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13569
한자 馬鞍山公園
영어의미역 Maansan Mt. Park
분야 지리/인문 지리
유형 지명/시설
지역 부산광역시 동래구 복산동|명륜동|명장동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임정연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공원
면적 600,000㎡
준공 시기/일시 1972년 12월 30일 - 공원 지정 결정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97년 - 재개장
최초 설립지 마안산 공원 - 부산광역시 동래구 명륜동 169-43지도보기
현 소재지 마안산 공원 - 부산광역시 동래구 명륜동 169-43지도보기

[정의]

부산광역시 동래구 복산동·명륜동·명장동에 있는 사적 공원.

[건립 경위]

마안산 공원마안산(馬鞍山) 일대의 환경을 보호하고 시민들에게 휴식 공간을 제공하기 위하여 조성되었다. 1972년 12월 30일 공원 지정이 결정되었고, 1984년 5월 30일 조성 계획이 이루어졌다.

[변천]

1997년 동래읍성 북장대와 부산 복천동 고분군 등을 복원하면서 재개장하였다.

[구성]

부산광역시 동래구 복산동·명륜동·명장동 등 3개동에 걸쳐 있는 마안산에 60만 ㎡의 광활한 면적에 조성되어 있다. 동래읍성지[1972년 부산직할시 기념물 제5호로 지정]를 비롯한 각종 문화재와 운동 시설이 갖춰진 동래구의 대표적 공원이다. 마안산 2개의 산정에는 읍성 내부 초소 및 지휘소 역할을 했던 동래읍성 북장대와 체육공원이 각각 조성되어 있다. 체육공원 주변은 산책로와 러닝머신, 평행봉, 철봉, 윗몸 일으키기 기구 등 18종 33점의 각종 운동 시설이 완비되어 있다. 또한 부산 3·1 운동 독립 기념탑[높이 21.6m], 백세 계단 등이 있다.

[현황]

마안산 공원이 위치한 마안산은 두 개의 종순형 산정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동래부 진산인 윤산에서 뻗어 나온 동래부의 주산(主山)이다. 마안산 지명은 산의 모양이 말[馬]의 안장[鞍]을 닮았다는 데서 붙여진 이름이라는 설이 있다. 공원은 24시간 이용이 가능하며, 주변에는 복천박물관, 장영실 과학 동산, 동래 향교, 동래읍성 역사관, 동래 문화 회관 등이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