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13603
한자 溫井-
영어의미역 Onjeong Village
분야 지리/인문 지리
유형 지명/행정 지명과 마을
지역 부산광역시 기장군 일광면 동백리 온정 마을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김차웅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자연 마을
변천 시기/일시 1973년 - 경상남도 양산군 일광면 동백리에 속함
변천 시기/일시 1995년 - 경상남도 양산군 일광면 동백리에서 부산광역시 기장군 일광면 동백리로 개편
자연 마을 온정 마을 - 부산광역시 기장군 일광면 동백리 온정 마을

[정의]

부산광역시 기장군 일광면 동백리에 있는 자연 마을.

[명칭 유래]

온정(溫井)은 마을이 남쪽을 향하고 있어 따뜻하며, 마을에 작은 공동 샘[공동 우물]이 있어 붙여진 이름이다.

[형성 및 변천]

온정 마을은 1970년 고리 원자력 발전소가 건립되며 30여 가구의 이주민 집단촌으로 형성되었다. 처음에는 새마을[신리]이라 부르다가 온정 마을로 개칭되며 두 지명이 함께 사용되었으나, 1980년경 동백 마을 들판에 새마을[주택 개량 사업으로 신축 건물이 들어섬]이 조성되면서 혼동을 주지 않으려고 온정이라 부르기 시작하였다. 온정 마을은 1973년 경상남도 양산군 일광면 동백리에 속하였으며, 1995년에는 부산광역시 기장군 일광면 동백리 온정 마을이 되었다. 온정 마을이 행정적으로 독립한 마을은 아니나 양산군 시절 문화유적지 간행물과 국립지리원에서 발행한 지도 등에는 온정으로 표기되어 있다.

[자연 환경]

온정 마을은 북쪽으로 동백천이 흘러 동해로 유입되고, 서쪽은 낮은 산지로 둘러싸여 있다. 동쪽은 동해와 접하며, 남쪽은 곶[바다 쪽으로 돌출된 해안]이 있는 바닷가 마을이다.

[현황]

동백 마을 진입로에 원전 지원금으로 지어진 마을 회관이 있고, 고리 마을에서 모셔 온 제당과 1962년 세웠던 구봉화(具奉化) 공덕비가 마을 내에 이설되었다. 마을 입구에는 능성 구씨(綾城具氏) 도원수파(都元帥派) 재실과 통정대부 구중호(具重浩)의 묘가 있다.

온정 마을 앞바다는 수심이 깊고 파도가 심해 태풍 때 피해를 입기도 하였으나, 고리 원자력 발전소의 지원으로 축대를 높이 쌓고 호안 매립을 보강함으로써 안전성을 확보하였다. 이주 당시 방파제가 설치됨에 따라 동백항과 별개로 온정항[도 지정항]이 생겼으나 이용이 거의 없어 지금은 항에서 제외되었다. 현재는 빼어난 경관과 청정 수역이 알려지면서 여름철 관광객이 모여들고, 해안가에는 횟집이 늘어나며 회촌으로 알려져 있다. 해안에 부경대학교 수산과학연구소가 있으며 재실 부근에는 해동성취사와 용주사가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