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13197
한자 長安川
영어의미역 Jangancheon Stream
이칭/별칭 금천,박천,건천,월내천
분야 지리/자연 지리
유형 지명/자연 지명
지역 부산광역시 기장군 장안읍 병산리|월내리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반용부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하천
면적 21.02㎢
길이 8.5㎞
전구간 장안천 - 부산광역시 기장군 장안읍 병산리~부산광역시 기장군 장안읍 월내리
해당 지역 소재지 장안천 - 부산광역시 기장군 장안읍 병산리
해당 지역 소재지 장안천 - 부산광역시 기장군 장안읍 월내리지도보기

[정의]

부산광역시 기장군 장안읍 병산리에서 발원하여 월내리 월내 해안으로 유입하는 하천.

[명칭 유래]

장안천은 본래 월내포 앞바다로 유입한다 하여 월내천으로 불렀으나, 장안면장안읍으로 승격하면서 장안천이 공식 명칭이 되었다. 장안천이나 월내천의 명칭에 대해서는 조선 시대의 읍지 등의 기록에서는 확인할 수 없으며, 「차성가(車城歌)」[1800년대 사료로 추정]에서 금천(錦川), 박천(朴川), 건천(乾川)이라는 명칭을 확인할 수 있다.

[자연 환경]

장안천불광산 남서쪽 계곡에서 발원해 남동쪽으로 흐르는 하천으로, 사방에서 흘러드는 소하천을 합류한 뒤 남쪽의 삼각산[469m]에서 발원한 소하천과 합류해 장안사 계곡으로 흘러든다. 남쪽과 북쪽의 산지에서 비롯된 지류를 합류하며 장안사 계곡을 지나 동쪽으로 흐르다가, 장안사 앞에서 불광산의 남쪽 사면에 흘러내리는 소하천과 장안사 북쪽 산지에서 흘러드는 소하천을 합류해 상장안 마을에 이른다. 상장안 마을을 지나며 유로를 남쪽으로 변경해 흐르며 하안에 좁은 평야를 형성한다.

남쪽으로 흐르던 하천은 반룡리에서 남동쪽으로 방향을 바꾸어 흐르며 월내포에서 동해로 유입한다. 장안천삼각산의 발원지부터 장안사 앞 불광산 계곡까지를 박천(朴川), 백련암 계곡과 박천이 합류하는 곳에서 기룡리까지를 금천(錦川), 기룡리에서 반룡리까지를 건천(乾川)으로 불렀다. 또한 장안천의 여러 지류로 하장안천·고래골천·한골천·구기천·고무천 등이 있어 곳곳에서 합류해 월내포로 흘러든다.

[현황]

장안천의 유로 길이는 8.5㎞, 유역 면적은 21.02㎢로, 장안리에서 발원해 기룡리반룡리를 거쳐 월내리길천리의 경계를 형성하고 월내포로 흘러든다. 상류부의 발원지에는 척판암·백련암·백연사·장안사 등의 사찰이 있으며, 불광사 공원 및 이양산 수변 공원이 조성되어 있고 장안사 계곡이 있어 관광객이 즐겨 찾는다.

장안사에서 중류부인 하근교까지는 하천 변을 따라 장안로가 조성되어 있으며, 하장안에는 기장 도예촌이 건립될 예정이다. 하근교에서 하구의 월내교까지는 반룡로와 고무로가 하안을 따라 건립되어 있으며, 하천을 끼고 장안 신도시와 장안 일반 산업 단지 등이 건립되고 있다. 하류에는 월내교를 통과하는 해맞이로가 해안선을 따라 조성되어 있으며, 동해 남부선 철도가 통과한다.

부산광역시 기장군에서는 구기교에서 장안천 월내교까지의 2.4㎞ 구간 하천 변에 야구장, 가족 휴게 공원, 하천 제방, 자전거 도로, 산책로, 습지 생태 공원 등의 친수 공간을 조성하였다. 장안천이 월내포로 흘러드는 하구에는 월천교가 건립되어 있다. 하구에는 월내항이 있고 그 남쪽으로 임랑 해수욕장이 자리하고 있어, 해안가를 따라 횟집이나 관광 업소 등이 늘어나고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