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213739 |
---|---|
한자 | 都市高速道路 |
영어의미역 | Urban Express Highway |
분야 | 지리/인문 지리 |
유형 |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
지역 | 부산광역시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박규택 |
[정의]
부산광역시 내의 외곽 지역 간 교통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건립한 고속 도로.
[건립 경위]
부산광역시는 국토의 남동쪽 끝단에 자리하고 있으며, 대한민국 최대의 수출 입항인 부산항이 있어 전국에서 몰려드는 화물을 해운으로 수송하는 거점이다. 때문에 경부 고속 도로나 남해 고속 도로, 중앙 고속 도로 등을 통해 여수·거제·창원 등 서부 경상남도와 남해안에서, 울산과 서울·대구 등 경부 축에서 컨테이너와 화물 차량이 몰려드는 지역이다.
뿐만 아니라 금정 산맥과 금련 산맥이 부산의 동쪽과 서쪽에서 남북으로 길게 나 있어 남북 축으로 시가지가 발달해 교통 체증이 심한 지역이다. 도시 내 주요 간선 도로는 금정구에서 중구까지를 연결하는 중앙 대로를 중심으로 구성되어 교통난이 심했다. 이에 부산의 중심 도로인 중앙 대로를 주행하는 컨테이너 차량 등의 위험과 교통난을 해소하기 위해 부산 제1 도시 고속 도로인 번영로가 개통되면서 전국 최초의 도시 고속 도로가 건설되었다.
[현황]
부산의 도시 고속 도로에는 남북으로 연결된 제1 도시 고속 도로인 번영로와 동서를 연결하는 제2 도시 고속 도로인 동서 고가로, 관문 대로, 장산로, 정관 산업로가 있다. 번영로와 동서 고가로는 부산광역시 시설관리공단에서 운영하며, 그 외 도시 고속 도로는 민자 또는 구청에서 관리하고 있다. 초기에 건설된 번영로와 동서 고가로, 관문 대로, 장산로 등은 모두 부산의 외각 지역과 항구를 연결하는 도로로 개설되었으며, 장산로와 정관 산업로는 도시 고속 도로와 주변 지역을 연결함으로써 도시 내 대동맥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부산광역시 내 도시 고속 도로의 총 길이는 6만 351m에 달하는데, 이는 5개 주요 도시 고속 도로 외에 광안 대로, 가락 대로, 을숙도 대교, 거가 대로 등 주요 지역을 연결하는 자동차 전용 도로까지 포함한 것이다.
1. 번영로
부산의 남북을 연결하는 핵심 중추 도로인 번영로는 부산광역시뿐 아니라 전국 최초의 도시 고속 도로로, 2004년부터 전 구간이 무료화되었다. 금정구·동래구·수영구·남구·동구를 통과하며, 2013년 현재 부두 IC, 범일 IC, 문현 IC, 대연 IC, 망미 IC, 원동 IC, 금사 IC, 구서 IC 등 8개 램프[IC]가 있어 부산의 주요 도로와 연결되며, 회동 분기점에서 정관 산업로와 연결된다. 오륜 터널·수영 터널·광안 터널·대연 터널·문현 터널 등 5개 터널과 대연 휴게소·광안 휴게소 등 양 방향으로 각 1개의 휴게소를 갖추고 있다. 번영로가 통과하는 주변으로 해운대 신시가지와 센텀 시티, 수영구와 남구의 주거지가 자리하고 있으며, 부산의 주요 해안 관광지인 해운대·광안리 등과도 연결되어 교통량이 지속적으로 늘어나고 있다.
2. 동서 고가로
동서 고가로는 문현 교차로에서 감전 IC까지 연결되는 도시 고속 도로로, 대부분의 구간이 고가 도로로 건설되어 붙여진 이름이다. 부산광역시 남구에서 부산진구, 사상구를 통과하며 남해 고속 도로 제2 지선에서 부산 시내로 연결된다. 또한 부산항으로의 접근성을 향상시켜 부산의 동서 간을 연결하는 대동맥이다. 동서 고가로는 사상·감전·학장·주례·진양·범내골·황령산·문현·7 부두·감만 사거리 등 10개소의 램프가 있어 주요 도로와 연결되며, 7 부두 램프에서는 부산항 순환 도로를 이용해 감만동에서 부산역, 남포동 방향으로의 이동이 용이하다. 동서 고가로의 종점인 낙동 대교에서 서부 경상남도와 남해안 등지로 연결되는데, 거가 대교 건설과 서부산 지역의 개발로 인해 교통량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3. 관문 대로
관문 대로는 서부산 지역에서 부산항으로 연결되는 도로로, 사상구·부산진구·동구를 통과한다. 5 부두 나들목, 좌천 나들목, 동의대 나들목, 국제고 나들목, 모라 나들목, 삼락 나들목 등 6개 나들목을 통해 주요 간선 도로와 연결되며, 유료화되어 있는 백양 터널과 수정 터널 등 2개의 민자 터널이 있다. 도심부에서 김해 공항까지 연결되어 자동차 등도 많이 이용하는 노선이다. 거가 대로 개통 후 분산 효과로 교통량이 약간 줄어들었다.
4. 장산로
장산로는 동해안을 따라 조성된 국도 및 해운대로와 광안 대로를 연결하는 도로로, 부산항 및 부산 도심부로의 접근성을 향상시킨다. 장산로는 해운대 신시가지의 외곽부를 통과하는 구간으로 장산 1터널, 장산 2터널, 장산 3터널이 있고, 우동 고가교와 좌동 지하 차도가 조성되어 있다. 부산 울산 고속 도로가 장산로에서 분기한다. 동부산 지역의 발전과 부산 울산 고속 도로 건설 및 센텀 시티 개발 등으로 교통량이 증가하고 있다.
5. 정관 산업로
정관 산업로는 정관 지방 산업 단지 및 정관 신도시의 건설로 동부산 지역으로의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건설된 도로이다. 번영로에서 회동 나들목을 통해 연결되어 정관 신도시까지 이어진다. 구간 내에는 금사 나들목, 대곡 나들목, 철마 나들목, 중리 나들목[백길], 중리 나들목 등 5곳의 나들목과 개좌 터널, 곰내 터널 등 2개의 터널이 있다. 정관 지역의 지속적인 개발과 기장~울산 간 접근성의 향상으로 지속적으로 교통량이 증가하고 있다.
6. 기타
부산광역시 내부 자료에서 따르면, 남구 대연동 49호 광장에서 해운대 센텀 시티 요금소까지 연결된 광안 대로, 강서구 봉림동 동전 교차로에서 식만동 부산 시계까지 이어진 가락 대로, 강서구 명지동 75호 광장에서 사하구 신평동 66호 광장까지 연결된 을숙도 대교, 거제와 부산을 연결하는 거가 대교 구간 중 부산·경상남도 경계 공유 수면에서 강서구 천성동까지 이어지는 거가 대로 등도 도시 고속 도로로 규정하고 있다.
[의의와 평가]
부산은 남북으로 긴 신장형의 시계와 국토의 동남단에 자리한 해상 교통과 육상 교통의 결절지라는 특성에 의거해 일찍부터 도시 고속 도로가 건립되었다. 또한 산이 많은 부산의 지형 특성을 반영하여 도시 고속 도로 구간 내에는 고가 도로나 터널이 많이 건설되어 있으며, 높은 공사비로 인해 유료화된 구간도 많다. 외부 지역에서 부산항으로 향하는 물동량에 의해 건설된 도시 고속 도로는 부산의 대동맥 역할을 수행하며 부산 시민에게 편의를 제공하고 있다. 하지만 부산을 전국에서 유료 도로의 비율이 가장 높은 지역의 반열에 올리며 비용 부담이 크게 작용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