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13448
한자 洛東江河口-
영어의미역 Road to the Mouth of the Nakdong River
분야 지리/인문 지리
유형 지명/시설
지역 부산광역시 사하구|북구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김일곤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준공 시기/일시 2009년연표보기 - 조성
최초 설립지 낙동강 하구 길 - 부산광역시 사하구|북구 일대
현 소재지 낙동강 하구 길 - 부산광역시 사하구|북구 일대

[정의]

부산광역시 사하구와 북구 일대에 있는 강변길.

[건립 경위]

낙동강 하구 길은 녹색 성장 및 일자리 창출 작업인 희망 근로 프로젝트 가운데 하나인 부산 갈맷길 사업의 일환으로 2009년 조성되었다.

[구성]

낙동강 하구 길구포역에서 낙동강 하구둑을 잇는 14.3㎞의 거리로 5시간가량 소요된다. 코스는 구포역~구포 대교~삼락 습지 생태원~사상~하단선 하단역~엄궁 대교~하구둑 입구~낙동강 하구둑이다.

[현황]

접근하기 편한 국철 및 도시 철도 구포역이 있다. 낙동강 제방을 따라 2㎞ 정도 걸으면 삼락 강변 체육공원 비포장 길에서 ‘팔월노화(八月蘆花)[8월 드넓은 강변에 피는 갈대꽃], 평사 낙안(平沙落雁)[하늘을 날다가 모래펄에 내려앉은 기러기떼]’을 노래한 사상 팔경(沙上八景)의 일부를 볼 수 있다. 조금 더 걸어가면 만경벌에 버금가는 하구 지평선을 만날 수 있는 탁 트인 공간이 나온다. 낙동 대교에서 보이는 지평선은 다대포의 아미산 자락과 가덕도 연대봉 사이에 펼쳐진 공간으로 낙동강이 1,300리를 굽이쳐 흐르다 마지막 용틀임으로 만들어 낸 작품이다.

삼락 둔치를 빠져나오면 사하구로 이어지는 강변대로 인도를 6.6㎞ 걷다 하구둑에서 을숙도로 진입한다. 이웃한 일웅도(日雄島)는 요산(樂山) 김정한(金廷漢)의 소설 「모래톱 이야기」의 무대가 된 곳으로 띠풀, 버드나무 숲을 볼 수 있다. 낙동강 하구 길을 이용하려면 부산 지하철 3호선 구포역에서 하차하면 되고, 을숙도에서는 시내버스 58번, 58-1번, 221번을 이용하면 도보로 이동 가능하다. 주변에는 화명 수목원, 대저 생태 공원, 화명 강변 공원, 감전 야생화 단지, 을숙도 등이 있다.

[참고문헌]
  • 박창희·이흥곤·이노성, 『부산 걷기 여행』(해성, 2009)
  • 걷고 싶은 부산-그린 워킹(http://www.green-walking.com)
  • 부산광역시 문화 관광(http://tour.busan.go.kr)
  • 부산광역시 북구청(http://www.bsbukgu.go.kr)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