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경제 산업 정책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14348
한자 經濟産業政策
영어의미역 Project for Economy and Industry
분야 정치·경제·사회/정치·행정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부산광역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최진영

[정의]

부산광역시가 추진하고 있는 지역 경제 활성화 정책.

[부산광역시 경제 여건]

국내 경제는 유럽 재정 위기 등 대외 여건 악화로 본격적인 경제 회복이 지연되어 경제 성장률이 계속 낮아질 것으로 예상되고, EU·중국에 대한 수출 부진으로 수출 증가세 둔화가 전망된다. 고용 지표는 보건·복지, 도소매업 등의 서비스업 분야에서 증가가 예상되며, 물가 지표는 국제 유가와 원자재 가격 하락으로 하향 안정화될 전망이다.

부산광역시의 경제는 유럽발 경제 위기 지속 및 중국 등 신흥국의 성장세 약화와 함께 지역 주력 산업의 수출 부진으로 경제 성장세의 둔화가 전망되는 가운데, 선박·자동차[완성차]는 수출 부진이, 자동차 부품은 FTA 효과로 수출 증가세가 지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고용은 서비스 부문 호조로 완만한 증가가 전망되고 있으나, 제조업 취업자 수는 증가세가 다소 둔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부산광역시 경제 산업 정책의 방향]

부산광역시는 ‘일자리 창출형 경제 산업 육성’을 정책 비전으로 제시하고, 시정의 모든 역량을 새로운 일자리 창출과 서민 체감 경기 개선에 집중하여 서민 경제 안정 및 활력을 도모하고, 부족한 산업 인프라에 대한 집중 투자와 국내외 우수 기업의 유치 활성화로 지속적인 경제 성장 기반을 마련하고, 지역 기업의 경영과 성장에 도움이 되는 수요자와 현장 중심의 기업 지원 시책을 추진하고, 해양·파생 분야 특화 동북아 금융 중심 도시의 기반을 조성하는 등의 과제 추진한다. 그리고 이를 통해 새로운 일자리의 지속적 창출과 고용 증대 도모, 서민이 행복하고 살맛나는 지역 경제 실현, 생산성 및 경쟁력 향상 등을 달성하고자 한다.

[일자리 창출 시책]

일자리 창출을 최우선 시책으로 추진하고 고용 증대를 도모하기 위해, ‘더(The) 많은 일자리, 더(The) 행복한 일자리 창출’을 중점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주요 정책으로는 청·장년 맞춤 훈련 강화, 해외 인턴 취업 내실화, 중소기업 청년 인턴 사업, 취업 연수생 고용 사업, 고용 우수 기업 인증 등을 통한 청년층 일자리 창출 중점 추진과, 대학생 취업 역량 강화 사업, 부산청년일자리센터 운영 활성화, 청년 고용 촉진 협력 사업, 맞춤형 일자리 창출 사업 추진 등을 통한 수요-공급 맞춤형 일자리 창출, 그리고 사회적 기업 발굴 육성, 마을 기업 육성, 공공 근로 사업, 지역 공동체 일자리 사업 등을 통한 공공 일자리 창출 지원을 추진하고 있다. 또한 채용 박람회 개최, 일자리 발굴단 운영, 구인·구직 만남의 날 운영, 교육 현장 채용 설명회 개최 등을 통한 찾아가는 현장 일자리 발굴과, 노사민정 파트너십 강화, 근로자 복지 증진, 노사·고용 페어 주간 운영 등을 통한 화합과 협력의 노사 문화 정착 등을 추진하고 있다.

[서민 생활 안정 시책]

전통 시장 특화 육성, 서민 금융 지원, 물가 안정 등 서민 생활 경제 지원을 통해 지역 골목 상권 보호 및 서민 체감 경제 향상 도모 등을 중점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주요 정책으로는 시설 현대화 사업 지원, 소규모 환경 개선 사업 지원, 경영 현대화 촉진 사업 지원과, 전통 시장 특화 육성, 전통 시장 노점 매대 상품 진열 시범사업, 전통 시장 One-Stop 택배 사업, 상가형 전통 시장 상권 재생 시범 사업, 온누리 상품권 이용 촉진, 유통업 상생 협력 사업 추진 등을 통한 전통 시장 경쟁력 향상, 그리고 소비자 물가 안정적 관리, 물가 마일리지제 운영, 소비자 피해 예방 및 구제, 서민 금융 지원, 미소 금융 전통 시장 소액 대출 지원, 서민 금융 종합 지원 센터 운영 등을 통한 물가 안정 및 서민 금융 지원 등을 추진하고 있다. 또한 경제 활력 제고를 위해 협동조합 설립 지원, 소비자 생활 협동조합 지원 등을 통한 협동조합 육성도 추진하고 있다.

[전략 산업 육성 및 경제 대응력 강화]

산업 트렌드 변화에 대응한 전략 산업 조기 개편과 초광역 경제권 형성, 서비스 산업 육성 등 신성장 동력 산업 적극 육성 등을 중점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주요 정책으로는 10대 전략 산업 전면 조기 개편, 광역 선도 산업 및 지역 특화 산업 육성, 선도 기업 육성 지원, 유망 서비스 산업 육성 지원 등을 통한 산업 트렌드 반영 전략 선도 산업 육성과, 지역 경제 동향 분석 기능 강화, 경제 현안 회의 운영, 유관 기관 경제 협의체 운영, 지역 경제 점검반 운영 등을 통한 경제 상황 분석 및 위기 대응 역량 강화, 그리고 지역 기업 FTA 활용력 증대, 영남권 광역 경제권 협력 사업 확대, 부산·후쿠오카 초광역 경제권 협력 사업 확산 등을 통한 광역 경제권 형성 추진 등을 추진하고 있다.

[국내외 우수 기업 유치]

투자 기반 확충 및 투자 여건 조성 등 투자 유치 활동 강화를 통한 국내외 우수 기업 유치로 지역 내 안정적인 일자리 창출에 기여하는 것을 중점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주요 정책으로는 국내 기업 유치, 컨택 센터 유치 및 육성, 투자 진흥 기금 조성 및 운용, 글로벌 클라우드 데이터 센터 단지 조성, 국내 복귀[U턴] 기업 지원, 성장 동력 산업 글로벌 외투 기업 유치, 고부가 가치 서비스 산업 외투 기업 유치 강화 등을 통한 국내·외 우수 기업 유치 추진과, 경제 자유 구역 개발 계획 정비, 경제자유구역청 활성화 업무 지원 강화, 단위 지구 개발 사업의 지속적 추진 등을 통한 부산·진해 경제 자유 구역 개발 사업 지원 등을 추진하고 있다.

[산업 단지 확충]

산업 용지 확충을 통한 산업용지 적기공급으로 기업의 생산 활동을 지원하고, 노후 공업 지역을 첨단 산업 단지로 조성하여 고용을 증대시키고 도시의 균형 있는 성장을 유인하는 것에 역점을 두고 추진하고 있다. 주요 정책으로는 산업 단지[조성 완료: 12개 단지, 21.51㎢, 조성 중: 14개 단지, 14.29㎢, 조성 계획: 9개 산단, 14.12㎢] 지속 확충, 명례 일반 산업 단지 기반 시설 구축, 동남권 방사선 의·과학 산단 진입 도로 건설, 기룡 미니 복합 타운 건립·조성, 신평·장림 산단 종합 비즈니스 센터 건립 등을 통한 산업 단지 기반 인프라 확충과, 모라 도시 첨단 산업 단지 조성, 사상 도시 첨단 산업 단지 조성, 공업 지역 등 기업 환경 개선 사업, 사상 스마트 밸리 조성 등을 통한 노후 공업 지역 재생, 그리고 산업 단지의 체계적 효율적 관리, 산단 적기 공급 행정 지원, 산업 단지 관리 방안 정책 연구 등을 통한 산업 단지 효율적 관리 및 행정 지원 등을 추진하고 있다.

[기업 여건 조성]

기업이 원하고 필요로 하는 기업 지원 시책 추진 및 기업하기 좋은 도시 조성을 통한 글로벌 경쟁력 확보에 주력하고 있다. 주요 정책으로는 중소기업 자금 및 신용 보증 지원, 대·중소기업 동반 성장 추진, 대기업 초청 구매 상담회 개최, 현장 방문 기업 애로 지원, 저탄소 녹색 성장 지역 에코 혁신 사업, 공예 산업 육성 지원 등을 통한 기업 애로 및 판매 지원과, 청년 창업 지원, 부산창업비즈니스센터 운영, 소상공인 창업 및 경영 지원, 창업 박람회 개최 등을 통한 청년 창업 및 소상공인 지원, 그리고 해외 마케팅 활동 지원, 무역 대응력 강화 지원 등을 통한 중소기업 수출 통상 지원 등을 추진하고 있다. 또한 여성·장애인 기업 지원도 추진하고 있다.

[금융 중심 도시 육성]

부산국제금융센터(BIFC)의 차질 없는 조성과 탄소배출권거래소의 유치, 선박 금융 기관 설립 추진 등을 통한 동북아 특화 금융 허브 도시 조성에 주력하고 있다. 주요 정책으로는 부산국제금융센터 조성, 파생 금융 인프라 구축, 선박 금융 기반 조성, 선물 회사 및 금융 IT 기업 유치 등을 통한 금융 중심지 기반 조성과, KAIST 금융전문대학원 부산 분원 유치와 부산국제금융연수원 설립 등을 통한 금융 전문 인력 양성, 그리고 「한국 선박 금융 공사법」 제정, 「조세 특례 제한법」 개정 등을 통한 금융 중심지 제도 개선 등을 추진하고 있다. 또한 각종 국제회의의 성공적인 개최와 국제회의 유치 추진, 해외 금융 기관 유치, 해외 IR[Ivestor Relations: 기업 설명회] 개최 등의 국제 활동 등도 추진하고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