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14145
한자 洛東江文化館
영어의미역 Nakdong River Culture Pavilion
분야 문화·교육/문화·예술
유형 지명/시설
지역 부산광역시 사하구 낙동남로1233번길 84[하단동 1149-7]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김승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전시관
면적 2,094㎡[건축 면적]|1,369㎡[전시 면적]
전화 051-292-1042
홈페이지 낙동강 문화관(http://www.river.go.kr/nakdongRiver/culture)
개관|개장 시기/일시 1988년 6월연표보기 - 낙동강 하구둑 물 문화관으로 개관
개칭 시기/일시 2012년 5월 20일연표보기 - 낙동강 하구둑 물 문화관에서 낙동강 문화관으로 개칭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12년 5월 20일 - 낙동강 문화관으로 재개관
최초 설립지 낙동강 하구둑 물 문화관 - 부산광역시 사하구 낙동남로 1233번길 84[하단동 1149-7]지도보기
현 소재지 낙동강 문화관 - 부산광역시 사하구 낙동남로 1233번길 84[하단동 1149-7]지도보기

[정의]

부산광역시 사하구 하단동에 있는 낙동강에 대한 정보를 알려 주는 문화관.

[건립 경위]

국토해양부는 4대강 사업의 성과와 물 자원 및 자연 생태계의 중요성을 홍보하기 위하여 1988년 6월 낙동강 하구둑 물 문화관을 개관하였다.

[변천]

2004년 10월 개·보수를 거쳐서 다시 재배치를 하였다. 2012년 5월 20일 건물 한 동을 더 증축하고 낙동강 문화관(洛東江文化館)으로 개칭하였다.

[구성]

낙동강 문화관의 건축 면적은 2,094㎡, 전시 면적은 1,369㎡[로비 249㎡, 전시실 1,120㎡]이며 지상 1층 건물로 이루어져 있다. 1층 실내 전시실은 6개의 테마 공간으로 구분하고 있다. ‘인트로 공간’, ‘희망 나눔 공간’, ‘새 물결 꿈 공간’, ‘어린이 물길 여행 공간’, ‘감동 소통 공간’, ‘생각 나눔’ 등으로 구분되어 수변 도시의 이미지, 4대강 사업의 수자원 이용 원리와 각종 체험, 지역민과 함께하는 강연 및 전시 공간 등으로 이뤄져 있다. 실내의 희망 나눔 공간은 수변 도시의 밝은 미래를 꿈꾸는 희망의 도네이션 프로그램이 운영될 공간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돛배 조각 1,000점이 전시되는 곳으로 관람객이 전시 공간을 만들어 가는 곳이다.

새 물결 꿈 공간은 물과 인류의 발전 과정을 영상물 등 다양한 매체로 전시하고 있고, 4대강 사업의 올바른 이해와 보(洑)의 원리 등도 함께 설명하고 있다. 어린이 물길 여행 공간은 어린이를 위한 강 관련 체험 공간으로 다양한 놀이 시설과 휴식 공간이 마련되어 있다. 감동 소통 공간은 변지훈, 김치 앤 칩스, 노승관 등 세 작가의 미디어 예술 작품이 설치되어 문화 예술 작품을 감상할 수 있다. 그리고 시민들이 터치나 동작을 하면 영상물이 반응을 하는 등 시민과 가까이 있는 낙동강을 만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생각 나눔 공간은 브리핑 룸으로 시민들에게도 개방하고, 교육 기부 활동을 통하여 인근 초등학생들에게 물과 관련한 교육을 정기적으로 하고 있다.

[현황]

이용 시간은 평일 오전 9시부터 오후 6시까지이며, 쉬는 날은 1월 1일, 매주 월요일이다. 단 월요일이 공휴일인 경우에는 그 다음날 휴관한다. 실외에 있는 낙동강 하구둑 전망대 역시 낙동강 문화관과 함께 빼놓을 수 없는 관람 시설이다. 평일 관람객은 300여 명 정도이고, 주말에는 1000명에 이른다. 1987년 을숙도 물 문화관 건립 이후, 2012년 11월 현재 총 관람객은 8만 명이 넘는다. 현재 관장, 학예사 중심으로 운영되고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