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214357 |
---|---|
한자 | -企業支援事業 |
영어의미역 | Support System for Start-up Venture Businesses |
분야 | 정치·경제·사회/정치·행정 |
유형 |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
지역 | 부산광역시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최진영 |
[정의]
부산광역시가 시행하는 벤처 기업 육성 정책.
[부산광역시의 벤처 기업 현황]
부산은 중소 벤처 기업이 대부분을 차지하는 기업 구조를 보여 주고 있다. 따라서 부산 경제는 국내외적으로 각종 경제 환경 변화에 대처하고 장기적 성장을 위한 경쟁력을 갖출 수 있도록 기술 집약적 벤처 산업의 육성에 주력해야 하는 상황이다. 2012년 현재, 부산 지역에 등록되어 있는 벤처 기업은 총 1,786개 업체로, 벤처 투자 기업 6개[0.3%], 연구 개발 기업 65개[3.6%], 기술 평가 보증 기업 1,655개[92.7%], 기술 평가 대출 기업 49개[2.8%], 예비 벤처 기업 11개[0.6%]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업종별로는 제조업 1,480개[82.8%], 정보 처리 S/W업 123개[6.9%], 연구 개발 서비스업 12개[0.7%], 건설 운수업 25개[1.4%], 도·소매업 12개[0.7%], 농·어·임·광업 2개[0.1%], 기타 132개[7.4%] 등이다.
[벤처 산업 육성]
부산광역시는 지역 벤처 기업 창업·육성을 위한 창업 보육 센터 및 이노비즈 센터의 운영 지원, 국방 분야 중소 벤처 기업의 집적화로 군용 장비 부품 국산화를 도모하는 부산국방벤처센터 운영 지원 등 창업을 위한 각종 인프라 및 입지 지원을 하고 있으며, 벤처 창업·운용 자금 지원과 동남권 전략 산업 투자 펀드 조성·운용 등으로 지역 벤처 업체들의 자금난 완화 지원책을 펴고 있다. 또한, 지역 벤처 기업 기술 경쟁력 강화를 위한 기술 개발 지원, 홍보 및 마케팅 지원, 지역 벤처 기업 CEO 대상 경영 지도 강좌를 통한 관리자 지식 함양 교육 지원 등의 노력도 하고 있다.
[벤처 기업 육성 지원]
부산광역시는 벤처 기업 육성을 위하여 입지 지원, 기술 지원, 전시 판매 지원 등의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입지 지원에는 벤처 기업이 입주할 수 있는 2개의 벤처 빌딩[백양 벤처 빌딩: 9,625㎡에 35개 공간, 센텀 벤처 타운: 1만 507㎡에 39개 공간]과 7개 IT 지원 센터[부산SW지원센터, 부산멀티미디어지원센터, 부산정보통신연구원, 모라SW지원센터, 센텀 벤처 타운, 부산문화콘텐츠 콤플렉스, 수도권마케팅지원센터]를 운영하고 있으며, 19개 대학 및 기관의 창업 보육 센터 운영을 지원하고 있다.
[벤처 기업 기술·경영 지원]
중소 벤처 기업 기술 경쟁력 강화를 위한 기술 지원 사업으로는 부산테크노파크에서 설계 및 금형, 제품 신뢰성 평가, 해외 마케팅 참가, 홍보 동영상 제작 등을 지원하고 있다. 글로벌 IT 인력 양성 사업을 통해 연간 700명의 IT 기업 재직자를 교육하고 있으며, 지역 선도 벤처 기업 활성화 사업을 통해 중소 벤처 기업 CEO 경영 교육, 부산 벤처 기업 신입 사원 직무 능력 향상 교육 등을 실시하고 있다. 또한, 부산 발명·신기술 창업 박람회를 개최하여 전시회 공간[200여 개 회사, 230여 개 부스] 제공, 바이어 상담회, 창업 컨설팅 상담회, 발명 경진 대회 등을 실시하고 있다.
[벤처 기업 투자 활동 강화]
벤처 기업 투자 활동 강화 및 관리 체계 구축을 위해 부산전략산업투자조합[2006년 2월~2013년 2월, 부산광역시 11억 원 포함 총 111억 원], 그린 부울경 전략 산업 투자 펀드 제1호[2009년 3월~2016년 3월, 부산광역시 15억 원 포함 총 100억 원], BK부울경 전략 산업 투자 펀드 제1호[2009년 8월~2016년 8월, 부산광역시 5억 원 포함 총 103억 원], KoFC-BK-Pioneer-2010-13-투자 조합[2010년 7월~2018년 6월, 부산광역시 19억 원 포함 총 213억 원] 등을 결성하여 우수 기술을 보유한 지역 중소기업에 적극 투자하고 있다.
[벤처 기업 창업 지원]
벤처 기업의 창업 지원을 위해 경남정보대학[신발·IT 제조], 경성대학교[제조·IT], 동명대학교[영상·IT], 동서대학교[정보 통신·IT], 동주대학교[멀티, 디자인], 동아대학교[바이오, 환경·IT], 동의대학교[기계, 신소재], 부경대학교[기계·제조], 부산가톨릭대학교[환경·기술], 부산대학교[기계, 장비], 신라대학교[바이오, 기술 정보], 영산대학교[IT, 인터넷], 한국해양대학교[조선 해양] 등 13개 대학과 한국신발피혁연구소[신발·피혁], 중소조선연구원[조선], 한국생산기술연구원[기계, 부품, 제조], 여성창업보육센터[IT, 디자인], 부산이노비즈센터[제조, 부품], 부산국방벤처센터[제조, 부품] 등 6개 기관의 창업 보육 센터 운영을 지원하고 있으며 총 345개 업체가 입주하여 지원을 받고 있다. 또한, 부산이노비즈센터의 POST-BI 기업 보육 활성화 지원 사업, 부산국방벤처센터의 국방 분야 벤처 기업 육성 지원 사업, 대학 창업 동아리 지원 사업 등도 실시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