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213681 |
---|---|
한자 | 釜山金海輕電鐵 |
영어의미역 | Busan–Gimhae Light Railway Transit |
분야 | 지리/인문 지리 |
유형 | 지명/도로와 교량 |
지역 | 부산광역시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홍명표 |
[정의]
부산광역시 사상구 괘법동에 있는 사상역과 경상남도 김해시 삼계동에 있는 삼계역을 연결하는 경전철 노선.
[명칭 유래]
부산 김해 경전철(釜山金海輕電鐵)은 부산과 김해 간을 연결하며, 일반적인 철도에 비해 차체의 중량이 가볍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다.
[제원]
부산 김해 경전철은 민간 자본 4819억 원과 건설 보조금 2923억 원을 합쳐 총사업비 7742억 원이 투입되었다. 공사는 2006년 2월 15일에 시작되어 2011년 8월 30일에 준공 승인을 받았다. 이후 2011년 9월 16일에 정식으로 개통하였다. 부산 김해 경전철은 부산광역시 사상구 괘법동에서 경상남도 김해시 삼계동에 이르는 구간의 길이가 23.9㎞이고, 궤간 폭은 표준 궤로 1,435㎜이며, 선로수는 2개이다. 주요 시설로는 21개 역과 차량 기지 1개소를 가지고 있다. 사상~삼계 간 노선 주행 소요 시간은 38분이다.
[건립 경위]
부산 김해 경전철은 부산과 김해를 하나의 생활권으로 연결하여 광역 발전을 도모하고, 김해 국제 공항과의 접근성을 높여 업무와 생활의 편리함을 추구하기 위하여 건립되었다. 특히 부산 김해 경전철은 부산 사상에서 김해 국제 공항을 거쳐 김해시 삼계동을 이어줌으로써 대도시 부산과 지리적으로 인접해 있고 기능적으로 밀접하게 연계되어 있는 김해시에 경제성, 정시성, 안전성을 제공하는 것은 물론 탄소 배출이 없는 친환경적인 대중교통 수단을 제공하게 되었다.
부산 김해 경전철은 1992년 8월 12일에 국무회의에서 정부 시범 사업으로 추진하는 것으로 의결되었다. 1995년 3월 6일에는 재정경제원에서 민간 자본 유치 대상 사업으로 결정되었다. 2000년 8월 18일에 금호산업컨소시엄이 우선 협상 대상자로 선정되었으나 2002년 1월 9일에 현대산업개발컨소시엄으로 변경되었다. 2006년 2월 15일에 부산 김해 경전철 공사가 시작되었고, 2009년 11월 26일에 김해시 구간의 12개 역명이, 같은 해 12월 17일에 부산시 구간의 12개 역명이 확정되었다. 2011년 7월 4일에는 대학 이름이 들어간 4개 역명이 변경되었다. 이후 부산 김해 경전철은 2011년 8월 30일에 준공 승인을 받았고, 2011년 9월 16일에 정식으로 개통하였다.
[현황]
부산 김해 경전철은 부산김해경전철의 위탁을 받아 부산김해경전철운영이 운영을 맡고 있다. 부산김해경전철운영은 무인 자동 운전 등 최첨단 대중교통 수단인 경전철 운영을 위하여 김해시, 부산교통공사, 서울메트로 등 교통 시책 및 도시 철도 운영 전문 기관이 공동으로 설립한 우리나라 최초의 경전철 운영 전문 회사이다. 부산 김해 경전철의 승객 정원은 184명/편성이고 만원 시에는 304명/편성이다. 최고운행 속도는 70㎞/h이고, 표정 속도는 36㎞/h 이상이다. 운행 간격은 출퇴근 시간대에 3.7분이고, 그 외 시간대에 6분~9분이다. 시발역에서 종착역까지 운행에 소요되는 시간은 약 38분이다. 첫차는 사상역에서는 오전 5시 3분에, 삼계역[가야대학교]에서는 오전 5시에 출발하고, 막차는 사상역에서 오후 11시 24분에, 삼계역[가야대학교]에서 오후 11시 19분에 출발한다.
개통 이후에 하루 평균 3만 1000여 명이 이용하는데, 이는 당초 국토해양부와 사업자가 협약 수요에서 예상했던 하루 17만 6000명의 17% 수준이다. 부산 김해 경전철 전동차는 철제 차륜 형식의 직류 무인 운전 차량으로 2량을 1편으로 편성하고 있으며, 차량은 경량 알루미늄 차체로 된 경량 전철이다. 부산 김해 경전철은 무인 자동 운전 방식에 의한 최첨단 교통 시스템으로 정시성, 신속성, 환경 친화성이 우수하며, 종합 관제실에서 열차 운행 상황과 역사 설비 등을 실시간으로 감시하고 제어할 수 있도록 최첨단 설비를 갖추고 있어 안전성이 매우 뛰어나다. 부산 김해 경전철은 부산 도시 철도 2호선[사상역] 및 도시 철도 3호선[대저역]과 환승 체계를 갖추고 있으며, 김해 국제 공항과 연결되고 버스와도 연계하여 부산 전역 교통망과 김해시 및 양산시의 완벽한 광역 환승 교통 체계를 만들어 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