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14012
한자 釜山廣域市金井區議會
영어의미역 Geumjeong-gu Assembly of the Busan Metropolitan City Council
이칭/별칭 금정구의회
분야 정치·경제·사회/정치·행정
유형 기관 단체/기관 단체(일반)
지역 부산광역시 금정구 중앙대로 1777[부곡동 78]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신형규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공공 기관
설립자 법률 기관
전화 051-519-5501~5505|051-519-5511~5515
홈페이지 부산광역시 금정구의회(http://council.geumjeong.go.kr)
설립 시기/일시 1991년 4월 15일연표보기 - 부산직할시 금정구의회로 개원
개칭 시기/일시 1995년 1월 1일연표보기 - 부산직할시 금정구의회에서 부산광역시 금정구의회로 개칭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94년 4월 22일 - 경상남도 산청군의회와 자매결연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2년 2월 28일 - 중국 북경 시 창평구 인민대표회의 상무위원회와 ‘우호 교류 의향서’ 교환
최초 설립지 부산직할시 금정구의회 - 부산광역시 금정구 부곡동 78
현 소재지 부산광역시 금정구의회 - 부산광역시 금정구 중앙대로 1777[부곡동 78]지도보기

[정의]

부산광역시 금정구 부곡동에 있는 금정구 관할 지방 자치 의결 기관.

[개설]

부산광역시 금정구의회는 「헌법」 제118조와 「지방 자치법」 제330조의 규정에 의하여 금정구민에 의해 선출된 의원을 구성원으로 하는 구민의 대표 기관으로, 금정구의 의사를 결정하고, 집행 기관을 감시하는 최고 의사 결정 기관이다. 기초 의회로서 풀뿌리 민주주의 정착을 통한 지방 자치 발전에 역할을 수행한다.

[설립 목적]

부산광역시 금정구민을 대표하여 부산광역시 금정구의 정책을 결정하고, 관련 집행 기관과 그 하부 기관의 행정 사무를 견제 및 감시하기 위해 설치되었다.

[변천]

1991년 3월 26일 제1회 전국 동시 지방 선거를 통해 선출된 27명의 의원으로, 4월 15일 제1대 부산직할시 금정구의회부곡동에서 개원하였다. 1995년 1월 1일 부산광역시 금정구의회로 변경되었다. 1995년 7월 11일 제2대 의회[의원 26명]가 개원하였고, 1998년 7월 7일 제3대 의회[의원 17명]가 개원하였다. 2002년 7월 8일 제4대 의회[의원 16명]가 개원하였으며, 2006년 7월 6일 제5대 의회[의원 12명]가 개원하였다. 2010년 7월 7일 제6대 의회[의원 13명]가 개원하였다.

[주요 사업과 업무(활동 사항)]

부산광역시 금정구의회는 부산광역시 금정구의 예산·결산안을 승인하고, 청원과 진정을 처리하며, 법령의 범위 내에서 조례를 제정·개정·폐지하는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 또한 집행 기관에 대한 행정 사무 감사 및 조사, 동의, 승인, 보고 등의 행정 감시 기능도 수행한다. 그 외 의회 조직 및 운영과 관련하여 회의 규칙 제정권, 회의의 개폐 및 회기 결정권 등과 같은 의사 운영의 자율권과 의장·부의장 불신임권, 내부 조사권 등과 같은 내부 운영에 관한 자율권도 행사하고 있다. 1994년 4월 22일 경상남도 산청군의회와 자매결연을 하였고, 2002년 2월 28일 중국 북경시 창평구 인민대표회의 상무위원회와 우호 교류 의향서를 교환하는 등 대외 활동도 활발히 하고 있다.

[현황]

2012년 7월 현재 제6대 부산광역시 금정구의회는 의장[윤일현-금정구 다], 부의장[서진국-금정구 라] 등의 의장단을 포함한 의원 13명, 의정 활동을 지원하는 사무국, 3개 상임 위원회[의회운영위원회-의회 사무국 및 의회 운영에 관한 사항, 기획총무위원회-금정구 기획감사실·미래전략실·총무국·보건소·도서관·문화 회관 소관, 주민도시위원회-주민생활지원국·도시국 소관], 예산결산특별위원회를 비롯한 사안별 특별 위원회 등의 기구들이 있다. 사무국은 사무국장, 상임 위원회 전문 위원 3명, 의정 담당 1명, 의사 담당 1명을 포함한 16명의 직원이 근무 중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