[산업자원부장관 상 수상]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9년 4월 - 부산광역시 우수 기업 선정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9년 5월 - 베트남 공장 준공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9년 9월 - 노사 문화 우수 기업 선정[노동부]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10년 - 중국 청도 동일문화센터 준공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12년 10월 5일 - 회사 일부를 분할하여 동일고무벨트, DRB인터내셔널 설립
최초 설립지 동일화학공업소 - 부산광역시 동래구 수안동 11지도보기
주소 변경 이력 동일고무벨트 - 부산광역시 금정구 공단동로 55번길 19지도보기
현 소재지 디알비동일 - 부산광역시 금정구 공단동로 55번길 19[금사동 36-1]지도보기

[정의]

부산광역시 금정구 금사동에 있는 고무 제품 제조업체.

[설립 목적]

디알비동일은 산업용 각종 고무벨트 제조 판매를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변천]

1. 설립~1990년대

1945년 9월 30일 부산부 동래출장소[동래구 수안동]에서 동일화학공업소로 설립되었다. 1947년 전동 벨트[V-벨트; 단면이 V형인 동력 전달용 벨트] 생산을, 1951년 컨베이어 벨트 생산을 시작하였다. 1964년 국내 최초로 평벨트(平belt)[flat belt] 수출을 시작하였다. 1965년 3월 4일 국내 최초로 컨베이어 벨트와 평벨트 KS 규격[한국 산업 표준, Korean Industrial Standards]을 획득하였다. 1966년 11월 동일고무벨트로 개칭하였다. 1972년 동일장학회[현 고촌장학회]를 설립하였다. 1976년 5월 21일 한국증권거래소에 상장하였다. 1978년 9월 30일 부산직할시 동래구 금사동에 금사 공장을 준공하였다. 1980년 5월 본사를 금사 공장으로 변경하였다.

1981년 12월 22일 제18회 수출의 날 천만 불 수출의 탑을 수상하였다. 1984년 크롤러(crawler)[무한궤도]를 생산하였다. 1986년 4월 24일 R&D 연구소를 설립하였다. 1987년 9월 17일 난연성 컨베이어 벨트가 미국 MSHA 규격[Mine Safety and Health Administration, 미국 광산안전·보건국의 광산 안전 규격]을 획득하였다. 1989년 6월 9일 난연성 컨베이어 벨트가 캐나다 EMR 규격[Energy, Mines and Resources CANADA]을 획득하였다. 1990년 고암장학회를 설립하였다. 1990년 공장 자동화 기기 사업에 진출하였다. 1992년 6월 30일 경상남도 양산시 산막동에 자동차 부품 생산 공장을 준공하였다. 1995년 7월 ISO 9002[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국제표준화기구 품질 경영 시스템] 인증을 획득하였다.

1996년 철도 궤도용 방진 패드를 개발하고, 건설 기계용 크롤러를 유럽으로 수출하였다. 1997년 독도 접안 시설 고무 방충재를 설치하였다. 1999년 4월 6일 난연성 컨베이어 벨트가 호주 MIDA 규격[Mines Department of Australia, 호주 광산 규격]을 획득하였다.

2. 2000년대 이후

2001년 전사적 자원 관리 시스템[ERP; Enterprise Resource Planning]을 도입하였다. 2001년 9월 신노사 문화 우수 기업으로 선정되었다. 2001년 9월 25일 공장 자동화 기기 사업팀[FA사업팀]을 분리하여 동일파텍을 설립하였다. 2001년 12월 18일 중국에 청도동일교대유한공사를 설립하였다. 2002년 고객 지원 시스템을 구축하였다. 2003년 언더캐리지 패키지(undercarriage)[굴삭기, 운반기 등의 하부에 장착되는 모듈]를 유럽에 수출하였다.

2003년 ISO 9002를 ISO 9001로 갱신 인증을 획득하였다. 중국 북경에 사무소를 설립하고 청도동일상교유한공사를 설립하였다. 2004년 슬로바키아에 Dongil Rubber Belt Slovakia, s.r.o.를 설립하였다. 자동차용 실링[Vehicle Saeling]이 ISO/TS 16949[ISO와 IATF[International Automotive Task Force]가 개발한 자동차 산업 분야의 품질 보증 체제 규격] 인증을 획득하였다. ISO 14001[환경 경영 시스템] 인증을 획득하였다. 지하철 안전 발판을 개발하였다. 미국에 Dongil Rubber Belt North America Inc.를 설립하였다. 2005년 자동차용 타이밍 벨트가 ISO/TS 16949 인증을 획득하였다. 중국에 청도동일초성소수유한공사와 북경동일초성소수유한공사를 설립하였다. 중국에 심양 사무소를 개설하고 일본에 복강(福岡)[Fukuoka(후쿠오카)] 사무소를 개설하였다.

2006년 베트남에 Dongil Rubber Belt Vietnam Co., Ltd.를 설립하였다. 2006년 6월 부산광역시 품질 경영 대상을 수상하고 2006년 7월 부산광역시 향토 기업에 선정되었다. 2006년 12월 부산광역시 전략 산업 선도 기업으로 지정되었다. 2007년 일본 국토교통성 면진 시스템[NRB] 부재 인증을 받았다. 2007년 4월 26일 슬로바키아 공장 준공식을 가졌다. 2007년 10월 중국 상해동일초성상교유한공사를 설립하였다. 2007년 11월 OHSAS-18001[Occupational Health and Safety Assessment Series, 국제 안전 보건 경영 시스템] 인증을 획득하였다. 2008년 중국 광저우[廣州] 사무소와 베트남 하노이 사무소를 개설하고 베트남 공장을 준공하였다. 2008년 8월 일본에 Dongil Rubber Belt Japan Co., Ltd.를 설립하였다. 2008년 12월 제45회 무역의 날 산업자원부 장관상을 수상하였다.

2009년 5월 베트남 공장을 준공하고 2009년 8월 노사 문화 우수 기업으로 선정되었다[노동부]. 2009년 12월 중국 청도 시로부터 투자 우수 기업 감사패를 수상하였다. 2010년 중국 청도 동일문화센터를 준공하였다. 2011년 3월 제5회 대한민국 로봇 대상을 수상하였다. 2011년 8월 신울진 원자력 공급 업체 인증서를 획득하였다. 2012년 6월 한국수출입은행 히든 챔피언에 선정되고, 국민은행 히든 스타 500에 선정되었다. 2012년 10월 1일 DRB동일, 동일고무벨트, DRB인터내셔널로 기업을 분할하였다. 2013년 3월 DRB동일에서 디알비동일로 개칭하였다.

[주요 사업과 업무(활동 사항)]

자동차 고무 부품, 토목건축 자재, 면진 제진 시스템, 자동화 시스템 등을 제공하는 종합 고무 부품 부문과 동력 전달에 쓰이는 전동 벨트, 운반 라인 효율성을 극대화하는 컨베이어 벨트, 크롤러, 언더캐리지 시스템 등을 생산하는 고무벨트 부문으로 구성되어 있다.

[현황]

2012년 12월 31일 기준으로 등기 임원으로 사장 1명, 이사 1명, 사외 이사 2명, 상근 감사 1명이 있으며 미등기 임원으로 상무 1명, 상무보 1명, 이사 3명, 이사 대우 2명이 있다. 국내에 동일고무벨트, 디알비파텍, 이아이지[Energy Innovation Group], 동일필드로봇, 디알비인터내셔널, 세일기업 등 6개의 계열사가 있다. 해외에 중국 청도동일교대유한공사, 슬로바키아 DRB Slovakia, 베트남 CRB Vietnam, 미국 EIG America, DRB America, 중국 상해동일초성상교유한공사, 북경파텍, 일본 DRB Japan 등 8개의 계열사가 있다.

자본금은 2009년 100억 원에서 2011년 110억 원으로 증가했으나 2012년 기업 분할 이후 감소하여 61억 4900만 원이다. 매출액은 2009년 2304억여 원에서 2011년 3388억여 원으로 증가하였다. 상시 종업원 수는 2008년 이전 980여 명 수준에서 변동하고 이었으나 2009년에는 다소 감소하여 900명 수준에서 변동하고 있다. 2012년 12월 31일 기준 직원은 정규직 274명, 계약직 10명으로 총 284명이다.

 

웹사이트 플러그인 제거 작업으로 인하여 플래시 플러그인 기반의 도표, 도면 등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서비스를 잠정 중단합니다.
표준형식으로 변환 및 서비스가 가능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순차적으로 변환 및 제공 예정입니다.

[의의와 평가]

부산의 향토 기업이며, 전략 산업 선도 기업이다. 교암장학회로 시작하여 교육 문화 사업을 통한 지역 사회 공헌도 하고 있다. 여전히 부산에서 생산 활동을 하고 있지만 그 비중은 점차 줄어들고 있다. 지속적인 생산 활동을 유지, 확대할 수 있는 여건을 마련하기 위한 부산광역시의 노력이 필요하다.

[참고문헌]
  • 김태현, 『부산 기업사』(부산발전연구원 부산학연구센터, 2004)
  • 「단신(短信)」(『매일 경제』, 1980. 5. 3)
  • 부산 산업 기술 정보망 e-Biz Mall(http://www.bizmall.or.kr)
  • MK 기업 정보(http://cominfo.mk.co.kr)
  • 부산 기업 솔루션(http://business.busan.go.kr)
  • 디알비동일(http://www.drbworld.com)
이용자 의견
최** 한국의 인프라사업에 사용되는 각종 고무벨트를 생산중이나, 최근 생산량 감소로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급증하는 외국 제품의 국내 유입이 그 이유 중 한가지 인데, 자칫 저희와 같은 회사들이 경쟁력을 잃고 제조를 하지 않으면 언젠가는 국가 인프라사업에 들어갈 주요 부품 수급에 있어 문제가 생길 수도 있습니다. 국내 제조업 보호제도마련이 시급해 보입니다
  • 답변
  •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을 이용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이곳은 한국 향토문화에 대한 정보를 소개하는 백과사전 사이트입니다. 관련 민원은 해당 업체로 제기해 주시기 바랍니다. 앞으로도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2019.09.18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