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14373
한자 東川復原政策
영어의미역 Dong-cheon Stream Restoration Project
분야 정치·경제·사회/정치·행정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부산광역시 동구|부산진구|남구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노승조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관련 지명 동천 - 부산광역시 동구|부산진구, 남구 일대

[정의]

부산광역시 동구, 부산진구, 남구 일대를 흐르는 동천의 생태 하천 복원 정책.

[개설]

동천부산광역시 부산진구 당감동 선암사 계곡에서 발원해 동구 범일동 북항으로 이어지며 총길이는 8.77㎞이다. 당감천이 포함된 동천 본류 외에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초읍동 어린이 대공원 구 성지곡 수원지에서 흘러 영광도서 앞을 지나 동천 본류와 합류하는 부전천[4.19㎞], 금용산에서 발원해 화지언을 거쳐 남쪽으로 흐르면서 연지동범전동을 지나 전포동 옛 제일제당 부근[서면 CGV]에서 합류하는 전포천[2.6㎞], 엄광산에서 시작돼 부산 도시 철도 부암역 인근에서 합류하는 가야천[3.2㎞], 동구 수정동 안창 마을 상류에서 발원해 현대 백화점 뒤편으로 흘러내리는 호계천[1.7㎞] 등이 동천의 지류를 이루고 있다. 현재 동천의 상류 쪽과 4개 지류는 많은 구간이 복개돼 옛 모습을 찾기 어렵고, 당감천과 부전천의 합류 지점인 광무교에서 부산항으로 유입되는 구간까지 약 3㎞는 복개가 되지 않았지만 오·폐수 유입으로 오염이 심한 상태이다.

[동천의 오염과 개선 요구]

부산광역시의 대표적인 도심 하천인 동천은 1970년대 이후 경제 성장 일변도의 정책에 따른 지역 개발로 생활 하수와 각종 폐수가 흘러드는 하수구로 전락하게 되었고, 배산임해형의 지형적 특성에 따른 토지 면적의 절대 부족으로 상류 지역의 대부분을 복개하여 주차장과 도로 용도로 사용함에 따라 하천 오염이 가속화 되어왔다. 최근 들어 주민의 생활 수준 향상으로 보다 나은 삶의 질을 추구하는 시민들의 욕구가 증대되면서 동천을 살리려는 움직임이 가시화 되었고, 이에 부응하여 부산광역시동천을 근본적으로 개선하기 위한 복원 사업을 실시하게 되었다.

[동천 복원의 이슈화]

부산은 산업화의 희생양인 동천을 붙잡고 오래도록 씨름해왔다. ‘동천 살리기’가 이슈로 제기된 시기는 2002년 부산 아시안 게임 전후다. 부산광역시는 시민 단체 등과 현장 조사를 실시하고 2003년 10월 동천 주변 환경 정비에 대한 단계별 마스터플랜을 수립했다. 이때 제시된 동천의 환경 비전은 ‘시민이 즐겨 찾는 도심 속의 쉼터’였다. 그러나 선언적 의미가 강했다. 2004년 ‘6·5 부산시장 보궐 선거’는 잠자는 동천을 깨우는 계기가 됐다. 당시 허남식((許南植) 후보와 오거돈(吳巨敦) 후보는 ‘동천 살리기’를 공약으로 내걸고 대결했다. 특히 오거돈 후보는 서면 일대의 복개천 복원을 주창했고, 시민운동도 불이 붙었다.

[동천 환경 개선 사업]

2003년 부산광역시동천 환경 개선을 위한 마스터플랜을 수립하였다. 2004년 실시 설계를 통해 1년 동안 부암역과 문현역에서 나오는 지하수 등을 유입하고 범4호교에 하루 3만여 톤을 담수할 수 있는 가동보와 수질 정화 장치를 설치했으며 연지동, 초읍동, 부암동, 부전동 구간의 하수관도 정비하였다. 매년 일부 복개 부분을 비롯한 전 구간에 대한 하상 준설도 실시하여 수질을 개선하고 있다.

2007년 동천의 근본적인 수질 개선과 환경 정비를 위해 동천 수질 개선 및 종합 환경 정비 기본 계획 수립을 완료하고, 2008년 6월 착수한 실시 설계가 2009년 12월 완료되었다. 이어 2009년 6월부터 수질 개선을 위한 유지용수 확보 사업으로 해수를 북항 입구에서 도수하여 서면 광무교 부근에서 방류하는 사업을 착수하여 2010년 5월 완료하였다. 그 결과 하루 5만 톤의 깨끗한 해수가 방류됨으로써 동천의 수질이 5등급에서 3등급으로 현저하게 개선되어 지난 가을에는 숭어가 대량으로 찾아왔고, 특히 자치구에서는 수질 개선을 축하하는 뜻에서 숭어 낚시 대회를 개최하기도 하였다.

또한 2008년 6월~2009년 2월 동천 주변 환경 정비를 위한 종합 환경 정비 실시 설계를 수립하여 2009년 1월~11월 범3호교~범5호교 465m 구간에 보도[산책로] 및 녹지대를 조성했으며, 2010년 5월까지 범5호교~범일교 구간도 완료하였다. 부산광역시는 2008년 6월부터 2013년까지 동천 정비 사업에 184억 원을 투입하기로 하고 동천 주변 환경 개선[82억 원], 준설 및 보행 교량 설치[52억 원], KTX 공사장 지하수 동천 유입[10억 원] 등의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