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214636 |
---|---|
한자 | 世邦 |
영어공식명칭 | SEBANG CO., LTD |
분야 | 정치·경제·사회/경제·산업 |
유형 | 기관 단체/기관 단체(일반) |
지역 | 부산광역시 남구 남구 우암로127[감만동 620]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장지용 |
[정의]
부산광역시 남구 감만동에 있는 종합 물류 업체.
[설립 목적]
세방은 항만 하역 사업 및 화물 자동차 운송 사업 등을 영위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변천]
1965년 9월에 부산직할시 중구 중앙동에서 세방기업으로 설립되었다. 1966년 1월에 부산항 항만 하역 운송 사업 면허를 취득하였다. 1968년 3월에 여수 지점을 설치하고, 여수항 항만 하역 운송 사업 면허와 삼일항 항만 하역 운송 사업 면허를 취득하였다. 1969년 10월에는 해상 화물 운송 주선업 면허를 취득하였다.
1972년 10월에 부산 수영 CY[Container Yard, 컨테이너 야적장]/CFS[Container Freight Station, 컨테이너 화물 조작장]를 설치하였다. 1973년 11월에 울산하역사를 흡수 합병하고, 울산항 항만 하역 운송 사업 면허를 취득하였다. 같은 해 12월에 울산 지점을 설치하였다. 1974년 1월에 포항 지점을 설치하고 포항항 항만 하역 운송 사업 면허를 취득하였다. 1975년 1월에는 부산 특수 화물 자동차 운수 사업 면허를 취득하였다. 1976년 1월에 부산진 CY/CFS를 설치하였고, 그해 7월에 인천 지점을 설치하였다.
1977년 4월에 부산 철도 CY 설치 및 철도 소운송업 면허를 취득하였다. 그해 5월에 주권 상장을 하였으며, 동년 7월에 인천 CY를 설치하였다. 그해 10월에는 아랍 에미레이트 샤자 지점을 설치하였다. 1978년 9월에 서울 지점을 설치하였으며, 같은 해 12월에 부산 반여 CY/CFS를 설치하였다. 1979년 3월에 마산 지점을 설치하였으며, 그해 4월에 1급 자동차 정비 사업 면허를 취득하였다. 동년 7월에는 동창기업과 대영을 흡수 합병하고, 마산항 항만 하역 운송 사업 면허를 취득하였다.
1981년 6월에 미국 뉴욕 현지 법인을 설립하였으며, 그해 12월에는 사우디아라비아 담맘 지점을 설치하였다. 1982년 1월에 연안 구역 해상 화물 운송 사업 면허를 취득하였다. 같은 해 12월에 외항 선박 운항 사업 면허를 취득[원양 부정기 항로]하였으며, 사우디아라비아 쥬베일 지점을 설치하였다. 1983년 7월에 경상북도 특수 화물 자동차 운수 사업 면허를 취득하였고, 그해 8월에 전라남도 특수 화물 자동차 운수 사업 면허를 취득하였다. 같은 해 9월에는 삼천포항 항만 하역 운송 사업 면허를 취득하였다.
1984년 2월에 삼천포 지점을 설치하고 외항 선박 운송 사업을 폐업하였다. 그해 7월에 경기도 오봉역 철도 소운송업 면허를 취득하고 부곡 컨테이너 DEPOT를 설치하였다. 같은 해 8월에는 부산 용당 CY/CFS를 설치하였으며, 동년 10월에 경인 지점을 설치하였다. 1985년 2월에 중기 정비 사업 면허를 취득하였고, 그해 3월에 부산 구역 화물 자동차 운수 사업 면허를 취득하였다. 같은 해 4월에 대성상운으로부터 북평항 및 묵호항 항만 하역 운송 사업 면허를 양수하였다. 동년 5월에는 동해 지점을 설치하였다.
1986년 3월에 광양 지점을 설치하였고, 그해 5월에 미국 뉴저지 사무소를 설치하였다. 동년 6월에는 한국운수로부터 충청남도 구역 화물 자동차 운수 사업 면허를 양수하였다. 같은 해 7월에 군산 사업소와 대전 사업소를 설치하고, 해외의 샤자 지점과 쥬베일 지점, 담맘 지점을 폐쇄하였다. 1987년 3월에 부산 용당 CY/CFS를 폐쇄하였다. 그해 4월에 부산 민락 CY/CFS를 설치하였으며, 같은 해 11월에 진주 사업소를 설치하였다.
1988년 8월에 부산 우암 CY를 설치하였고, 그해 9월에 부산직할시 남구 우암동 263번지로 본점을 이전하였다. 같은 해 10월에 항공 화물 운송 대리점업 면허를 취득하였다. 1989년 1월에 전주 지점을 설치하였으며, 그해 4월에는 남구 감만동 CFS를 설치하였다. 동년 10월에는 진주 사업소를 폐쇄하였고, 그해 11월에는 부산진 CY/CFS를 폐쇄하였다. 동년 동월에 일본 후쿠오카[福岡]에 국제 페리사 현지 법인을 설립하고, 건설업 면허[비계 공사업, 철물 공사업]를 취득하였다.
1990년 1월에 인천해운 영업권과 인천항 항만 하역 운송 사업 면허를 양수하였다. 그해 3월에 대전 사업소와 군산 사업소를 폐쇄하였으며, 1991년 11월에 전국 화물 자동차 운송 사업을 등록하였다. 1992년 3월에 전주 지점이 철도 소운송업 면허를 취득하였고, 그해 5월에 무역업[갑류] 허가를 취득하였다. 같은 해 12월에는 대산항 항만 운송 사업 면허를 취득하였다.
1994년 2월에 복합 운송 주선업 면허를 취득하였다. 같은 해 3월에 컨테이너 수리업을 등록하였고, 그해 4월에 자동차 운송 알선 사업 면허를 취득하였다. 동년 12월에 종합 건설 사업[토목, 건축 공사] 면허를 취득하고, 전문 건설업 면허[비계 공사업, 철물 공사업]를 반납하였다. 1995년 2월에 대산 지점을 설치하였으며, 같은 해 7월에 우암역 철도 소운송업을 등록하였다. 그해 8월에는 마산 지사가 건설 기계 대여업을 신고하였다.
1996년 6월에 유선·무선 통신 사업[부산광역시·경상남도 지역 TRS 사업권 획득]을 등록하였다. 동년 동월에 보배항운 영업권을 양수하였으며, 군산 지점과 목포 지점을 설치하였다. 같은 해 7월에 구미 CY를 설치하였고, 그해 10월에 민락 CY 영업용 보세 장치장 승인을 획득하였다. 같은 해 11월에는 여수 지점이 비산 먼지 발생 사업을 신고하고 광주 지점을 개설하였다. 동년 12월에 우암 CY 영업용 보세 장치장 승인을 획득하였다. 1997년 4월에는 하동 영업소를 설치하였다.
1998년 2월에 당진항 한정 면허를 취득하였고, 그해 9월에 부산 신선대 CY를 폐쇄하였다. 같은 해 11월에 부산 반여 CY를 폐쇄하였으며, 1999년 2월에 부두 운영 사업[TOC]과 화물 자동차 운송 주선업을 등록하였다. 같은 해 3월에 당진 지점을 설치하였다. 그해 6월에는 광양항 컨테이너 터미널 1개 선석의 운영권을 양수하였다[선석 운영권 및 장비: 하역 장비, 전산 관련 소프트웨어, 게이트 시스템 및 주변 기기, 기타 하역과 관련된 부대시설].
2000년 2월에 전자 상거래 및 택배 사업을 등록하였고, 그해 3월에는 ISO 품질 인증을 획득하였다[본사 및 광양 지점, 마산 지점, 삼천포 지점, 울산 지점, 군산 지점, 경인 지점]. 동년 동월에 부산항 감만 부두 컨테이너 터미널 1개 선석 전용 사용권 및 하역 장비와 부대 장비에 관한 양수를 계약하였으며, 부산 수영 CY를 폐쇄하였다.
같은 해 4월에는 양산 ICD[Inland Container Depot, 내륙 컨테이너 기지]를 개설하였다. 그해 5월에 세방컨테이너터미널부두운영을 설립하였다. 동년 6월에는 KEDO[Korean Peninsula Energy Development Organization, 한반도에너지개발기구] 경수로 원자력 발전소 2기 건설 기자재 운송, 하역 계약을 체결하였다. 같은 해 8월에 포스코 부산 사무소를 신설하고 부산 민락 CY를 폐쇄하였다. 동년 10월에는 부산광역시 남구 감만동 624번지로 본사를 이전하였다.
2001년 3월에 일본 외국적 선사 K-Line과 감만 터미널 ON-DOCK 계약 및 우암 CY Handling 계약을 체결하였다. 그해 4월에 세방광양터미널운영을 설립하였다. 같은 해 8월에 광양 위험물 임시 저장·취급 면허를 취득하였고, 동년 9월에 ISO 환경 인증을 획득하였다[마산 지점, 삼천포 지점]. 2002년 3월에 씨앤지해운에 50%를 출자하였다. 같은 해 8월에는 광양항 및 부산항에서 LME[London Metal Exchange] 사업의 기반을 구축함에 따라 지방 해양 수산청으로부터 LME 사업 적격 업체로 선정되었다. 그해 9월에 군산항 제5 부두 57~58번 선석 운영권을 획득하였다.
2003년 1월에 부산 LME 사업을 개시하였고, 그해 3월에는 광양 LME 사업을 개시하였다. 동년 4월에 감만 컨테이너 보세 창고 특허 보세 구역 특허장 면허를 취득하였으며, 같은 해 6월에 폐수 배출 시설 설치 면허를 취득하였다. 2004년 3월에 경기도 의왕 ICD 보세 창고가 자율 관리 보세 구역으로 지정되었으며, 군산 제3 부두 특허 보세 구역 특허장 면허를 취득하였다. 동년 7월에 군산컨테이너터미널운영에 출자하였다. 같은 해 9월에는 이리슬코리아를 설립하였다.
2005년 3월에 한진해운과 부산 감만 및 광양 1단계 컨테이너 부두 선석 통합 운영 양해 각서[MOU]를 체결하였다. 그해 7월에 광양항 항만 관련 부지의 임대 사용을 위하여 한국컨테이너 부두공단과 양해 각서를 체결하고, 광양인터내셔널컨테이너터미널을 계열 회사에 추가하였다. 같은 해 9월에 세방으로 개칭하였다.
2006년 11월에 종합 물류 기업 인증을 획득하였으며, 2011년 1월에는 안성 수도권 물류 센터를 증축하였다. 그해 8월에 군장항 잡화 부두[79, 79-1번 선석]를 개장하였다. 2012년 4월에 광양항 동축 배후 단지 입주 기업에 선정되었고, 2013년 4월에는 광양항 1단계 일반 부두 운영사로 선정되었다.
2019년 8월 성진실업을 인수하여 미래 성장동력을 확보하고 글로벌 네트워크를 확장한다는 계획을 추진하고 있다.
[주요 사업과 업무(활동 사항)]
세방은 항만 하역과 화물 운송, CY/CFS, 건설, 기타 용역을 주요 사업으로 하고 있다. 항만 하역 부문은 품목별 구분에 따라 컨테이너 및 벌크 화물의 항만 하역이 있다. 컨테이너 부문은 세방부산터미널, 광양인터내셔널컨테이너터미널을 중심으로 국외 대형 선사를 지속적으로 유치하고 있으며, ON-DOCK, CY/CFS, DEPOT 보관 창고 및 운송 서비스와의 연계를 통해 30여 개의 대형 선사에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벌크 부문은 한국전력공사, 포스코 및 부산신항 다목적 부두 자동차 관련 항만 하역 등 국내 대형 화주 물량을 안정적으로 확보하고 있으며, 전국 주요 지역의 물류 창고 운영 및 초중량물 운송 등 운송 서비스와의 연계를 통해 생산성 향상 및 경쟁력 강화에 주력하고 있다.
화물 운송 부문 중 컨테이너 운송은 230대의 트랙터와 1,084대의 트레일러를 보유하고 전국 14개 지점망을 통해 연간 200만 TEU[Twenty-foot Equivalent Units, 20피트 길이의 컨테이너 박스 1개 단위]가 넘는 수출입 컨테이너 화물을 운송하고 있다. 실시간 화물 추적 정보 시스템으로 수출입 고객의 편의를 극대화하고 있으며, 전국 주요 항만과 내륙 거점을 연결하는 철도 운송 서비스는 하역과 운송을 연계한 일괄 운송 체계를 구축하여 대량 화물의 원스톱(One-Stop) 서비스를 제공한다.
벌크 운송 부문은 전국 항만 및 물류 거점에 14개의 지사[점]를 개설하여 운송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트랙터와 카고 트럭, 탑 차를 운영하여 사료, 곡물, 각종 목재 및 철강재, 펄프, 철강 코일, 금속, 수지 등 모든 종류의 벌크 화물에 대한 수송 및 배송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중량물 운송은 발전소와 석유 화학 공장, 선박 기자재, 중공업용의 각종 타워 및 선박, 철 구조물 등 초중량 화물의 수송을 위하여 전문 운송 장비인 트랜스포터로 신속하고 안전하게 하고 있다. 8,000톤급 및 1만 7000톤급 플랫 바지(Flat Barge)를 비롯해 3,000톤급의 중량물 해송용 바지와 예인선을 갖추어 초활대품 및 초중량물을 국내 연안은 물론 일본, 중국, 타이완[臺灣] 등 동남아시아까지 운송하고 있다.
주요 물류 거점에 대규모 CY/CFS, 일반 창고, 물류 센터를 통하여 수출입 화물의 환적, 집화, 수송·배송 등 통합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또한 연간 100만 TEU 이상의 각종 컨테이너를 처리하고, 전국 주요 항만과 도시에 16개 대규모 컨테이너 야드(Container Yard) 및 5개의 철도 컨테이너 Depot를 보유, 운영하고 있다. 수출입 컨테이너 화물 및 기타 벌크 화물까지, 화물의 안전한 보관을 책임지는 보세 장치장[CFS]은 오랜 경험과 축적된 기술로 고객 만족을 위해 부산 우암, 감천 그리고 세방부산신항물류 등을 중심으로 화물을 관리하고 있다.
항만, 야적장 및 창고 시설을 동시에 보유하고 고객의 화물을 연계함으로써, 수출입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각종 위험을 방지하고 고객의 요구에 부응하여 최상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안성 수도권 물류 센터는 화주들의 물류비용과 물류 서비스 개선 효과에 기여하고 있다. 또한 LME 지정 창고 운영의 세계적 회사인 Henry Bath&Son 사와의 전략적 제휴를 통하여 2002년부터 현재까지 부산광역시와 광양시 등에서 지정 창고를 운영하고 있다.
[현황]
2012년 12월 기준 세방의 자본금은 114억 9900만 원이고, 매출액은 5721억 300만 원이다. 2013년 6월 기준 임원 중 등기 임원으로 회장 1명, 부회장 1명, 대표 이사 1명, 사외 이사 3명이 있고, 미등기 임원으로는 전무 2명, 상무 10명이 있다. 직원은 825명이다.
조직은 회장과 부회장, 그룹 비서실, 그룹 감사실, 대표 이사로 이루어져 있으며, 대표 이사 아래 경영 관리 본부와 영업 본부, 전략 기획 본부로 구성되어 있다. 경영 관리 본부에는 건설팀과 재무 회계팀, 총무팀, 정보 기술팀, 심사팀이 있다. 영업 본부에는 영업 관리팀과 KAM팀, 컨테이너팀, 프로젝트팀, TPL팀이 있으며, 전략 기획 본부에는 신사업 기획팀과 인사팀이 있다. 지역 본부로는 부산 지역 본부와 남부 지역 본부[광양시, 여수시, 삼천포], 서부 지역 본부[군산시, 목포시], 경인 지역 본부[경인, 인천광역시, 당진시, 동해시], 영남 지역 본부[마산, 울산광역시, 포항시]가 있다.
세방의 종속 기업으로는 수출입업 및 국내 판매업과 해운 중개업을 하는 세방익스프레스, 항만 하역 및 항만 운송 사업을 하는 세방부산터미널, 국제 해운 대리점업을 하는 한국해운, 내륙 운송과 해상 운송 등의 운송업을 하는 셋방광양국제물류, 항만 시설의 관리 및 운영 사업을 하는 목포대불부두운영, 내륙 운송과 해상 운송 등의 운송업을 하는 세방부산신항물류, 컨테이너 보관업을 하는 세방부산신항컨테이너데포가 있다.
[의의와 평가]
세방은 1965년 창업 이래 국가 경제의 초석인 수출입 컨테이너와 벌크 화물의 하역, 운송, 보관 및 중량물 설치, 건설 사업 등을 성실히 수행하는 부산 지역의 기업이다. 연간 100만 TEU 이상의 각종 컨테이너를 처리하는 세방은 전국 주요 항만과 도시에 16개의 대규모 컨테이너 야드, 5개의 철도 컨테이너 Depot를 통해 신속한 물류 네트워크를 연결하고 있다. 또한, 전천후 작업 시설을 갖춘 9개의 CFS를 운영하여 하역 및 운송을 연계한 일괄 운송 체계의 중심지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또한 세방은 축적된 경험과 기술력을 바탕으로 일괄 수송 체계를 구축하고 미래형 원스톱 서비스를 제공한다. 국내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첨단 IT 시스템을 구축하여 고객이 직접 화물 조회 및 운송을 확인할 수 있는 안심 서비스 등 종합 물류 기업만이 가능한 차세대 토탈 물류 서비스를 실현하고 있다. 축적된 엔지니어링 기술을 바탕으로 건설 분야에도 진출한 세방은 첨단 인텔리전트 오피스 빌딩과 주택 사업 등에 주력하며 SOC 사업 투자로 그 능력을 널리 펼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