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13091
한자 四巖
영어음역 Sa-am
이칭/별칭 너바위,너바우
분야 지리/자연 지리
유형 지명/자연 지명
지역 부산광역시 강서구 화전동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김성환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바위
특기 사항 시기/일시 1959년 - 탕건 바위, 태풍 사라호로 인해 제방 복구공사용으로 사라짐
특기 사항 시기/일시 1995년 - 입천 바위, 녹산 국가 산업 단지 조성 때 사라짐
전구간 사암 - 부산광역시 강서구 화전동지도보기
해당 지역 소재지 사암 - 부산광역시 강서구 화전동지도보기

[정의]

부산광역시 강서구 화전동에 있는 갯바위.

[명칭 유래]

사암(四巖)입바위, 탕건 바위, 입천 바위, 등잔 바위 등 4개의 큰 바위로 이루어져 있어 이름에 ‘넉 사(四)’ 자를 붙였다. 유래는 알 수 없으나 예부터 너바위[너바우]로도 불렸다.

[현황]

현재 사암 주변에 르노 삼성 자동차 공장이 건립되고 녹산 국가 산업 단지가 형성되면서 옛 모습을 잃었다. 화전동 남쪽 해안에 있던 4개의 갯바위 중 탕건 바위는 1959년 태풍 사라호 때 제방 복구공사용으로 사라졌고, 입천 바위는 1995년 녹산 국가 산업 단지 조성 때 사라져 입천 바위 기념비가 세워졌다. 현재는 입바위와 등잔 바위만 남아 있다. 바위 앞으로 크고 작은 선박들이 오가고 있으며, 부산~거제를 연결하는 거가 대교가 건설되어 섬 사이를 가로 지르는 다리의 모습이 한눈에 들어온다. 사암 서쪽에는 부산 신항이 건설되고 있다.

[참고문헌]
  • 『기장군지』(기장군지편찬위원회, 2001)
  • 『부산 지명 총람』5(부산광역시사편찬위원회, 1999)
  • 『부산의 자연 마을』2-강서구(부산광역시사편찬위원회, 2007)
  • 기장군 문화 관광(http://tour.gijang.go.kr)
  • 부산 기장 임랑 해맞이 정보화 마을(http://imrang.invil.org)
  • 부산광역시 기장군청(http://www.gijang.go.kr)
  • 부산광역시청(http://www.busan.go.kr)
[수정이력]
콘텐츠 수정이력
수정일 제목 내용
2018.07.03 바위 명칭 수정 선바위 -> 입바위
이용자 의견
이** 마을버스 강서9-1번을 타고 사암마을에 내려 입바위를 구경하고 등잔바위를 구경하고
그동네에서 최고령 김경(?)이라는 분과 잠시 이야기를 나누었는 데 입바위가 설입자 입(立)바위가 아니고
mouth 입바위라고 들었습니다. 오래전 바위를 잘라낼 때 가로로 갈라진 장수의 큰입처럼 보여 입바위라고 전해들었다는 얘기를 들었습니다. 확인바랍니다
  • 답변
  • 부산역사문화대전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말씀하신 바위는 현재 '입바위'라는 명칭으로 불리고 있습니다. 이에 명칭을 '입바위'로 정정하였습니다.
    감사합니다.
2018.07.02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