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13829
한자 新池堰
영어음역 Sinji-eon
이칭/별칭 연지언
분야 정치·경제·사회/경제·산업,역사/전통 시대
유형 지명/고지명
지역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연지로 29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김수한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제언
관련문헌 『동래부지(東萊府誌)』
비정 지역 연지초등학교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연지로 29지도보기

[정의]

조선 후기 동래부에 있던 제언.

[명칭 유래]

신지언(新池堰)이 있던 곳이 연지리이었는데, 연지언(蓮池堰)이라고 하지 않고 ‘새못’이라는 뜻을 가진 ‘신지언’이라고 칭하였다. 당시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초읍동화지언이 있어서 새롭게 만들었다는 의미에서 붙인 명칭이다.

[형성 및 변천]

신지언『동래부지(東萊府誌)』[1740]에 “부의 서쪽 13리[약 5.11㎞]에 있는데 길이는 268척(尺)[약 81.21m], 너비는 242척[약 73.33m]이다”라고 하여 동래부에서 두 번째로 큰 제언으로 기록되어 있다. 『동래부 읍지(東萊府邑誌)』[1899]에는 둘레가 약 139.39m[460척]이고 물 깊이는 약 0.911m[3척]라고 하였으며, 『동래군지(東萊郡誌)』[1937]에는 “연지언은 연지리 서쪽에 있다”라고 기재되어 있다.

이상의 사료에서 보면, 명칭은 신지언에서 일제 강점기 행정 지명인 연지동을 따서 연지언이라 불렀던 것으로 보인다. 이후 일제 강점기 당시 수리 조합 주도로 성지곡(聖旨谷)에 근대적 저수지가 등장하면서 신지언은 용도가 폐기된 것으로 보인다.

[위치 비정/행정 구역상의 구분]

신지언이 기록된 것을 중심으로 살펴보면 지금의 연지초등학교로 비정된다. 소재지는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연지로 29번지이다.

[관련 기록]

1740년에 간행된 『동래부지』 제언조에 “신지언은 동래부 서쪽 13리에 있다. 방죽의 길이는 268척이며 폭은 242척이다[新池堰在府西十三里長二百六十八尺廣二百四十二尺]”라고 기록되어 있고, 1759년에 간행된 『동래부지』 제언조에는 “신지언은 동래부 서쪽 13리에 있다. 둘레 460척이며 물 깊이는 3척이다[新池堰在府西十三里周四百六十尺水深三尺]”라고 되어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