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14381
한자 地域環境敎育
영어의미역 Regional Environment Education
이칭/별칭 환경 교육 활성화 계획
분야 정치·경제·사회/정치·행정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부산광역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노승조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특기 사항 시기/일시 2010년 12월 - 지역 환경 교육 계획 수립
2011년 5월 - 「환경 교육 진흥 조례」 제정

[정의]

부산광역시에서 사회 환경 교육의 일환으로 시행하고 있는 환경 관련 교육 계획.

[개설]

지역 환경 교육은 부산광역시에서 어린이, 학생 및 일반인을 대상으로 환경 교육의 저변을 확대시켜 자연의 소중함을 인식하고 환경 문제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통해 환경 문제 해결에 기여하고자 수립한 교육 제도이다. 이를 ‘환경 교육 활성화 계획’이라고도 한다.

[수립]

부산광역시는 2010년 12월 부산 지역 환경 교육 5개년[2011~2015년] 계획인 지역 환경 교육 계획을 수립하여 환경 교육 기반 구축을 통한 환경 교육 기회 확대, 환경 보전을 위해 행동하는 시민 육성, 시민과 함께하는 체계적 환경 교육 시스템 구축·운영 등을 목표로 환경 교육 활성화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

2011년 5월에는 「환경 교육 진흥법」에 따라 부산광역시의 환경 교육을 지원하기 위해 「환경 교육 진흥 조례」를 제정하였으며, 시민 스스로 일상생활에서 환경 보전을 실천하여 깨끗하고 쾌적한 환경 도시를 조성하고, 지속 가능한 발전에 기여함을 목적으로 환경 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내용]

환경 교육 활성화 추진 단계는 단기적으로는 숲 체험 교실 등 시 지원 프로그램 운영의 내실화 및 학교 환경 교육 강화에 주안점을 두고 있으며, 장기적으로는 자연·생활 환경 체험 확대 및 환경 교육 종합 계획 수립 시행에 역점을 두고 있다.

주요 환경 교육 분야로는, 먼저 자연 생태 분야에서는 자연 혹은 인위적으로 형성·조성된 지역으로서 경관 및 자연환경 보전 상태가 양호한 곳[산·강·하천·바다 등]을, 생활 환경 분야에서는 사람의 일상생활과 밀접한 환경 관련 시설의 환경 오염 물질 발생 및 처리 과정을 체험 학습을 통해 실시토록 권장하고 있다.

‘환경 교육 2E(Environment Education) System’을 운영하는 계획도 있는데, 이는 먼저 학교 환경 교육 강화를 위해 초·중학교의 환경 교육 강화, 학교 숲 가꾸기[비오톱 등] 조성 등 체험 학습을 권장하여 학교생활을 여유롭게 하도록 도움을 주는 공간이자 ‘가르칠 수 있는 순간(Teachable moment)’을 당장 활용하는 데 적합한 환경 교육의 장을 마련하고자 하는 것이다. 그리고 인터넷을 통한 환경 학습 모니터링 시스템을 구축하여 환경국과 교육청 및 학교 홈페이지[또는 블로그(blog)] 등을 활용할 수 있게 하였고, 시민 단체 등의 환경 관련 교육[세미나 등]을 지원하고 있다.

[가치]

환경 교육은 사람들로 하여금 환경의 특성을 이해하고, 동시에 환경 문제의 예방과 해결에 필요한 지식·태도 등을 갖도록 함은 물론, 나아가 환경 문제의 해결 과정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다. 환경 문제는 근본적으로 인간 중심의 잘못된 가치관과 태도에서 비롯된 것이므로, 환경 교육을 통해 현재의 기성세대는 물론 자라나는 세대들에게 환경을 소중히 하는 마음을 심어 주고, 생활 속에서 환경 보전을 실천하도록 유도하는 것이 중요하다. 궁극적으로 환경 교육은 환경 문제에 대한 심각성 인식을 통하여 환경적으로 바람직한 의사 결정과 실천적 행동을 이끌어 내야 하는 것이므로, 현재의 환경 문제 해결뿐만 아니라 미래의 환경 문제를 예방할 수 있는 바람직한 방안이라 할 수 있다.

[참고문헌]
  • 『2011년 환경 백서』(부산광역시, 2011)
  • 부산광역시청(http://www.busan.go.kr) 환경[자연: 환경 교육란의 ‘사회 환경 교육의 전개’ 참조]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