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13273
한자 釜山田浦洞球狀斑糲巖
영어의미역 Round Gabbro in Jeonpo-dong
분야 지리/자연 지리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전포동 산12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반용부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특기 사항 시기/일시 1980년 10월 27일연표보기 - 부산 전포동 구상반려암 천연기념물 제267호로 지정
문화재 지정 일시 2021년 11월 19일 - 부산 전포동 구상반려암 천연기념물로 재지정
소재지 부산 전포동 구상반려암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전포동 산 12지도보기
문화재 지정번호 천연기념물

[정의]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전포동에 있는 반려암.

[명칭 유래]

부산 전포동 구상반려암은 암석의 위치와 특성, 형태와 관련해 붙여진 이름이다. 공처럼 둥근 반려암이라 하여 구상반려암으로 부른다.

[암석학적 특성]

구상암이란 공처럼 둥근 암석으로 특수한 조건에서 형성되며 대부분 화강암 속에서 발견된다. 구상반려암은 반려암 속에 구상암이 들어 있어 지질학적으로 매우 드문 암석으로, 아시아에서는 한국에서만 기록된 희귀 암석이다. 부산 전포동 구상반려암이 자리한 황령산 일대는 지질적으로 중생대 백악기의 이천리층군과 안산암·유문암·화강 섬록암·각섬석 화강암·흑운모 화강암·규장암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부산 전포동 구상반려암은 노두의 크기가 길이 400m에 너비가 300m로, 중심핵과 한 개 이상의 동심원상 구조를 보여주는 각으로 구성되어 있고 구과상·타원형, 또는 불규칙한 형태를 보인다. 공처럼 둥근 부산 전포동 구상반려암은 작은 것은 지름 약 1㎝에서 큰 것은 5~10㎝에 이른다. 부산 전포동 구상반려암의 노두 면적은 세계 최대 규모이며 보존이 뛰어나고 완벽한 노두 산출을 보이고 있어 암석의 생성 과정을 연구하는 데 매우 중요한 자료이다. 또한 세계의 다른 구상암에서는 좀처럼 볼 수 없는 도심지 한가운데의 산출이라는 특수성을 가지고 있다

[현황]

부산 전포동 구상반려암은 1977년 4월 19일에 처음 발견[부산대학교 지질학과 김향묵 교수]되었다. 암석의 생성 과정 연구에 중요할 뿐 아니라 매우 희귀하고 특수한 암석으로 지질학적 가치가 크다. 1980년 10월 27일 천연기념물 제267호로 지정되었으며,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청 고시에 의해 문화재 지정번호가 폐지되어 천연기념물로 재지정되었다. 지정 구역은 3만 3,807㎡에 이른다. 소재지는 부산진구 전포동 산12번지 일원이다. 보존을 위해 울타리가 조성되어 일반인의 접근을 막고 있으나 전국에서 학술적 연구를 목적으로 방문하고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