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13138
한자 -
영어의미역 Neolbatjae Pass
이칭/별칭 늘밭재
분야 지리/자연 지리
유형 지명/자연 지명
지역 부산광역시 기장군 정관읍 병산리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김성환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고개
높이 390m
전구간 널밭재 - 부산광역시 기장군 정관읍 병산리~경상남도 양산시 웅상읍
해당 지역 소재지 널밭재 - 부산광역시 기장군 정관읍 병산리지도보기

[정의]

부산광역시 기장군 정관읍 병산리에서 경상남도 양산시 웅상읍 매곡 마을을 잇는 고개.

[명칭 유래]

널밭재는 예부터 널[늘]이 밭을 이루고 있는 고개라 하여 붙은 지명이다. 널은 억새풀과 비슷하거나 가늘고 긴 풀로, 삿갓이나 돗자리를 만들 때 쓰던 풀이다. 늘밭재라고도 한다.

[자연 환경]

부산광역시 기장군 정관읍 병산리 널밭 마을 북동쪽에 있는 널밭골에서 경상남도 양산시 웅상읍 매곡 마을로 넘어가는 고개이다. 불광산(佛光山)삼각산(三角山) 사이에 자리 잡고 있다. 널밭 고개 위쪽에는 장안읍 장안리 쪽으로 넘어가는 상어령(上於嶺)이 있고, 아래쪽에는 웅상읍 매곡리로 넘어가는 하어령(下於嶺)이 있다. 병산리 입구를 제외하고는 아름다운 산들이 병풍처럼 둘러쳐져 있다. 고도가 높아 비교적 험난한 고개로 해송 및 벚나무, 단풍나무가 무성하다.

[현황]

고도 약 390m의 널밭재는 예부터 기장 사람들과 양산 사람들이 오고가던 유일한 교통로였으나 지금은 우회 도로가 많이 생겨 거의 이용하고 있지 않는다. 고갯길 동쪽 바로 옆으로 해운대 CC가 형성되어 있고 서쪽으로는 동부산 CC가 형성되어 있다. 삼각산에서 용천산(湧天山)을 종주하는 등산 코스의 중간 코스로도 많이 이용되고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