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14138
한자 慶星大學校-小劇場
영어의미역 Kyungsung University Yeno Small Theater
분야 문화·교육/문화·예술
유형 지명/시설
지역 부산광역시 남구 수영로 309[대연동 110-1]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김문홍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소극장
전화 051-620-4561
개관|개장 시기/일시 1997년 8월 26일연표보기 - 멀티미디어 정보관 소극장으로 개관
개칭 시기/일시 2006년 9월 25일연표보기 - 멀티미디어 정보관 소극장에서 경성대학교 예노 소극장으로 개칭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9년 3월 31일 - 부산광역시 공연장으로 등록
최초 설립지 멀티미디어 정보관 소극장 - 부산광역시 남구 수영로 309[대연동 110-1]지도보기
현 소재지 경성대학교 예노 소극장 - 부산광역시 남구 수영로 309[대연동 110-1]지도보기

[정의]

부산광역시 남구 대연동 경성대학교에 있는 소극장.

[건립 경위]

최첨단 현대적 기술에 의해 개관된 경성대학교 예노 소극장은 경성대학교 멀티미디어대학 소속 연극영화학과 학부의 워크숍 발표 및 부산 지역 연극계에 보다 좋은 연극 발표의 전용 공간을 제공함으로써 지역 연극 발전에 기여하고자 1997년 8월 26일 멀티미디어 정보관 소극장으로 건립되었다.

[변천]

2006년 9월 25일 경성대학교 예노 소극장으로 개칭하였고, 2009년 3월 31일 부산광역시 공연장으로 등록하였다. 개관 초부터 연극, 무용, 음악 발표의 공간으로 활용되었지만, 아시아 소극장 네트워크, 신인 안무가전, 부산 청소년 연극제 등의 연극 공연장으로 그 역할을 충실하게 수행해 왔다.

[구성]

경성대학교 예노 소극장은 220석의 규모로, 최첨단 현대적 기술에 의해 여러 각도로 무대를 연출할 수 있도록 객석 중앙 뒤 조명 조정실에 120개 채널의 컴퓨터 콘솔과 특수 조명 장비가 설비되어 있으며, 무대와 객석의 벽을 허물었다.

[현황]

현재는 경성대학교 예술대학과 멀티미디어대학의 연극영화학과 학부 학생들의 워크숍 공연장으로 주로 활용되고 있으며, 부산과 서울 지역 극단들의 대관 공연도 이루어지고 있다. 매년 5월에는 부산 국제 연극제 공연장으로 활용되어 국내외 연극이 공연되고 있다. 그 동안 공연된 작품으로는 연극 「강풀의 순정 만화」, 「뉴 보잉 보잉」, 「라이어 2」, 「두 자매 이야기」, 「쌍시」, 「하늘로 간 고래」, 「수업」 등 수많은 작품이 공연되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