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214538 |
---|---|
한자 | 生物産業 |
영어의미역 | Bio Industry |
이칭/별칭 | 바이오산업 |
분야 | 정치·경제·사회/경제·산업 |
유형 |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
지역 | 부산광역시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정승진 |
[정의]
부산광역시의 산업 중 생명 공학 기술을 이용한 다양한 생물 자원으로 제품을 제조하는 업종.
[개설]
생물 산업은 대표적인 고부가 가치 지식 기반 산업이다. 지식경제부와 부산광역시는 2004년부터 생물 산업을 새로운 성장 동력 확보를 위한 전략 산업으로 지정하고 육성하고 있다.
[부산의 생물 산업]
부산광역시의 생물 산업은 두 가지 방향으로 육성되고 있다. 첫째, 해양 생물 산업이다. 부산 지역은 국제적인 해양 도시로서 국내외 수산물 유통과 수산 가공품 생산의 거점 지역이므로 해양 생물 산업 육성을 위한 수요 기반이 이미 구축되어 있다. 또한 국립수산과학원 등 국가 연구 기관과 부경대학교, 한국해양대학교 등 해양 수산에 특화된 대학이 소재하고 있으며, 부산테크노파크 해양생물산업육성센터, 신라대학교 마린바이오산업화센터 등 산학연 연계를 위한 인프라가 구축되어 해양 생물 산업 육성의 최적지이다. 최근에는 해양 생물 생산 및 가공 분야를 넘어서 해양 생물 소재를 활용한 신소재 및 에너지 개발 분야에까지 그 영역이 확대되고 있다.
둘째, 바이오 소재 및 실버 의료 산업이다. 부산 지역은 부산대학교, 동아대학교, 고신대학교, 인제대학교, 동의대학교 등 양방과 한방 대학병원 및 연구 센터가 입지하고 있어 연구 개발이 활발하고, 동남권 의료 중심지로서 수요 기반을 갖추고 있다. 최근에는 국제적인 관광 도시를 기반으로 러시아, 중국, 동남아 지역으로부터 의료 관광 수요도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첨단 바이오 의료 기술, 선진화된 의료 서비스, 웰빙(well-being) 및 헬스 산업과 연계된 의료 바이오산업이 성장하고 있다. 질병 치료 관점에서의 의료 분야뿐만 아니라 질병 예방, 건강 증진, 웰빙 등을 기반으로 한 기능성 식품 소재 및 천연물 신약 등에 대한 R&D[Research and Development, 연구 개발] 및 제품 개발도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