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14647
한자 大韓製鋼
영어공식명칭 Daehan Steel Co., Ltd.
분야 정치·경제·사회/경제·산업
유형 기관 단체/기관 단체(일반)
지역 부산광역시 사하구 하신번영로 69[신평동 370-16]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최성일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주식회사|제강업체
설립자 오우영
전화 051-220-3300
홈페이지 대한제강(http://www.idaehan.com/)
설립 시기/일시 1954년 6월 10일연표보기 - 대한상사 설립
이전 시기/일시 1964년 4월 - 부산직할시 중구 창신동 2가에서 동래구 안락동으로 이전
이전 시기/일시 1990년 11월 - 부산직할시 동래구 안락동에서 사하구 신평동으로 이전
개칭 시기/일시 1990년 4월연표보기 - 대한상사에서 대한제강으로 개칭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59년 6월 1일 - 대한선재 인수 합병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64년 5월 - 동래 공장 준공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69년 1월 - 연간 3만 M/T 강괴 공장 준공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70년 2월 - 압연 공장 준공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72년 8월 - 인발 및 산소 공장 준공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76년 3월 4일 - KS 인증 획득[이형 철근: D30A, 30B, 35, 40]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80년 1월 - 신평 제강 공장 준공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86년 3월 - 자본금 43억 원으로 증자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89년 12월 - 신평 철근 압연 공장 준공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94년 1월 - 연간 50만 M/T 전기로 신설 및 연속주조기 6 STRAND로 증설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94년 4월 - 서울특별시 구로구 시흥동 소재 지점 설치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99년 10월 - 신평·동래 공장 ISO 9002 인증 획득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0년 4월 - ISO 9001 인증 획득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0년 10월 - 부산광역시 동래구 안락동 소재 공장 매각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1년 4월 - 녹산 공장 준공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1년 7월 - 부산광역시 강서구 송정동 소재 녹산 제2 공장 준공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3년 7월 - 서울특별시 강남구 역삼동으로 지점 이전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3년 7월 - 신평 공장 ISO 9001 인증 전환 획득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3년 12월 - 녹산 공장 ISO 9001 인증 전환 획득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4년 5월 - ISSMA[국제 표준 시스템 경영상] 철강 부문 최우수상 수상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4년 10월 - 환봉, 마봉강 사업 철수 및 설비 매각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4년 11월 - 신평 공장 SD500[초고강] KS 종류 추가 인증 획득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5년 1월 - 전기로 제강사 최초로 신제품[SD500]브랜드화: Ultra -Bar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5년 10월 31일 - 한국증권거래소 유가 증권 시장 상장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6년 5월 4일 - 사업 목적에 철근 절단, 가공업 추가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6년 5월 4일 - ISSMA[국제 표준 시스템 경영상] 철강 부문 대상 수상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6년 11월 1일 - PI[Process Innovation] Project 추진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7년 2월 28일 - 연주 대차 계량 장치 취득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7년 4월 1일 - 일본공업규격표신인증[신 JIS] 획득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8년 3월 - 사업 목적에 고철 가공 처리업 추가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8년 4월 24일 - 계열 회사 추가: 대한네트웍스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8년 12월 - 제45회 무역의 날 3천만 불 수출의 탑 수상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9년 7월 - 평택 철근 가공 공장 착공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9년 12월 - 제46회 무역의 날 1억 불 수출의 탑 수상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11년 1월 1일 - 온실 가스·에너지 목표 관리 업체 지정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11년 - 부산광역시 향토 기업 선정
최초 설립지 대한상사 - 부산직할시 중구 창신동 2가 24
주소 변경 이력 대한선재 - 부산직할시 진구 범일동 938
주소 변경 이력 대한상사 - 부산직할시 동래구 안락동 210
주소 변경 이력 대한제강 - 부산직할시 사하구 신평동 370-16지도보기
현 소재지 대한제강 - 부산광역시 사하구 하신번영로 69지도보기

[정의]

부산광역시 사하구 신평동에 있는 철강 제조업체.

[설립 목적]

대한제강은 기초 산업의 근간을 이루어 국가 경제 발전에 공헌하기 위하여 선재류(線材類)를 주요 품목으로 하는 제조업체로 설립되었다.

[변천]

1. 1954년~1999년

1954년 6월 10일 부산시 중구 창신동 2가 24번지에서 대한상사를 설립하였다[설립자: 오우영]. 1959년 6월 1일 대한선재를 인수 합병하였고, 1964년 4월 본점을 부산직할시 동래구 안락동으로 이전하였다. 동년 5월 동래 공장을 준공하였다. 1969년 1월 연간 3만 M/T[Metric Ton] 강괴 공장을, 1970년 2월 압연 공장을 준공하였다. 1972년 8월 인발(引拔)[선재나 가는 관을 만들기 위한 금속 변형 가공법] 및 산소 공장을 준공하였다. 1976년 3월 4일 KS 인증을 획득하였다[이형 철근: SD30A, 30B, 35, 40].

1980년 1월 신평 제강 공장을 준공하였다[연간 12만 M/T 전기로 및 연속 주조기준공]. 1986년 3월 자본금을 43억 원으로 증자하였다. 1989년 12월 신평 철근 압연 공장을 준공하였다[연간 25만 M/T 철근 콘크리트용 봉강 생산 능력 보유]. 1990년 4월 상호를 대한제강으로 변경하였으며, 1990년 11월 본점을 부산직할시 사하구 신평동으로 이전하였다. 1994년 1월 연간 50만 M/T 전기로를 신설하였다. 1994년 4월 서울특별시 구로구 시흥동 소재에 지점을 설치하였다. 1999년 10월 신평 공장과 동래 공장이 ISO 9002 인증을 획득하였다.

2. 2000년 이후

2000년 10월 부산광역시 동래구 안락동 소재 공장을 매각하였다. 2001년 4월 연간 40만 M/T 철근 콘크리트용 봉강 생산 규모의 녹산 공장을 준공하였으며, 2001년 7월 부산광역시 강서구 송정동에 녹산 제2 공장을 준공하였다. 2003년 7월 서울특별시 강남구 역삼동 701-2번지 삼정개발 빌딩 9층으로 서울 지점을 이전하고, 2004년 10월 환봉, 마봉강(磨棒鋼) 사업 철수 및 설비 매각을 하였다. 2005년 10월 31일 한국증권거래소 유가 증권 시장에 상장하였다. 2006년 5월 4일 사업 목적에 철근 절단 및 가공업을 추가하였으며, ISSMA 철강 부문 대상을 수상하였다. 2006년 11월 1일 PI[Process Innovation] 프로젝트를 추진하였으며, 2008년 3월 사업 목적에 고철 가공 처리업을 추가하였다. 2008년 4월 24일 계열 회사로 대한네트웍스를 추가하였고, 12월 제45회 무역의 날 3천만 불 수출의 탑을 수상하였다. 2009년 7월 경기도 평택시에 철근 가공 공장을 착공하였으며, 12월 제46회 무역의 날 1억 불 수출의 탑을 수상하였다. 2011년 1월 1일 온실 가스·에너지 목표 관리 업체로 지정되었으며, 부산광역시 향토 기업으로 선정되었다.

2000년 4월 ISO 9001 인증[유효 기간: ~2009년 4월 2일]을 받았으며, 2001년 9월에는 녹산 공장 철근이 KS 인증을 획득하였다[원형: SR24, 30/ 이형: SD30A, 30B, 35, 40]. 2003년 신평 공장과 녹산 공장이 ISO 9001 인증 전환을 획득하였다. 2004년 5월 ISSMA[국제 표준 시스템 경영상] 철강 부문 최우수상을 수상하였으며, 11월 신평 공장이 SD500[초고강] KS 종류 추가 인증을 획득하였다. 2005년 1월 전기로 제강사 최초로 신제품[SD500]을 브랜드화하였다[Ultra-Bar]. 2007년 2월 28일 연주 대차 계량 장치를 취득하였으며, 2007년 4월 1일 일본공업규격표신인증[신 JIS]을 획득하였다[JIS G3112/ 이형: SD295A, SD295B, SD345, SD390, SD490].

[주요 사업과 업무(활동 사항)]

대한제강의 주요 생산품은 이형 철근[Deformed Bar, SD(Steel Deformed) 표면에 마디와 리브(rib, 횡단 방향의 요철)의 돌기로 이루어져 있음], 빌릿[Square Billet, 형강으로 압연하기 전의 단면 강재], 코일 철근[Bar in Coil, 콘크리트 보강용 철근으로 코일 모양으로 감긴 강재], 선재[Wire Rod], 그리고 CD-bar[cold drawn bar, 마봉강: 선재를 편 뒤 일정 길이로 절단해 만드는 봉], Deck Plate[바닥 구조에 사용하는 파형(波形) 성형 판] 등이다.

[현황]

경영진은 대표 이사[사장] 1명, 부사장 1명, 상무 이사 2명, 사외 이사 1명, 감사 1명, 이사 4명 등이 있다. 조직은 대표 이사 아래 부사장이 있으며, 부사장 아래 정도 경영실, 기업 문화실, 경영 혁신실, 제강 SBU[Strategic Business Unit: 전략 사업 단위], StazSBU[Staz: 대한제강 철근 원스톱 솔루션 서비스] 등이 있다.

2001년도의 자본금이 63억 원에서 2005년에는 157억 원으로 증가하였고, 2007년 237억여 원으로, 그리고 2009년에는 240억여 원으로 증가하여 2012년 현재 변동이 없다. 매출액은 2007년에는 3557억 3700만 원이었지만 2008년에는 9746억 1900만 원으로 증가하였다. 세계적인 경제 위기로 2009년 매출액이 큰 폭으로 감소하였지만 현재 다시 증가하고 있으며, 2011년 12월 현재 9024억여 원이다.

종업원은 2010년이 558명으로 가장 많았고, 2011년은 다소 감소하여 549명이다. 본사 및 신평 공장[부산광역시 사하구 신평동], 녹산 공장[부산광역시 강서구 송정동], 평택 공장[경기도 평택시 포승읍 원정리], 서울 지사[서울특별시 중구 봉래동 1가] 등이 있다.

 

웹사이트 플러그인 제거 작업으로 인하여 플래시 플러그인 기반의 도표, 도면 등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서비스를 잠정 중단합니다.
표준형식으로 변환 및 서비스가 가능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순차적으로 변환 및 제공 예정입니다.

[의의와 평가]

대한제강은 부산 지역에 설립되어 60여 년 동안 생산 활동을 지속적으로 하고 있는 대표적인 철강업체이다. 매출액이 1조에 육박하며, 500명 이상을 고용하고 있는 부산광역시의 대표적인 향토 기업이다.

[참고문헌]
  • 『부산 기업 명람』(부산상공회의소, 1962)
  • 『부산 기업 명람』(부산상공회의소, 1964)
  • 부산 산업 기술 정보망 e-Biz Mall(http://www.bizmall.or.kr/)
  • MK 기업 정보(http://cominfo.mk.co.kr/)
  • 부산 기업 솔루션(http://business.busan.go.kr/)
  • 대한제강(http://www.idaehan.com/)
  • 부산인적자원개발원(http://bhrdi.or.kr/)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