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13141
한자 冬柏里色彩-
영어의미역 Color-design Stones in Dongbaek-ri
이칭/별칭 깨돌
분야 지리/자연 지리
유형 지명/자연 지명
지역 부산광역시 기장군 일광면 동백리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김성환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전구간 동백리 색채 무늿돌 - 부산광역시 기장군 일광면 동백리
해당 지역 소재지 동백리 색채 무늿돌 - 부산광역시 기장군 일광면 동백리

[정의]

부산광역시 기장군 일광면 동백리 바닷가에 있는 돌.

[명칭 유래]

동백리 색채 무늿돌에 관련된 자료는 알려져 있지 않으나 바닷가의 돌이 질이 좋고 색채가 영롱하여 색채 무늿돌이라 부르게 된 것으로 추측할 뿐이다. 이곳에서는 이 돌을 ‘깨돌’이라고도 부른다.

[자연 환경]

동백리 색채 무늿돌은 일광 바닷가뿐만 아니라 낮은 산이나 논밭에서도 발견되는데, 크기는 주먹만 하다. 바닷가 돌은 질이 좋고 색채가 영롱하여 바닷물에 잘 씻겨 멋이 있다. 색채 무늿돌 이외에도 단봉(單峰), 원산석(遠山石), 추상석(抽象石) 같은 돌들도 나오고 있다. 근처 낮은 산에서 발견되는 산석(山石)은 표면에 음각의 균열로 보이는 흰 무늬가 거북 등처럼 새겨져 있다. 동백리 색채 무늿돌이 발견되는 지역 주변으로는 동백천이 흘러 일광 앞바다로 유입된다. 서쪽 멀리로는 갈미산을 시작으로 달음산(達陰山), 천마산(天馬山), 함박산(含朴山) 자락이 줄지어 이어져 있는 모습을 볼 수 있다. 동쪽으로는 광활하게 펼쳐진 동해가 한눈에 들어온다.

[현황]

동백리 색채 무늿돌은 바닷물에 씻기어 생겨난 몽돌로, 자연 호안이 형성되어 파도가 밀려들 때마다 자갈 구르는 소리가 신비를 자아내곤 하였으나, 최근 해안 매립으로 이러한 모습이 점차 사라지고 있다. 동백리 서쪽으로 아시아드 컨트리클럽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뒤로 국도 제14호선부산 울산 고속 도로가 지나고 있다.

[참고문헌]
  • 『기장군지』(기장군지편찬위원회, 2001)
  • 『부산 지명 총람』8(부산광역시사편찬위원회, 2002)
  • 『부산의 자연 마을』4-기장군(Ⅱ) 장안읍, 일광·정관·철마면(부산광역시사편찬위원회, 2009)
  • 기장군 문화 관광(http://tour.gijang.go.kr)
  • 부산광역시청(http://www.busan.go.kr)
  • 부산 기장 임랑 해맞이 정보화 마을(http://imrang.invil.org)
  • 부산광역시 기장군청(http://www.gijang.go.kr)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