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13904
한자 -高等學校
영어공식명칭 Haneol High School
분야 문화·교육/교육
유형 기관 단체/학교
지역 부산광역시 남구 고동골로69번가길 54[문현동 557-1]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김성애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사립 고등학교
설립자 부성학원
전화 051-637-5101
홈페이지 한얼고등학교(http://buseong.hs.kr)
인가 시기/일시 1970년 9월 7일 - 한얼재건학교[중등부·고등부]로 설립 인가
개교 시기/일시 1970년 10월 3일연표보기 - 한얼재건학교로 개교
이전 시기/일시 1975년 2월 - 부산광역시 동구 범일동 1436-8번지에서 부산광역시 남구 고동골로 69번 가길 54[문현동 557-1번지]로 이전
개칭 시기/일시 1974년 2월 22일연표보기 - 한얼재건학교에서 한얼여자상업전수학교로 개칭
개칭 시기/일시 1981년 12월연표보기 - 한얼여자상업전수학교에서 부산세화여자실업학교로 개칭
개칭 시기/일시 1992년 10월연표보기 - 부산세화여자실업학교에서 문현여자상업고등학교로 개칭
개칭 시기/일시 1999년 9월연표보기 - 문현여자상업고등학교에서 부성정보고등학교로 개칭
개칭 시기/일시 2008년 9월연표보기 - 부성정보고등학교에서 부성고등학교로 개칭
개칭 시기/일시 2016년 3월연표보기 - 부성고등학교에서 한얼고등학교로 개칭
최초 설립지 한얼재건학교 - 부산광역시 동구 범일동 1436-8지도보기
주소 변경 이력 한얼여자상업전수학교 - 부산광역시 남구 고동골로 69번 가길 54[문현동 557-1]
현 소재지 부성고등학교 - 부산광역시 남구 고동골로 69번 가길 54[문현동 557-1]지도보기

[정의]

부산광역시 남구 문현동에 있는 사립 고등학교.

[교육 목표(교훈 포함)]

교훈은 ‘나는 자랑스러운 한얼인이다’이다. 한얼인이란 한얼과 나라를 사랑하는 사람, 부모와 스승을 존경하는 사람, 나눔과 봉사를 실천하는 사람, 솔선수범하고 창의적인 사람, 자유․정의․평화를 지키는 사람, 노인과 어른을 공경하는 사람, 자기와 타인을 존중하는 사람, 인성과 마음이 아름다운 사람, 정직 성실하고 신의 있는 사람, 세계와 인류를 선도하는 사람을 말한다.

한얼고등학교의 교육목표는 5중, 10행, 3금이다. 5중이란 다섯 가지 중점 교육으로, 한얼교육[한민족 전통교육+인성교육+평생교육], 충효교육[한복 착용+10대 덕목 실천교육], 봉사정신, 예절교육, 국제교육이다. 10행은 모든 학생이 졸업 할 때까지 지켜야 할 열 가지로 한국어 3급 이상 취득, 한국사 3급 이상 취득, 스피치 3급 이상 취득, 한자 3급 이상 취득, 태권도 1단 이상 취득, 영어 TEPS 500점 이상 취득, 중국어 HSK 3급 이상 취득, 전통악기와 민속 경기 1개, 봉사 점수 500점 이상, 지정 도서 30권을 읽는 독서 인증제이다. 3금이란 모든 재학생이 지켜야 할 세 가지로, 폭언․폭력․성희롱 금지, 음주․흡연․짙은화장․노출복장 금지, 불건전한 이성교제 금지이다 .

[변천]

1970년 9월 7일에 한얼재건학교[중등부·고등부]로 설립 인가를 받아, 같은 해 10월 3일에 동구 범일동에서 개교하였다. 1974년 2월 22일에 한얼여자상업전수학교로 개편 인가를 받았다. 이때 한얼재건학교 고등부를 연차적으로 폐교하고 중등부인 삼육고등공민학교와 합병하였다. 1975년 2월에 남구 문현동으로 이전하였다. 1979년에 세화학원의 설립 인가를 받았으며, 1981년 12월에 부산세화여자실업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1982년 3월에 고등학교 학력 인정을 교육부로부터 인가받았고, 같은 해 4월에 부산의숙을, 동년 12월에 국제학원을 흡수 통합하였다. 1984년 3월에는 국제고등기술학교를 흡수 통합하였다. 1992년 10월에 문현여자상업고등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1999년 9월에 세화학원을 부성학원으로 개칭하고, 부성정보고등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여 남녀 공학으로 전환하였다. 2007년 8월에는 인문계 고등학교로 학칙 변경하였으며, 2008년 9월에 부성고등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고, 2014년 일반계 고등학교로 전환되었으며 2015년 7월 21일 부성 고등학교를 한얼고등학교로 교명 변경하여 2016년 3월 신입생을 받았다..

[교육 활동]

한얼고등학교는교육 방침은 지식 기반 사회가 요구하는 창의적인 인간 양성이다. 이를 위하여 크게 세 가지의 교육 활동을 전개하고 있다. 먼저 인성 교육 및 인간 존중 교육의 내실화로 실천·체험 위주의 인성 교육 강화와 민주 시민 의식 및 공동체 의식 함양, 진로·직업 교육의 충실, 올바른 국가관 확립, 건전한 경제생활 교육과 생활 예절 교육의 충실, 독서 교육의 강화, 1인 1악기 다루기 교육 강화를 실시하고 있다.

둘째, 학력 신장 및 학교 경영 자율화 확립으로 학습자 중심의 교육 과정 운영을 통한 교육의 내실화, 교과목 협의회 활성화로 수업의 질 향성, 교실 수업 개선을 통한 기초 학력 신장, 중국어 교육 활성화, 특기·적성 교육 활동의 활성화, 학교장 중심의 책임 경영 정착, 영·수 수준별 수업 시행을 하고 있다. 셋째, 교육 환경 선진화 및 지식·정보화 교육 강화를 위하여 교육 정보화의 실현, 1인 2자격증 취득 강화, 지식·정보화 교육 강화, 컴퓨터 활용 실습 환경 구축, 현장 실습 교육의 내실화, 산학 협동 교육 강화, 일반 고등학교 전환 대비 교육 환경 개선, 스마트 교육 활성화를 전개하고 있다.

한얼고등학교는 한민족 교육을 통하여 세계를 선도할 지도자를 양성하고자 하는 학교다. 매주 월요일 7교시에는 건학과 민족정신, 문화교육을 실시하여 나라사랑과 충효실천을 강조하고 있다. 교육부와 부산광역시 교육청으로부터 인성교육 우수 프로그램 선정 학교로 인정받았고, 각종 축제와 경시대회 및 다양한 체험활동 등으로 창의력을 개발하는 창의창조학교이다.

교사와 학생 간 멘토링을 운영하여 학습자의 심리상담과 진로상담, 진학상담, 학습 지도를 하고 있다. 토요방학 후 학교에서는 주말을 이용한 자기계발의 시간을 가질 수 있도록 하며, 수요자 중심의 선택적 수업, 다양한 체험학습과 동아리 학습을 지원하고 있다. 꿈과 끼를 살리는 꿈의 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색소폰 수업, 밴드부 활동, 합창부, 댄스부 활동 등 각종 음악활동과 태권도부, 축구부, 씨름부, 농구부, 플래그풋볼부, 검도부, 탁구부 등의 체육 활동을 하고 있다.

[교가와 상징물]

1. 교가[작사 한효섭/작곡 나영수]

한얼산 정기받아 닦은 이 터전/ 배움의 상아탑 한얼의 전당/ 슬기로운 우리들은 한얼을 위해/ 한얼과 함께하는 한얼의 아들딸/ 조국은 믿는다 너를 믿는다/참신한 인간 되세 한얼고교.

2. 교목: 소나무이다. 소나무는 장수, 씩씩함, 절개, 사랑, 일편단심, 초지일관의 의미를 갖고 있어 교목으로 정하였다.

3. 교화: 무궁화이다. 우리나라의 국화이며, 협동, 단결, 오행, 오복, 오곡의 의미를 갖고 있어 교화로 정하였다.

4. 교조: 까치이다. 예로부터 민요·민속에 등장하는 친숙한 새이며, 소식, 행운, 행복의 의미를 갖고 있어 교조로 정하였다.

5. 교수: 호랑이다. 용기와 결단, 민활, 위엄을 갖춘 동물로 우리나라 건국신화에도 등장하며, 우리와 친숙한 동물이므로 교수로 정하였다.

[현황]

2016년 4월 현재 1․2․3학년 각 8학급씩 총24학급이 있고, 학생수는 1학년 235명, 2학년 218명, 3학년 188명으로 총 641명이 재학하고 있다. 교사는 54명, 사무직원 13명이며 교사 1인당 학생수는 13.1명, 학급당 학생수는 26.7명이다. 교지면적은 총 11,394㎡이며 일반 교실은 24실, 교과교실 3실, 특별교실 8실의 교수학습공간이 있으며, 학습지원 공간으로는 멀티미디어실 2실이 있다. 그외에 체육집회 공간과 관리행정공간, 보건실, 학생식당 등을 갖추고 있다.

[참고문헌]
  • 한얼고등학교(http://haneol.hs.kr/)
  • 학교알리미(http://www.schoolinfo.go.kr)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