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13594
한자 遊園地
영어의미역 Amusement Park
분야 지리/인문 지리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부산광역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김일곤

[정의]

부산 지역 내에 조성되어 있는 시민이 여가 활동을 즐길 수 있는 공간.

[개설]

유원지는 오락·레크리에이션 시설을 갖추고 능동적인 여가 활동을 즐길 수 있도록 조성된 공간이다. 유원지를 오락 공원으로 오랫동안 인식하였으나, 주 5일 근무의 정착과 소득 증대로 여가 시간 증가와 함께 다양한 계층의 위락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여 오락·레크리에이션·교육을 겸한 종합적 여가 활동의 장으로 발전하고 있다. 유원지는 타는 시설과 공연 및 관람 시설, 운동 시설, 휴양 시설, 편익 및 관리 시설, 보트장 등을 조화롭게 구성하여야 한다. 유원지의 조성은 오락·레크리에이션 시설 제공뿐 아니라 도시의 녹지 확보와 아름다운 자연 자원 보존을 통해 휴양의 공간으로도 기능하게 된다. 유원지는 지형적 특성에 따라 계곡형(溪谷形), 접근성이 좋은 평탄지형(平坦地形), 그리고 수변 공간형(水邊空間形)으로 나눌 수 있는데, 부산광역시는 산지와 하천 및 해안에 접하고 있어 계곡형과 수변 공간형 유원지 조성이 유리하다.

[현황]

부산광역시에는 전국적으로 잘 알려진 태종대 유원지가 자리하고 있다. 부산 지역의 유원지 개발 역사는 1971년 5월 10일 성지곡 유원지의 개장으로 시작된다. 이후 금강 공원이 1973년 5월 1일, 태종대 유원지가 1975년 3월 1일에 개장하였는데, 1978년 5월 5일에는 성지곡 유원지가 어린이 대공원으로 바뀌었다. 부산광역시는 2030년까지 공원 895개소의 조성 계획과 함께 유원지 15개소의 조성을 계획하고 있다. 2012년 12월 말 기준으로 부산광역시 내의 유원지는 3개소의 유원지가 조성되어 있고, 6개소의 유원지는 조성 중이며, 나머지 6개소의 유원지는 계획 중으로 2,266만 9,144㎡ 면적에 총 15개소에 이른다. 각 지역별로 유원지 조성 계획을 보면, 동구에 1개소, 영도구에 1개소, 부산진구에 2개소, 남구에 1개소, 해운대구에 1개소, 사하구에 3개소, 금정구에 1개소, 강서구에 2개소, 수영구에 1개소, 기장군에 2개소가 있다.

조성된 유원지로는 강서구 범방동 152번지 일대의 부산·경상남도 경마장에 자리한 62만 1,552㎡의 가락 유원지와 수영구 민락동 114-2번지 일대의 9만 8,220㎡의 민락 유원지, 영도구 동삼동 산29-1번지 일대의 179만 3,026㎡의 태종대 유원지가 있다. 그 외에 부산진구·연제구·남구·수영구의 570만 807㎡ 면적에 조성되고 있는 황령산 유원지와 부산진구 가야동 44-3번지의 12만 3,787㎡ 면적에 조성되고 있는 가야 유원지, 기장군 동백리 산5번지의 44만 4,806㎡ 면적에 조성되고 있는 일광 유원지, 해운대구 우동 700번지의 2만 5,060㎡ 면적에 조성되고 있는 동백 유원지, 사하구 다대동 산144번지의 50만 6,184㎡ 면적에 조성되고 있는 몰운대 유원지, 금정구 금성동 산5번지의 653만 5,349㎡ 면적에 조성 중인 산성 유원지 6개소가 있다.

조성 계획은 수립되어 있으나 미조성 상태인 유원지로는 강서구 성북동·천성동·동선동 일대의 가덕 유원지[310만 7,010㎡], 기장군 병산리 산61번지 일원의 병산 유원지[286만 7,996㎡], 동구 좌천동 915-40번지 일대의 좌천 유원지[6,890㎡], 남구 용호동 산170번지 일대의 신선대 유원지[41만 745㎡], 사하구 하단동 786-1번지 일대의 에덴 유원지[7만 2,712㎡], 사하구 다대동 산1-1번지 일대의 거북섬 유원지[35만 5,000㎡]가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