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213177 |
---|---|
한자 | 烏島臺 |
영어음역 | Odo-dae |
분야 | 지리/자연 지리 |
유형 | 지명/자연 지명 |
지역 | 부산광역시 기장군 정관읍 방곡리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김성환 |
[정의]
부산광역시 기장군 정관읍 방곡리에 있는 바위.
[명칭 유래]
오도대(烏島臺)는 여름철 큰 비가 내려 하천이 범람할 때면 바위 윗머리가 까마귀 머리만큼 작은 섬으로 보인다고 해서 ‘까마귀 오’(烏) 자에 ‘섬 도’(島) 자를 써서 붙인 이름으로 전한다.
[자연 환경]
오도대는 부산광역시 기장군 정관읍 방곡리 덕산 마을 앞을 흐르는 정관천 한가운데 3층으로 솟아올라 있는 큰 바위이다. 이 바위는 높이 5m, 지름 6m 정도의 기이한 형상을 띠고 있다. 하천이 이곳에서 큰 폭으로 굽이치면서 큰 소(沼)를 이루었는데 이를 가마소라고 부른다. 오도대의 남쪽으로는 함박산(含朴山), 천마산(天馬山), 달음산(達陰山)이 이어져 병풍처럼 펼쳐져 있고, 서쪽으로는 거문산(巨文山), 철마산(鐵馬山), 백운산(白雲山) 자락이 이어진다. 북쪽으로는 함박산과 석은덤산, 삼각산(三角山)이 자리하고 있다.
[현황]
오도대 주변의 경치가 좋아서 조선 시대부터 시인, 묵객들이 찾아들어 널찍한 바위 위에서 풍류를 즐겼다고 전하나, 현재는 가마소에 자갈과 모래가 쌓이고 3층의 큰 바위는 도로 공사 때 깨지고 도로에 묻혀 밑바닥만 남아 있다. 또한 오도대 주변을 휘감아 흐르던 하천도 직강화되어 옛 흔적은 사라지고 이름만 남아 있다. 기장군청에서 월내 방향으로 시내버스로 40분, 좌천에서 월평 방향으로 좌석 버스로 30분 정도 소요되며, 버스 하차 후 도보로 5분 정도 걸리는 거리에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