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13642
한자 都市鐵道二號線
영어의미역 Metropolitan Subway Line No. 2
이칭/별칭 그린 라인
분야 지리/인문 지리
유형 지명/도로와 교량
지역 부산광역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홍명표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철도
길이 46㎞
차선 2차선
1,435㎜
준공 시기/일시 1999년 6월 30일연표보기 - 1단계 구간[양산 호포~서면] 개통
준공 시기/일시 2001년 8월 8일연표보기 - 2단계 구간[서면~금련산] 개통
준공 시기/일시 2002년 1월 16일연표보기 - 광안역 개통
준공 시기/일시 2002년 8월 29일연표보기 - 광안~장산역 개통
준공 시기/일시 2008년 1월 10일연표보기 - 연장 구간[양산 호포~중부] 개통
준공 시기/일시 2009년 10월 1일연표보기 - 부산대 양산 캠퍼스역 개통
전구간 도시 철도 2호선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좌동~경상남도 양산시 중부동

[정의]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좌동장산역경상남도 양산시 중부동의 양산역을 연결하는 도시 철도.

[명칭 유래]

도시 철도 건설 조례에 따라 도시 철도 2호선과 동서선으로 함께 불려 왔으나 해당 조례의 폐지로 동서선이라는 노선명은 없어졌다.

[제원]

도시 철도 2호선은 총 사업비 2조 8553억 원이 투입되었다. 1991년 11월 28일에 1단계 구간 공사를 시작하여 2008년 1월 10일에 호포~양산 간 연장 구간을 개통하였다. 장산~양산 구간은 46㎞이고, 궤간 폭은 1,435㎜, 선로 수는 2개다. 42개 역, 차량 기지 1개소, 회차 시설 1개소를 가지고 있으며, 주행 시간은 84분이다.

[건립 경위]

부산은 금정산맥과 황령산맥 사이의 남북으로 길게 성장한 시가지로 인해 남포동·서면 등 주요 지역의 교통난이 심각하여 남북 방향의 도시 철도 1호선이 건설되었다. 이후 부산은 북구·강서구의 성장과 남구·해운대구의 발전으로 시가지의 외연적 확장이 계속되며 동서 방향으로도 심각한 교통난을 보이게 되었다. 이에 동서축의 교통 혼잡을 해소하기 위하여 도시 철도 2호선을 건설하게 되었다. 이어 대도시 부산과 주변 지역인 양산이 하나의 대도시권을 형성하면서 부산과 양산의 균형적 발전을 위해 부산 도시 철도 2호선 연장 양산선이 건설되며, 부산은 도시 철도 광역 대중교통 시대를 열게 되었다.

[변천]

도시 철도 2호선은 1991년 5월에 건설에 관한 기본 계획을 확정하였고, 같은 해 9월에 기본 설계를 완료하였다. 건설 공사는 크게 3단계로 나누어 이루어졌다. 1단계인 서면~양산 호포 간 구간 공사는 1991년 11월 28일에 착공하여 1999년 6월 30일에 개통하였다. 2단계 서면~장산 간 구간 공사는 1994년 10월 27일에 착공하여 2001년 8월 8일에 서면~금련산 간 구간, 2002년 1월 16일에 광안역, 2002년 8월 29일에 광안~장산 구간을 차례로 개통하였다. 마지막 3단계인 호포~양산 간 연장 구간은 2001년 12월 21일에 착공하여 2008년 1월 10일에 개통하였다.

현재 도시 철도 2호선과 관련하여 기본 계획을 수립하고 있는 노선으로 사상~하단선과 노포~북정선이 있다. 사상~하단선은 도시 철도 2호선 사상역과 도시 철도 1호선 하단역 구간인 6.96㎞를 연결하는 사업이다. 이 사업은 현재 기본 계획 수립 중으로 4,594억 원의 예산이 소요될 예정이고, 2010년에 시작해서 2016년에 종료될 예정이다. 고무 차륜 경전철[KAGT] 시스템이 적용될 예정으로, 정거장 5개소, 차량 기지 1개소, 환승역 2개소가 포함되어 있다.

노포~북정선은 도시 철도 1호선 종착역 노포역과 북정역[경상남도 양산시 삼성동] 구간 14.1㎞를 연결하는 도시 철도이다. 이 철도는 4,959억 원의 예산이 소요될 예정이고, 고무 차륜 경전철[KAGT] 시스템이 적용될 예정이다. 주요 시설에 정거장 7개소와 차량 기지 1개소가 포함되어 있다. 현재 타당성 조사 및 기본 계획 용역 계약을 추진 중에 있다.

[현황]

도시 철도 2호선의 운영은 2006년 1월 1일에 창립한 부산교통공사가 맡고 있다. 6량 56편성으로 총 336량의 전동차를 보유하고 있고, 1년 365일 연중 운행되고 있다. 1일 운행 횟수는 평일 345회이고, 휴일에는 301회이다. 첫차는 장산역에서 5시 18분에, 양산역에서는 5시 14분에 출발하고, 막차는 장산역에서 23시 12분에, 양산역에서 23시 7분에 출발한다.

2011년 기준으로 연간 수송 인원은 1억 493만 8000명이고 일평균 수송 인원은 28만 7000명이다. 1인당 평균 운임은 719.8원이고, 승차 효율[=1인 평균 수송 거리×1일 평균 수송 인원/1일 열차 주행 거리×정원]은 26.2%를 보이고 있다. 도시 철도 2호선 전동차는 6량을 1편으로 편성하고 있으며 차량은 중형이다. 2호선 전동차는 객실 끝부분에 전광판이 설치[량당 2개]되어 있으며 VVVF/GTO 소자를 채용하였고, 무인 운전[ATC/ATO-1인 승무 운영]이 가능하다. 2호선 전동차는 1량에 8개의 출입문이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