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213621 |
---|---|
한자 | 新羅大學敎舞踊學科 |
영어의미역 | Silla University Dance Major |
분야 | 문화·교육/문화·예술 |
유형 | 기관 단체/기관 단체(일반) |
지역 | 부산광역시 사상구 백양대로700번길 140[괘법동 산1-1]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최찬열 |
[정의]
부산광역시 사상구 괘법동에 있는 신라대학교 무용학과.
[설립 목적]
문화 예술의 시대를 맞아 무용을 통해 삶의 질을 높이고 무용 문화 발전에 기여할 전문 예술인을 양성하는 데 목표를 두고 있다.
[변천]
1970년 1월에 부산여자대학 체육학과 내 무용 전공으로 출발하였다. 1979년 1월에 부산·영남 지역에서 독립 학과로는 처음으로 부산여자대학 무용학과로 만들어졌다. 처음에는 한국 무용 전공생들로만 신입생을 뽑았으나 이듬해 현대 무용과 발레 전공도 차례로 생겼다. 1992년에 부산여자대학교 무용학과, 1997년 신라대학교 무용학과(新羅大學敎舞踊學科)로 변경되었다.
[주요 사업과 업무(활동 사항)]
학과 개설 이후 많은 공연을 가졌다. 전국 초중고등학생 무용 경연 대회, 신라대학교 총장 배 전국 아마추어 및 학생 댄스 스포츠 선수권 대회, 하계 섬머 아트 캠프, 재학생 발표회, 지역 순회공연 및 졸업생 발표회 등을 개최하였다.
1972년 9월 신라대학교 주최 학생 무용 콩쿨을 개최하여 한국 무용, 발레, 현대 무용 등 기존 무용 장르의 예술적 발전을 지속적으로 도모하였을 뿐 아니라 무용의 생활화라는 새로운 교육 목표 아래 힙합, 재즈, 댄스 스포츠 등 새로운 무용 장르를 적극 도입하여 무용 교육의 새로운 지평선을 주도적으로 확대, 개척하고 있다.
실기와 이론이라는 무용 교육의 두 가지 축이 균형을 이루면서 무용학의 지속적 발전을 달성할 수 있도록 한다. 실기 교육은 국내외 지명도를 갖춘 실기 교수 및 강사진에 의한 실기 수업과 국내외 무용 발표회를 유기적으로 연계시켜 학생들의 표현 및 안무 역량을 강화하는 데 초점을 두고 진행되고 있다. 한편 이론 교육은 타 대학교와 차별화된, 경쟁력 있는 무용 이론 커리큘럼을 통해 이론적 기반을 갖춘 전문 무용 인력의 양성에 목표를 두고 수행되고 있다. 특히 정보화 시대의 도래와 더불어 IT의 발전과 무용 교육의 융합을 통해 학생들이 새로운 무용 환경의 변화 추세에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최첨단 IT장비와 교육 방법을 무용 교육에 적극 활용하고 있다.
우수한 무용 전문 인력의 양성을 위한 신라대학교 무용학과의 끊임없는 노력의 결과로 매년 주요 무용 콩쿠르에서 수많은 입상자들이 배출되었으며, 각종 국내외 문화 행사에 무용학과 학생들이 참가하고 출연하는 등 활발한 무용 공연을 통해 신라대학교 무용학과의 위상을 드높이고 있다. 또한 졸업생들은 국립·시립 전문 무용단원, 각급 학교 및 사회 교육 시설의 교사와 강사 등으로 진출하여 전문 무용인으로서 활발한 활동을 하고 있다.
[현황]
2012년 현재 발레는 김정순, 이론은 황인주, 한국 무용은 정신혜, 현대 무용은 이태상 교수가 담당하고 있다. 학생 수는 180명 정도로 구성되며 부산에서 가장 많은 무용인을 배출하였다. 신라대학교 무용학과는 지금까지의 결과에 만족하지 않고, 세계화 환경이 진전되고 있는 상황에서 한국 무용계가 세계 무용의 흐름을 주도하는 데 핵심적 역할을 수행하고 21세기 복지 국가 시대를 맞이하여 무용을 통해 지역 주민들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문화 복지를 증대시키는 데 기여할 수 있는 지역 무용 예술인을 양성하는 데 새로운 교육 비전과 목표를 두고 최선의 노력을 다하고 있다.
[의의와 평가]
신라대학교 무용학과 동문이 만든 부산의 대표적인 무용단으로 하야로비현대무용단, 땡브르발레단이 있다. 그리고 트러스트무용단 예술 감독 김형희, 부산 제일의 한국 춤꾼 이윤혜 등 걸출한 안무가와 무용가를 많이 배출한 학교로서 명성을 이어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