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부산녹색환경지원센터 제도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14392
한자 釜山綠色環境支援-制度
영어의미역 Busan Green Environmental Support Center System
분야 정치·경제·사회/정치·행정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부산광역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노승조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특기 사항 시기/일시 2005년 - 녹색환경지원센터 지정[부경대학교 환경기술개발센터]
관련 기관/단체 부경대학교 환경기술개발센터 - 부산광역시 남구 용소로 45[대연동 599-1] 부경대학교 장영실관[C12] 203호지도보기

[정의]

환경부가 주관하고 부산광역시가 지정하는 환경 관련 지역 거점 센터 제도.

[부산광역시의 환경 행정]

부산광역시는 21세기 환경의 시대를 맞이하여 자연과 인간이 조화롭게 살아가는 환경 친화 도시 건설에 필요한 기초적·제도적 여건 마련과 함께 시민 및 전문가가가 참여하는 구체적인 실천 분위기를 조성하고, 녹색 도시 부산 21 추진을 위한 기반 구축과 시민 생활 환경의 실질적 개선을 위해 행정력을 집중해 왔다.

[부산녹색환경지원센터 지정]

정부에서는 지역 특유의 환경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1998년부터 환경부 주관으로 전국에 녹색환경지원센터를 지정하고 환경 현안 문제 해결을 위한 지역 거점으로 구축하도록 하였다. 1998년 울산과 전라남도 지역에 녹색환경지원센터 지정을 결정한 이후로, 2005년에는 18번째로 부산 지역에 녹색환경지원센터 지정을 결정하였고, 부산광역시부경대학교 환경기술개발센터부산녹색환경지원센터로 지정하여 운영하고 있다.

[부산녹색환경지원센터의 업무]

지역 환경 현안 문제 해결에 필요한 연구·기술 개발을 적극 추진하고, 기업 환경 지원 사업을 추진[오염 예방을 위한 공정 진단, 배출 시설 개선 등 환경 관련 애로 사항 상담·조사 등]하며, 홈페이지·환경 교육 등을 통한 환경 정보 제공[환경기술인·시민 교육, 세미나 개최 등]을 주기적으로 실시하고 있다. 주요 연구·개발 사업은 지역에 실질적으로 도움이 될 과제로서 연구[기초 조사, 정책]를 확대하여 지역적인 합의 도출과 정책 형성에 적극 활용할 계획이다. 특히, 지역 환경 정책 수립 활용과 자치구·군의 적극적인 참여를 위해 지자체의 과제를 우선적으로 추진하고 있으며, 기업 환경 지원 사업 등을 통해 기업체가 필요로 하는 기술 개발 및 지역 특화 실용화 위주로 연구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부산녹색환경지원센터의 실적]

2011년도 주요 추진 실적으로는 연구 과제 수행 12건, 기업체 환경 기술 지원 사업 108회[33개 업체], 교육·학술 활동 사업인 그린 리더 양성 교육 65회와 세미나 등 연구 발표 19회 등을 들 수 있으며 2011년 환경부 녹색환경지원센터 사업 실적 정기 평가에서 종합 우수 센터로 선정되었다. 2012년에는 지역 환경 문제 해결을 위한 정책 및 조사 연구 사업 11과제, 산·학·연 협력 신기술 개발과 보급 등 기술 지원 36개 업체, 환경 교육 45회, 학술 사업 12회 등의 환경 정보 공유 및 홍보 사업을 추진하였다.

[참고문헌]
  • 녹색환경지원센터연합회(http://www.geca.or.kr)
  • 부산녹색환경지원센터(http://www.bgec.or.kr)
  • 부산광역시청(http://www.busan.go.kr)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