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14537
한자 港灣物流
영어의미역 Harbor Logistics
분야 정치·경제·사회/경제·산업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부산광역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조준현

[정의]

부산광역시의 항만을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물류 활동.

[개설]

항만 물류는 항만과 물류의 개념을 합하여 이르는 것으로, 항만에서 이루어지는 물류 활동을 의미한다. 항만은 터미널 기능을 기반으로 생산과 소비를 연결시켜주는 유통 활동의 공간을 제공하고 있으며, 항만에서의 유통 활동은 무역 및 상거래 활동에 따르는 재화 및 서비스의 이동이라는 물류 활동을 뜻한다. 항만 물류는 항만을 통과하는 물류의 합리화를 통해 기업과 지역 경제의 발전에 기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항만 물류 산업은 항만과 배후 단지에서 이루어지는 하역, 운송, 보관 등의 기본적인 물류 활동과 포장, 정보, 서비스 등 부가 가치 물류 활동 등에 관련된 업종들로 구성되어 있다.

[현황]

부산광역시의 항만 물류 산업은 부산항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부산항의 항만 물류 산업은 항만에 필요한 선박과 기자재 부품, 부식류, 식수, 의약품 등을 제공하는 선용품 공급업과 수리 조선업, 선박 급유업, 컨테이너 수리업, 청수 공급업, 통선업, 화물 주선 및 보관업 등을 포괄한다.

2011년 부산광역시의 해양 산업 분류에 따르면 해운 항만 물류 산업은 운송업[해상·육상·항공·철도 운송업], 하역업[항만·육상 하역], 보관 및 창고업[창고업 및 보관업], 정보업[항만 물류 IT업, 해상 통신 관련업], 해양 금융 및 보험업, 해운·항만물류 관련 서비스업[운송 주선업, 중개업, 대리업, 선박 대여업, 포장업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2011년 현재 부산광역시 해운 항만 물류 산업의 총 사업체 수는 3,856개 업체이며 4만 3412명이 종사하고 있다.

해양 산업 분류 코드별 해운·항만 물류 산업에 종사하는 사업체 중 해운·항만 물류 관련 서비스업 사업체는 해운·항만 물류 산업 사업체의 약 73%[소계 2,798개 업체]를 차지하여 가장 비중이 높으며, 2만 3494명이 종사하고 있다. 다음으로 사업체 수 기준으로 운송업 16%[627개 업체], 하역업 7%[273개 업체], 보관 및 창고업 3%[103개 업체], 정보업 1%[27개 업체], 해양 금융 및 보험업 1%[28개 업체] 등의 순이다. 종사자 수 기준으로 해당 산업 전체의 54%가 해운·항만 물류 관련 서비스업에 종사하고 있으며, 이어 운송업에 29%[1만 2,650명], 하역업에 13%[5,766명], 보관 및 창고업에 2%[913명], 정보업에 1%[385명], 해양 금융 및 보험업에 0.5%[204명]가 종사하고 있다.

세부 산업 분류 기준으로 운송 주선업이 1,243개 업체에 6,971명이 종사하고 있어 사업체 수 및 종사자 수가 가장 많다. 세부 산업별 사업체 기준으로 운송 주선업 다음으로는 선용품 판매업[해운·항만 물류 관련 서비스업] 555개 업체, 육상 운송업[운송업] 322개 업체, 해상 화물 운송업[운송업] 293개 업체, 관세 사업[해운·항만 물류 관련 서비스업] 246개 업체, 선박 및 선원 관리업[해운·항만 물류 관련 서비스업] 229개 업체, 육상 하역[하역업] 203개 업체 등의 순이다. 종사자 수는 역시 운송 주선업이 전체 해양 항만 물류 산업 종사자 수의 약 16%를 차지하고 있어 종사자 수 비율이 가장 높으며, 이어 선박 및 선원 관리업 6,593명 종사, 해상 화물 운송업 6,329명 종사, 육상 운송업 6,190명 종사, 항만 하역 4,713명 종사, 선용품 판매업 3,235명 종사 등의 순이다.

하역업의 경우, 항만 하역 업체가 70개 업체, 육상 하역 업체가 203개 업체로 육상 하역 업체 수가 더 많으나 육상 하역업에 비해 규모가 큰 항만 하역업의 종사자 수가 더 많다.

[개선점]

부산광역시의 항만 물류 산업은 신항만 개장에 따라 항만 물동량이 증가하고 효율성 개선과 경제성을 달성한 반면, 북항-신항 양항 체제 운영에 따른 항만 물류 회사 간 하역료 인하 경쟁에 따른 채산성 악화, 컨테이너 터미널의 집중, 항만 관련 기관 간의 업무 중복에 따른 효율성 저하와 담당자의 전문성 부족, 항만 지원 산업 영세성 등의 문제로 인해 외국 선진 항만에 비해 국제 경쟁력이 취약한 점이 있다. 따라서 부산 지역 항만 물류 산업의 고부가 가치 창출을 위한 항만 물류 주무 부처의 신설 및 제도적 기반을 마련해야 한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