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13458
한자 乘鶴山稜線-
영어의미역 Road to Songhak Mountain Ridge
분야 지리/인문 지리
유형 지명/시설
지역 부산광역시 사하구 하단동|당리동|괴정동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김일곤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등산로
면적 10.5㎞[길이]
전화 051-220-4061
준공 시기/일시 2009년 11월연표보기 - 조성
최초 설립지 승학산 능선 길 - 부산광역시 사하구 하단동
최초 설립지 승학산 능선 길 - 부산광역시 사하구 당리동
최초 설립지 승학산 능선 길 - 부산광역시 사하구 괴정동
현 소재지 승학산 능선 길 - 부산광역시 사하구 하단동
현 소재지 승학산 능선 길 - 부산광역시 사하구 당리동
현 소재지 승학산 능선 길 - 부산광역시 사하구 괴정동

[정의]

부산광역시 사하구 하단동·당리동·괴정동 일대에 있는 숲길.

[건립 경위]

승학산 능선 길은 녹색 성장 및 일자리 창출 작업인 희망 근로 프로젝트의 하나인 부산 갈맷길 사업의 일환으로 2009년 11월 조성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

[구성]

승학산 능선 길은 도시와 함께 살아 숨 쉬는 억새 명산 승학산(乘鶴山)에서 구덕산(九德山), 엄광산(嚴光山), 수정산(水晶山)으로 이어지며 부산의 중심가를 동서로 가로지르는 10.5㎞의 길로 3시간가량이 소요된다. 코스는 동아대학교병원 정문~대신 공원~구덕령 쉼터~구덕 문화 공원~부산지방기상청 관측소 사거리~억새밭~승학산~동아대학교 승학캠퍼스로 이어진다.

[현황]

승학산 능선 길부산광역시 사하구 하단동·당리동·괴정동 일대 산을 중심으로 조성되어 있다. 편백나무, 삼나무 등 울창한 숲을 자랑하는 대신 공원을 지나면 구덕 수원지에 이른다. 내원정사를 거쳐 구덕령 꽃마을, 구덕 문화 공원을 지나면 구덕산 정상에 도착하는데, 이곳에 항공 무선 표시소가 있다. 항공 무선 표시소를 시계 방향으로 돌아 숲을 지나면 ‘구덕산’이라 적힌 정상석과 부산지방기상청 관측소 건물이 있다. 이 건물터가 시약산 정상이고, 그 아래 정자가 시약정이다. 항공 무선 표시소를 지나 승학산 쪽으로 들어가면 정상만 약간 솟아있을 뿐 전체적으로 굴곡이 없는 부드러운 능선 길이 연속되어 있다. 화장실과 산불 초소가 있는 사거리는 서구·사하구·사상구의 경계 지점이다.

승학산 정상에 오르면 오륙도 해양대가 위치한 조도, 북항, 남항, 감천항, 부산 신항, 장산, 황령산, 엄광산, 금정사, 백양산, 광안 대교, 낙동강 등 부산을 속속들이 볼 수 있다. 특히 승학산 동쪽 제석골 안부에 수만 평에 이르는 억새 군락이 있는데, 등산객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하여 2007년 6월에 목재 계단 224개, 돌계단 28개를 설치하는 450m에 걸친 정비 작업을 시행하여 사람들이 많이 찾고 있다. 정상을 거쳐 동아대학교 하단캠퍼스까지는 오로지 직진만 하면 된다. 승학산 능선 길을 찾아가려면 부산 지하철 1호선 동대신역·서대신역에 하차하여 시내버스로 환승하여 동아대학교병원 앞에 내리면 된다. 종료점인 동아대학교 하단캠퍼스 부근에는 부산 지하철 1호선 하단역과 인근에 많은 시내버스들이 운행하고 있다. 주변에는 낙동강 하류 철새 도래지, 을숙도 문화 회관, 에덴 공원, 민주 공원, 중앙 공원, 용두산 공원 등이 있다.

[참고문헌]
  • 박창희·이흥곤·이노성, 『부산 걷기 여행』(해성, 2009)
  • 걷고 싶은 부산-그린 워킹(http://www.green-walking.com)
  • 부산광역시 문화 관광(http://tour.busan.go.kr)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