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14414
한자 -情報管理-
영어의미역 Bus Information Guide System
분야 정치·경제·사회/정치·행정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부산광역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신성범

[정의]

부산광역시에서 운영하고 있는 버스 운행 상황 안내 체계.

[개설]

버스 정보 안내 시스템은 부산광역시의 시내버스 준공영제 시행과 함께 설치된 버스 운행 안내 시스템이다.

[목적]

언제, 어디서나 버스 이용자가 이용할 수 있는 맞춤형 운행 정보에 대한 요구 증대와 무선 통신 기술 등 신기술의 보급에 따른 매체 다변화에 부응하여 정보를 제공하고자 버스 정보 관리 시스템[BIMS, Bus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을 구축하였다. 이 시스템을 통해 버스 이용자는 인터넷, 휴대폰, 정류장 안내기 등을 이용하여 버스 도착 예정 정보를 알 수 있고, 운전자는 배차 간격을 유지할 수 있고 돌발 상황 발생에 신속히 대처할 수 있으며, 부산광역시와 버스 사업자는 버스 운행 상황을 과학적으로 관리하여 교통 정책에 반영하고 합리적인 경영 관리를 할 수 있게 된다.

[설치 경과]

2003년부터 2005년까지 시범 버스 정보 관리 시스템 구축 사업을 실시하여 센터와, 안내기 무선 통신 1식을 도입하였다. 2007년 광역 버스 정보 관리 시스템 구축 사업을 통해 버스 926대, 센터 1식, 무선 통신 1식으로 확대되었고, 2008년 시내버스 정보 관리 시스템 구축 사업으로 버스 1,516대, 센터 H/W, S/W를 추가하였다. 2010년 첨단 교통 인프라 구축 사업으로 400개소에 버스 정보 안내기[BIT, Bus Information Terminal]를 신설 및 교체했고, 2011년 버스 정보 관리 시스템 추가 및 개선 사업을 통해 버스 정보 안내기 13개소를 신설하고 센터 H/W를 증설하였다.

[현황]

2012년 현재 버스 도착 정보의 신뢰성 제고를 통한 대 시민 교통 편의 증진을 위해 버스 정보 관리 시스템의 통신망은 RF기지국 기반에서 상용망[이동 통신 무선 접속 규격,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으로 연결되며, LED형 버스 정보 안내기 및 버스 정보 관리 시스템 차량 단말기 2,511대, RF기지국 75대 등의 시스템을 갖추고 있다. 133개 노선의 2,511개 버스에 대해 적용되고 있으며, 버스 정보 안내기는 515개소에 설치되어 있다. 부산시 버스 정보 관리 시스템 인터넷 홈페이지[http://bus.busan.go.kr]와 ARS 전화[1588-2902], 휴대폰의 모바일 웹(WAP)[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무선 응용 규약]을 통해 출발·도착 검색, 노선 검색, 정류장 검색, 실시간 버스 위치 정보, 버스 도착 예정 시간 등의 안내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