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213521 |
---|---|
한자 | 神魚川 |
영어의미역 | Shineocheon Stream |
분야 | 지리/자연 지리 |
유형 | 지명/자연 지명 |
지역 | 부산광역시 강서구 식만동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반용부 |
[정의]
경상남도 김해시 신어산에서 발원하여 부산광역시 강서구 식만동에서 서낙동강으로 유입하는 하천.
[명칭 유래]
신어천은 신어산[630m]에서 발원해 붙여진 이름이라고도 하고, 가야국 시조 김수로왕이 신비한 물고기가 노니는 것을 보고 신어천이라 명명하였다고도 전해진다.
[자연 환경]
신어천은 경상남도 김해시 삼방동 영운마을 북단의 신어산 기슭에서 발원하여 김해 시가지를 관통해 남쪽으로 흐르다가, 김해 대로를 지나며 남동쪽으로 방향을 틀어 부산광역시 강서구 식만동 식만 부락 인근에서 서낙동강으로 유입한다. 상류부는 산지를 흐르며 중류부는 시가지를 직류해서 흐르고, 하류부에서는 삼각주 평야를 흐른다. 신어천 상류는 고도가 높고 산지 사면의 경사가 급한 신어산 계곡을 따라 흐르며, 중류부에서는 김해 평야를 지나며 농업용수를 공급한다. 현재는 하천의 하류부를 제외하고는 도시화로 옛 형태가 사라지고 없다.
[현황]
부산광역시 권역에서의 신어천은 초선대[부산광역시 강서구 식만동 315-12]에서 부산광역시 강서구 식만동 163번지까지로, 신어천의 총 유로 연장 7.4㎞ 중에 약 900m에 불과하다. 신어천의 유역 면적은 18.4㎢이다. 신어천 발원지에는 가야 컨트리클럽이 있고, 발원지 남측에는 인제대학교가 자리하고 있다. 김해시를 관통하는 하천 중류의 양안에는 안동 공단이 자리하고 있으며, 주변에 아파트 단지가 조성되고 학교가 들어서는 등 도시화가 급격히 진행되고 있다.
신어천의 상류부인 신어산 정상 부근에 있는 가야 컨트리클럽과 김해 시가지 및 공단 등에서 유입되는 오염된 하수의 유입으로 하천의 수질 악화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특히 신어천의 오염된 하수가 서낙동강으로 유입하면서 서낙동강 중류를 오염시키고, 폭우 시에는 부유 침전물까지 대량 유입되어 심각한 문제를 유발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