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214551 |
---|---|
한자 | 沿近海漁業 |
영어의미역 | Coastal and Inshore Fishing |
분야 | 정치·경제·사회/경제·산업 |
유형 |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
지역 | 부산광역시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조준현 |
[정의]
부산광역시와 가까운 바다에서 이루어지는 어업.
[개설]
연근해 어업은 「수산업법」 상 무동력 어선 또는 총 톤수 8톤 미만의 동력 어선[근해 어업]과 8톤 이상 10톤 미만의 동력 어선[연안 어업]을 사용하는 어업으로 구분된다. 「수산업법」[법률 제12084호, 2013. 8. 13, 일부 개정] 제41조에 따라 어선·어구 또는 시설마다 시장·군수·구청장의 허가를 받아야 한다.
연근해 어업 중 첫째, 구획 어업은 일정한 수역을 정하여 어구를 설치하거나 무동력 어선 또는 총 톤수 5톤 미만의 동력 어선을 사용하는 어업이다. 둘째, 육상 해수 양식 어업은 인공적으로 조성한 육상의 해수면에서 수산 동식물을 양식하는 어업이다. 셋째, 종묘 생산 어업은 일정하게 구획된 바다·바닷가 또는 인공적으로 조성한 육상의 해수면에 시설물을 설치하여 수산 종묘(水産種苗)를 생산하는 어업[생산한 종묘를 일정 기간 동안 중간 육성하는 경우를 포함]이다.
일반 해면 어업 중 동력선을 이용하는 어업에는 연안 자망 어업, 연안 개량 안강망 어업, 연안 들망 어업, 연안 선망 어업, 연안 통발 어업, 연안 조망 어업, 연안 복합 어업, 연안 형망 어업 등이 있으며, 무동력선을 이용하는 정치성 구획 어업과 이동성 구획 어업으로는 각각 지인망 어업, 선인망 어업, 건망 어업, 건간망 어업, 승망 어업, 부망 어업, 해선망 어업, 안강망 어업과 문어 단지 어업, 형망 어업, 새우 조망 어업 등이 있다.
[변천]
부산 지역의 근해 어업의 연도별 어획량을 보면, 2001년 37만 8,916톤으로 가장 어획량이 많았다. 2001년 이후 감소하여 2005년 27만 4,838톤, 2006년 26만 3,647톤으로 급격하게 감소하였다. 2006년 이후 근해 어업 어획량은 다소 상승하기 시작하여 2008년과 2009년에 33만 3,510톤, 34만 61톤으로 회복하였다. 2009년 이후 부산광역시 근해 어업 어획량은 증감을 반복하고 있다.
근해 어업 업종별 어획량을 살펴보면, 대형 선망의 어획량이 가장 높으며 대형 선망의 2001~2012년 평균 어획량은 17만 8,404톤으로 전체 근해 어업 어획량의 57%를 차지하고 있다. 대형 선망은 2001년 19만 4,049톤을 어획하였으며 차츰 어획량이 감소하였다가, 2004년 19만 5,559톤을 어획하여 다소 회복하였다. 2006~2009년간 대형 선망의 어획량은 증가 추세를 보이며 2009년 최고 22만 6,704톤을 어획하였다.
대형 선망 다음으로 12개년 평균 어획량이 높은 어업법은 대형 트롤로 12개년 평균 7만 5,179톤을 어획하였으며, 다음으로 쌍끌이 대형 저인망[2만 7,717톤], 기선 권현망[6,068톤], 외끌이 대형 저인망[5,246톤], 근해 채낚기[4,513톤] 등의 순으로 이어진다. 대형 트롤은 2001년 12만 440톤을 어획한 이후로 감소하고 있으며, 2010년 5만 3,517톤에서 2012년 7만 5,540톤으로 다소 증가하였다.
웹사이트 플러그인 제거 작업으로 인하여 플래시 플러그인 기반의 도표, 도면 등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서비스를 잠정 중단합니다.
표준형식으로 변환 및 서비스가 가능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순차적으로 변환 및 제공 예정입니다.
부산광역시 연안 어업의 연도별 어획량을 보면, 2001년 5,942톤에서 점차 증가하고 있으며 2006년 1만 1,740톤으로 어획량이 증가하였다. 이후 어획량은 다시 감소하기 시작하여 2009년 7,616톤을 어획하였으나, 반등하여 2010년에는 2001~2012년 12년 중 가장 어획량이 높은 1만 6,112톤이었다. 2011년 1만 3,991톤, 2012년 8,439톤으로 다시 감소하였다.
업종별 어획량을 보면, 2001~2012년 12년 평균값으로 연안 자망 어업이 4,317톤으로 가장 많았다. 다음으로 연안 복합 어업이 1,796톤, 연안 통발 어업이 1,443톤, 연안 선망 어업이 1,028톤 순으로 많았다. 연안 형망 어업은 2002년 단 한 해에만 어획되었으며, 연안 연승 어업은 2001년과 2002년 2년간 어획되었다.
연안 자망 어업은 2006년 8,525톤으로 가장 어획량이 높았으며, 2006년 이후 어획량이 점차 감소하고 있다. 연안 복합 어업은 2003년 이전에는 어획하지 않았으며 2003년 3,365톤, 2004년 4,432톤을 어획한 이후 증감을 반복하고 있다. 연안 통발 어업은 2001년 2,362톤, 2002년 2,575톤, 2004년 1,953톤으로 어획량이 높은 편이었지만 2004년 이후 어획량이 낮아졌다가 2008년 1,661톤을 생산하였다.
웹사이트 플러그인 제거 작업으로 인하여 플래시 플러그인 기반의 도표, 도면 등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서비스를 잠정 중단합니다.
표준형식으로 변환 및 서비스가 가능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순차적으로 변환 및 제공 예정입니다.
[전망과 지원 방향]
연근해 어업은 장기적인 생산 기반 약화와 생산량 감소 추세를 경험하고 있다. 2005년 이래 유가 상승에 의한 비용 증가로 연근해 어업자의 경영 상황이 악화된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향후 수산물 시장 개방 폭이 확대되면 치열한 국제 경쟁에 직면하게 될 것이다.
부산 지역 연근해 어업의 경쟁력 확보를 위해서는 고유가 대책과 지역 수산업 기반 조성 정책이 필요하다. 고유가 대책으로는 유가 상승 시 유류비 일부 직접 지원, 에너지 절감 기술 개발 및 보급 지원, 어선용 유류 저장 시설 확충 지원 등을 들 수 있다. 지역 수산업 기반 조성 정책으로 지역 수산물 브랜드 개발, 지역 수산물 판촉 홍보 활동 강화, 지역 수산물의 가공 유통 시설 확충, 어족 자원 회복을 위한 공동 노력 등을 들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