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13781
한자 國道第-號線
영어의미역 National Expressway No.77
이칭/별칭 부산~파주선,부산~개성선
분야 지리/인문 지리
유형 지명/도로와 교량
지역 부산광역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박규택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국도
길이 728.125㎞
차선 4~8차선
30~50m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3년 - 여수~남해, 태안~보령, 부안~고창, 영광~해제 등 연결 구간 공사 착공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8년 - 서울특별시와 경기도 파주시를 잇는 자유로가 국도 제77호선으로 편입
특기 사항 시기/일시 2008년 7월 14일 - 하단 교차로~낙동강 하굿둑 입구 구간 중앙 버스 전용 차로제 실시
전구간 국도 제77호선 - 부산광역시 중구~경기도 파주시 문산읍

[정의]

부산광역시 중구에서 경기도 파주시 문산읍까지 연결되는 일반 국도.

[명칭 유래]

우리나라 일반 국도 번호의 경우 남북 방향의 국도 30개 노선에는 홀수 번호를 부여하고, 동서 방향의 국도 26개 노선에는 짝수 번호를 부여한다. 그중 부산광역시 중구에서 경기도 파주시 문산읍까지는 국도 제77호선이 부여되었다. 파주까지 연결되는 노선이라 하여 부산~파주선[국도 제77호 부산~파주선]으로도 불리며, 파주에서 국도 제1호선과 연결되어 개성까지 연결이 가능한 노선이라 하여 부산~개성선이라고도 불린다.

[제원]

국도 제77호선의 총 연장은 728.125㎞이고 2차로 425.879㎞, 4차로 69.555㎞, 6차로 30.227㎞, 8차로 64.977㎞이다. 그리고 미포장 구간 2.920㎞, 미개통 구간 134.57㎞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부산광역시 내에서는 강서구에서 서구까지는 낙동남로 구간과 일치하며, 서구에서 중구까지는 국도 제2호선과 겹친다. 도로의 폭은 30~50m에 4~8차로이다.

[건립 경위]

국도 제77호선은 대한민국의 극북과 극서, 극남을 이어주는 간선 도로로 개설되었다. 한반도의 서해와 남해의 해안 및 도서 지역을 연결하는 도로 조성 사업으로 기존 도로와 연결된다. 또한 바닷가 절경을 만끽할 수 있는 드라이브 코스이자 과거 교통 낙후 지역의 접근성을 향상시켜 국토의 균형 발전을 도모하는 역할을 수행하였다.

[변천]

국도 제77호선은 경기도와 충청남도, 전라북도, 전라남도, 경상남도에 지방 도로로 분산되어 있던 도로를 연결하여, 인천에서 부산까지 이어지는 897㎞의 대규모 해안 국도로 조성되었다. 여수~남해, 태안~보령, 부안~고창, 영광~해제 등의 연결 구간은 2003년 공사를 착공하였고, 다른 구간도 2020년 완료 예정으로 추가 연결 작업이 이루어지고 있다. 2008년에는 서울특별시와 경기도 파주시를 잇는 자유로가 국도 제77호선으로 편입되어 인천까지 연결되던 구간이 파주까지 연장되었다. 부산광역시 내의 국도 제77호선 구간은 강서구에서 사상구를 경유해 중구까지이다. 구간 중 2008년 7월 2일부터 하단 교차로~낙동강 하구둑 입구 구간에 부산 최초로 중앙 버스 전용 차로제가 시범 실시되었고, 7월 14일부터 본격적으로 실시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

[현황]

국도 제77호선부산광역시에서 남해안 및 서해안을 따라 인천광역시, 서울특별시, 자유로 그리고 경기도 파주까지 이어지는 대규모 국도이다. 또한 파주에서 허가를 받으면 황해북도 개성시까지 이어져, 타 국도와 중복되는 구간[560㎞]을 포함한다면, 총 연장은 무려 1,288.128㎞에 달하는 우리나라에서 가장 긴 국도가 될 것이다. 또한 부산광역시 내에서는 경상남도 창원시 진해구에서 강서구로 연결되어 사하구서구, 중구까지 이어지며, 낙동남로 및 국도 제2호선 구간과 겹친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