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14521
한자 高附加價値産業
영어의미역 High Value-added Industries
분야 정치·경제·사회/경제·산업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부산광역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정승진

[정의]

부산광역시의 산업 중 높은 수준의 부가 가치를 창출하는 산업.

[개설]

부가 가치는 생산 과정에서 새롭게 창출된 가치로서 단순한 조립 생산은 부가 가치가 적고 첨단 지식과 혁신이 창출되는 산업은 부가 가치가 크다.

[변천]

1970년대 이후 부산 지역의 주력 산업은 신발, 섬유·봉제 등 저부가 가치 산업이 중심이었으며 주로 원재료를 수입해서 저임금의 노동력으로 재가공하여 수출하는 방식이었다. 저부가 가치 산업은 경제 발전과 함께 토지, 임금 등 생산 요소가 값싼 개발 도상국으로 이전하게 되었다. 1990년대 들어 저부가 가치의 신발 및 섬유·봉제 완제품 산업은 이미 중국, 인도네시아, 베트남 등 후발 개발 도상국으로 이전하거나 경쟁력을 상실하였다. 따라서 지속적인 경제 성장을 이루기 위해서는 고부가 가치 산업의 육성이 필요했고, 부산 지역은 기존 산업의 고부가 가치화를 통해 새로운 경쟁력을 확보하려는 정책을 추진해왔다.

고부가 가치 산업은 지식 기반 산업, 융복합 산업, 정보 산업의 특징을 지닌다. 부산 지역에서는 첨단 지식과 기술을 접목하여 과거 신발·섬유 산업을 첨단 신소재 산업으로, 수산 가공 산업을 해양 바이오산업으로 고부가 가치화하고 있다. 또한 기계 부품 산업에 IT[Information Technology, 정보 통신 기술]를 융복합하여 스마트 기계 부품, 로보틱스(Robotics)[로봇 공학] 산업으로 변모시키고 있으며, 정보 기술을 바탕으로 유비쿼터스(Ubiquitous)[장소에 구애받지 않는 네트워크], 문화 콘텐츠 등 IT 산업을 고부가 가치 산업으로 육성하고 있다.

[의의와 평가]

고부가 가치 산업을 육성하기 위해서는 과학 기술 혁신을 위한 각종 인프라를 구축해야 하고 고급 인재가 부산 지역에 머무를 수 있도록 하는 생활 환경 조성과 연구 개발이 활성화 될 수 있도록 하는 연구 개발비 지원 등의 정책이 꾸준히 추진되어야 한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